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정(惟政)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20C815FFFFB1544X0
이명(異名)임응규(任應奎)
자(字)이환(離幻)
호(號)송운(松雲)
호(號)종봉(鍾峰)
시호(諡號)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생년1544(중종 39)
졸년1610(광해군 2)
시대조선중기
본관풍천(豊川)
활동분야종교 > 불교인
임수성(任守成)
출신지경상남도 밀양
저서『사명당대사집』
저서『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상세내용]

유정(惟政)
1544년(중종 39)∼1610년(광해군 2).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 풍천임씨(豊川任氏). 속명은 임응규(任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사명당(四溟堂) 또는 송운(松雲), 별호는 종봉(鍾峰). 경상남도 밀양 출신.

임수성(任守成)의 아들이다.
1. 출가와 득도
7세를 전후하여 할아버지에게 『사략(史略)』을 배우고 13세 때 황여헌(黃汝獻)에게 『맹자』를 배웠다.

1558년(명종 13)에 어머니가 죽고, 1559년에 아버지가 죽자 김천 직지사(直指寺)로 출가하여 신묵(信黙)의 제자가 되었다.

3년 뒤 승과(僧科)에 합격하자 많은 유생들과 교유하였는데, 특히 20세 연장인 박순(朴淳)과 5세 연하인 임제(林悌)와 가까이 지냈다. 그리고 당시의 재상인 노수신(盧守愼)으로부터 『노자』『장자』『문자(文子)』『열자(列子)』와 시를 배웠다.

그뒤 직지사의 주지를 지냈으며, 1575년(선조 8)선종의 중망(衆望)에 의하여 선종수사찰(禪宗首寺刹)인 봉은사(奉恩寺)의 주지로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묘향산 보현사(普賢寺)의 휴정(休靜)을 찾아가서 선리(禪理)를 참구하였다.

이듬해 해인사에 잠시 머물렀고, 다시 휴정의 곁에서 도를 닦다가 1578년부터 팔공산금강산청량산태백산 등을 다니면서 선을 닦았으며, 1586년 옥천산 상동암(上東庵)에서 오도하였다.
2. 임진왜란 때 승병모집과 강화회담
그뒤 오대산 영감사(靈鑑寺)에 머물렀는데,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에 연류되었다는 모함을 입어 강릉부의 옥에 갇히게 되었으나, 강릉의 유생들이 무죄를 항소하여 석방되었다.

이듬해 금강산으로 들어가서 수도하던 중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당시 유점사(楡岾寺)에 있으면서 인근 아홉 고을의 백성들을 구출하였다.

이때 조정의 근왕문(勤王文)과 스승 휴정의 격문을 받고 의승병을 모아 순안으로 가서 휴정과 합류하였다. 그곳에서 의승도대장(義僧都大將)이 되어 의승병 2천명을 이끌고 평양성중화(中和)사이의 길을 차단하여 평양성 탈환의 전초 역할을 담당하였다.

1593년 1월 명나라 구원군이 주축이 되었던 평양성 탈환의 혈전에 참가하여 혁혁한 전공을 세웠고, 그해 3월 서울 근교의 삼각산 노원평(蘆原坪) 및 우관동 전투에서도 크게 전공을 세웠다.

선조는 그의 전공을 포장하여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를 제수하였다.

그뒤 전후 네 차례에 걸쳐 적진에 들어가서 가토(加藤淸正)와 회담을 가졌다. 제1차회담은 1594년 4월 13∼16일 서생포 일본 본진에서 열렸는데, 강화5조약으로 제시된 ① 천자와 결혼할 것, ② 조선4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③ 전과 같이 교린할 것, ④ 왕자 1명을 일본에 보내어 영주하게 할 것, ⑤ 조선의 대신‧대관을 일본에 볼모로 보낼 것 등을 하나하나 논리적인 담판으로 척파하였다.

또한, 제2차회담(1594년 7월 12∼16일)‧제3차회담(1594년 12월 23일)‧제4차회담(1597년 3월 18일)에도 대표로 나아가 강화5조약의 모순성을 지적하여 적들의 죄상을 낱낱이 척파하였다.
3. 토적보민사소 진상
특히, 2차의 적진 담판을 마치고 돌아와 선조에게 그 전말과 적정을 알리는 「토적보민사소(討賊保民事疏)」를 올렸는데, 이 상소문은 문장이 웅려하고 그 논조가 정연하여 보민토적(保民討賊)의 이론을 전개함은 물론, 그 실천방도를 제시하였다.

