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동현(朴東賢)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B3D9D604B1544X0
자(字)학기(學起)
호(號)활당(活塘)
생년1544(중종 39)
졸년1594(선조 27)
시대조선중기
본관반남(潘南)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응천(朴應川)
조부박소(朴紹)
외조부김희려(金希呂)

[상세내용]

박동현(朴東賢)
1544년(중종 39)∼1594년(선조 2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학기(學起), 호는 활당(活塘). 사간 박소(朴紹)의 손자로, 사재감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의 아들이며, 모친은 김희려(金希呂)의 딸이다.

타고난 천품이 특이하고 행실이 매우 발랐으며, 집에서는 효도와 우애가 독실하였기 때문에 향리에서 모두 감탄하였다.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참봉으로 벼슬길에 나가기 시작하였으며, 그뒤 의금부도사종부시직장(宗簿寺直長)석성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냈다.

1588년(선조 21)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로 급제하고 정언(正言)지제교(知製敎)수찬(修撰)이조정랑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591년 일본에 사신으로 갔던 황윤길(黃允吉)김성일(金誠一) 등이 일본의 국서를 가지고 왔는데 그 중에는 일본이 중국을 정벌하겠으니 조선에서 길을 빌려 달라는 내용이 있었다.

조정에서는 이 사실을 중국에 알리느냐 마느냐로 의견이 분분하였는데, 이때 수찬으로 경연(經筵)에 입시하였던 그가 중국과 우리나라의 국교관계를 생각하여 알리는 것이 옳다고 건의하여 분분하던 논의가 알리는 쪽으로 결정이 나게 하였다.

또, 경연에서 여러 번 언로를 넓힐 것을 주청하여 경연은 물론, 그동안 폐지되어왔던 상참(常參)‧윤대(輪對)‧소대(召對) 등의 군신간의 모임을 자주 열게 하니, 임금과 신하간의 대화가 잘 통하여 조정의 일이 잘 풀려나갔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왕과 정부 일행이 의주까지 피난하는 중에도 시종 이 일행을 수행하면서, 온갖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문란한 규율을 바로잡고 시의(時宜)에 맞는 진언(進言)을 하여 모든 일을 바로잡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1593년 환도 후에도 계속 교리헌납지평사간응교 등의 요직에 있으면서 국정을 바로잡는 일에 힘을 기울였다.

이이(李珥)성혼(成渾)을 사사하여 자주 찾아가 배우고, 김장생(金長生)과 친교가 두터웠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寄齋史草
國朝人物考
國朝人物志
國朝榜目

[집필자]

김용국(金龍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