첫째, 모든 국민을 총동원하여 빈틈없는 작전으로 적을 격퇴하여야 한다. 둘째, 교린하여 적을 돌려보낸 뒤 백성을 안위하게 하고 농업을 장려하는 동시에 민력(民力)을 무장하여야 하며, 전쟁에 필요한 군수무기를 준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1595년에는 장편의 을미상소를 올렸는데, 전쟁에 대비하여 역사적 안목과 현실을 적절히 파악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즉, 민력을 기르기 위하여 목민관을 가려뽑아 백성을 괴롭히는 탐관오리들을 소탕할 것, 일시적인 강화로 국가백년의 대계를 망각하지 말고 국세회복에 만반의 방어책을 세울 것, 인물본위로 등용하여 천한 사람일지라도 나라에 쓸모 있는 역량을 갖춘 사람이면 적소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할 것, 국가기강을 쇄신하며 문란한 기풍을 뿌리뽑고 민력을 북돋아 군정(軍政)확립의 본을 보일 것, 소(農牛)를 매호하여 중농정책을 확립할 것, 산성을 수축하여 산성마다 군량‧마초‧방어무기를 준비할 것, 승려도 일반백성과 동일한 처우를 하여 국가수비의 일익을 담당하게 할 것 등이다.
4. 산성축조와 군기제조
국방에 있어서도 깊은 관심을 표현하여 산성수축에 착안하였으며, 항상 산성개축에 힘을 다하였다. 그가 수축한 산성은 팔공산성(八公山城)금오산성(金烏山城)용기산성(龍起山城)악견산성(岳堅山城)이숭산성(李崇山城, 또는 美崇山城)부산성(釜山城)남한산성 등이다.

그리고 군기제조에도 힘을 기울여 해인사부근의 야로(冶爐)에서 활촉 등의 무기를 만들었고, 투항한 왜군 조총병을 비변사에 인도하여 화약제조법과 조총사용법을 가르치도록 하였다.

또한, 1594년 의령에 주둔하였을 때 군량을 모으기 위하여 각 사찰의 전답에 봄보리를 심도록 하였고, 산성 주위를 개간하여 정유재란이 끝날 때까지 군량미 4,000여석을 비장하였다.
5. 일본에 강화사신으로 파견
선조는 그의 공로를 크게 인정하여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의 벼슬을 내렸다.

1604년 2월 오대산에서 스승 휴정의 부음을 받고 묘향산으로 가던 중 선조의 부름을 받고 조정으로 가서 일본과의 강화를 위한 사신으로 임명받았다.

1604년 8월 일본으로 가서 8개월 동안 노력하여 성공적인 외교성과를 거두었고, 전란 때 잡혀간 3,000여명의 동포를 데리고 1605년 4월에 귀국하였다.

그해 6월 국왕에게 복명하고 10월에 묘향산으로 들어가 비로소 휴정의 영전에 절하였다.

그뒤 병을 얻어 해인사에서 요양하다가 1610년 8월 26일 설법하고 결가부좌한 채 입적하였다. 제자들이 다비하여 홍제암(弘濟庵) 옆에 부도와 비를 세웠다.

밀양표충사(表忠祠), 묘향산수충사(酬忠祠)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문집인 『사명당대사집』 7권과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1권 등이 있다.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참고문헌]

四溟堂大師集
東師列傳(覺岸)
朝鮮金石總覽

[이미지]

[집필자]

목정배(睦楨培)

법명 : "유정(惟政)"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行朝招香山僧休靜使募僧軍靜招聚弟子義嚴爲摠攝又檄關東惟政湖南處英爲將使募僧軍爲聲援
國朝編年v13義嚴爲摠攝乃率其衆屯于順安法興寺爲元帥聲援傳檄八路寺刹健禿勇衲莫不來赴其高弟處英起於湖南往赴權慄募下惟政起於關東號松雲又號四溟山人容貌魁傑留髥不去性度恢曠且通內典是時在金剛山表訓寺賊兵入山中寺僧皆走惟政不
國朝編年v15勞特躋嘉善臺諫劾其奉使不竣無功有罪上曰予爲其獨勞賞之若愼成使事是不可賞也上意以和議不成爲幸也○義僧將惟政入淸正陣行長留屯釜山淸正繼屯西生浦聲言王子來謝然後始解兵要見惟政惟政入倭營劍戟森列倭衆圍立惟政少無怕
國朝編年v16其女妻秀賴而薩摩州最勁太守平義弘稍與頡頏至是家康代秀賴爲關白奉書契來請信使人皆憤惋而朝廷恐其生釁遣僧惟政仍探賊情○盜殺前參判柳凞緖古相㙉之子也前府使黃克中凞緖素無行檢臨海君珒聞凞緖之妾美密招納之臨海君使奴
紀年便攷v18願效忠赤上嘉悅遂命為八道禪敎十六宗都摠攝以弟子義嚴為捴攝屯子順安法興寺為元帥聲援又檄弟子湖南䖏英關東惟政為將各從本道起妙得数千人斬獲甚多賜號國一都大禪師禪敎都摠攝扶宗樹敎普濟登階尊者及大駕還都無意圖功納捴
紀年便攷v18惟政
紀年便攷v18任氏本豊川為西山高足號泗溟堂又松雲容貌甚魁傑留髯不去性度恢曠且通內典時在金剛山表訓寺賊入山中山僧皆走惟政不動賊不敢逼或合掌致敬而去及其師檄書至展佛卓上讀之流涕悉起山中僧比至平壤衆千餘人屯城東雖不能接戰而善
紀年便攷v18城東雖不能接戰而善警備勤力役諸道頼之有膽智屡使倭陣倭人敬服丙申與通信使黃愼同入倭中清正要見義僧將惟政惟政入倭營劒㦸森列了無怕色清正問貴國有寶乎曰有之以汝首為寳清正曰何謂也曰我國購汝頭金千斤邑萬户非寳而何清
紀年便攷v18惟政俗姓任氏本豊川為西山高足號泗溟堂又松雲容貌甚魁傑留髯不去性度恢曠且通內典時在金剛山表訓寺賊入山中山僧
紀年便攷v18死家康廢秀頓而代為關白傳位於其子秀忠復来請和故遣惟政揬情既至㧌以游覽諸國山川倭人奇之肩輿邀請殆無虛日惟政初言交和之利次發刷還之端遂刷還我國男女三千餘口是行也倭人初欲㥘降之終不屈乃大熾炭使惟政投入火中顏色自
紀年便攷v18危腰間一枝劒今發愧男兒甲辰以揬倭情承命入日本時秀吉既死家康廢秀頓而代為關白傳位於其子秀忠復来請和故遣惟政揬情既至㧌以游覽諸國山川倭人奇之肩輿邀請殆無虛日惟政初言交和之利次發刷還之端遂刷還我國男女三千餘口是
紀年便攷v18人屯城東雖不能接戰而善警備勤力役諸道頼之有膽智屡使倭陣倭人敬服丙申與通信使黃愼同入倭中清正要見義僧將惟政惟政入倭營劒㦸森列了無怕色清正問貴國有寶乎曰有之以汝首為寳清正曰何謂也曰我國購汝頭金千斤邑萬户非寳而
紀年便攷v18輿邀請殆無虛日惟政初言交和之利次發刷還之端遂刷還我國男女三千餘口是行也倭人初欲㥘降之終不屈乃大熾炭使惟政投入火中顏色自若直向火邊若將躍入天忽下雨如注火盡滅倭奴以為神皆羅拜謝罪禮待極厚後賜謚洪濟
國朝捷錄v01大師西山大師月沙作碑銘三十中禪科率五千僧兵扈駕還京善詩志常老松堂蔚山人靈圭亦休靜弟子與趙重峰戰死錦山惟政四溟堂密陽人國賜諡洪濟表忠祠休靜弟子法堅奇岩呂州人彦機鞭羊堂忠徽雲谷守初翠微詩僧普雨上岡文定王后因而
國朝捷錄v01叔夏水原人崔屹高陽人進士李魯李山輝前牧使南彦經幼學金琢前正郞兪大進忠義衛李軼士人洪季男王玉季金剛山僧惟政咸鏡道人評事鄭文孚訓戎僉使高敬民
日本使行時日記其敎有當洞宗臨 濟宗二派而得道者蓋寡矣我國松雲大師惟政筆蹟在江戶余見其古紙色渝而 筆猶可辨倭俗珍藏百年慕
國朝人物志v2高陽人李魯李山輝牧使南彥經正兪郞大進金琢李軼洪季男宗室湖城監僧惟政咸鏡道則評事鄭文孚也諸道中重峯趙憲最先起丁酉再搶時南中儒士趙慶男起義慶男深
國朝人物志v2濟耶泣對曰臣老病不堪從戎臣之弟子散在諸路謹當激倡義旅上義之卽命爲十六宗摠攝任其號召於是惟政率七百餘僧起關東處英率千餘僧起湖南休靜率門徒及自募僧合五十餘名會于順安法興寺官
國朝人物志v2字松雲丁酉倭人再搶兵敗請成朝廷以惟政假使命以送惟政仗劍渡海意氣軒昂倭莫不敬憚及到江戶平秀吉與語大悅言言屈服秀吉從容問
國朝人物志v2憲兵敗死靈圭亦力戰死之正祖甲寅建祠關西之妙香山嶺南之晉州以祀休靜惟政賜額于西曰酬忠南曰表忠名將傳贈靈圭知中樞府事密陽表忠祠祀休靜惟政靈圭
國朝人物志v2字時哉號三一山人草溪人孝文六代孫早師休靜大師惟政釋名雙翼壬辰以僧起義有功授司果乃長髮還鄕治擧子業己酉進士光海庚戌文科因臺啓削科不得應榜
國朝人物志v3字景培密陽人年十六遇壬辰倭亂與父避兵爲賊所獲俘入日本乙巳春僧惟政刷還時得歸受書于府使孫起陽學射于節度使金太虛丁卯胡亂投袂而起杖劍誓士曰大丈夫負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