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달(李達){1}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B2ECFFFFB1539X0
이명(異名)이덕(二德)
자(字)익지(益之)
호(號)서담(西潭)
호(號)동리(東里)
생년1539(중종 34)
졸년1612(광해군 4)
시대조선전기
본관홍주(洪州)
활동분야문학 > 시‧시조인
이수함(李秀咸)
출신지홍주

[상세내용]

이달(李達)
1539년(중종 34)∼1612년(광해군 4). 조선 전기의 시인. 본관은 홍주(洪州). 자는 익지(益之), 호는 손곡(蓀谷)서담(西潭)동리(東里). 이수함(李秀咸)의 서자이다.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으면서 “손곡산인 이달의 자는 익지이니, 쌍매당 이첨(李詹)의 후손이다.”라고 밝혀 놓았다. 원주 손곡에 묻혀 살았기에 호를 손곡이라고 하였다.

처음에는 당시 유행에 따라 송시(宋詩)를 배우다가, 정사룡(鄭士龍)으로부터 두보(杜甫)의 시를 배웠다. 박순(朴淳)이 그에게 시를 가르치다가 “시도(詩道)는 마땅히 당시(唐詩)로써 으뜸을 삼아야 한다. 소식(蘇軾)이 비록 호방하기는 하지만, 벌써 이류로 떨어진 것이다.”라고 충고하면서, 이백(李白)의 악부(樂府)‧가(歌)‧음(吟)과 왕유(王維)맹호연(孟浩然)의 근체시(近體詩)를 보여주었다.

그는 시도가 여기에 있음을 깨닫고, 손곡의 집으로 돌아와 당시를 익혔다. 『이태백집』과 성당십이가(盛唐十二家)의 글, 유우석(劉禹錫)위응물(韋應物)의 시, 양백겸(楊伯謙)『당음(唐音)』 등을 외웠다. 이렇게 5년 동안 계속 당시를 배운 뒤에는 그의 시가 예전과 달라졌다.

한편, 시풍이 비슷한 최경창(崔慶昌)백광훈(白光勳)과 어울려 시사(詩社)를 맺어, 문단에서는 이들을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고 불렀다. 이들은 봉은사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지방을 찾아다니며 시를 지었는데, 주로 전라도 지방에서 많이 모였다.

임제(林悌)허봉양대박(梁大樸)고경명(高敬命) 등과도 자주 어울려 시를 지었다. 서자였기 때문에 일찍부터 문과에 응시할 생각을 포기하였지만, 다른 서얼들처럼 잡과(雜科)에 응시하여 기술직으로 나가지도 않았다. 특별한 직업을 가지지도 않았고, 온 나라 안을 떠돌아다니면서 시를 지었다.

그러나 성격이 자유분방하여 세상사람들에게 소외당하였다. 한때 한리학관(漢吏學官)이 되었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일이 생겨서 벼슬을 버리고 떠났다. 중국 사신을 맞는 접빈사종사관으로 일하기도 하였다.

그의 시는 신분제한에서 생기는 한(恨)과 애상(哀傷)을 기본정조로 하면서도, 따뜻하게 무르녹았다. 근체시 가운데서도 절구(絶句)가 뛰어났다. 김만중(金萬重)『서포만필』에서 조선 시대의 오언절구 가운데 대표작으로 그가 지은 「별이예장(別李禮長)」을 꼽았다.

허균「손곡산인전」에서, “그의 시는 맑고도 새로웠고, 아담하고도 고왔다(淸新雅麗). 그 가운데 높이 이른 시는 왕유맹호연고적(高適)잠삼(岑參) 등의 경지에 드나들면서, 유우석전기(錢起)의 풍운을 잃지 않았다. 신라고려 때부터 당나라의 시를 배운 이들이 모두 그를 따르지 못하였다.”고 평하였다.

그는 일흔이 넘도록 자식도 없이 평양 여관에 얹혀 살다가 죽었다. 무덤은 전해오지 않으며,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군청 앞과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손곡리 손곡국민학교 입구에 시비(詩碑)가 세워져 있다.

시집으로 제자 허균이 엮은 『손곡집』(6권 1책)이 있다. 이밖에 최경창의 외당질 유형(柳珩)이 엮은 『서담집(西潭集)』이 있었으나 현재 확인되지 않고, 1623년 이수광(李睟光)이 지어준 서문만이 전한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燃藜室記述
淸選考

[집필자]

송정현(宋正炫)
대표명이달(李達){1}
성명이달(李達)
이익지(李益之), 익지(益之)
손곡(蓀谷)

호 : "손곡(蓀谷)"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葵史v2字益之號蓀谷有詩集行于世載箕雅
野乘v29辦治行具常以為□適徃友人家見輕裘掛壁駿馬立廐謂主人曰欲迎某人返塊而所着甚薄且無所騎專恃來請主人果許之蓀谷衣裘乘馬直出東城仍作金剛行題一絶曰乘君之馬衣君衣萬里湖山雪正飛怊悵此行無送别興仁門外故人稀以詩書於東
野乘v29○我國文章以明宣為盛際蓀谷李達出於庶孼以詩鳴世尤長於七絶殆逼唐調與孤竹崔慶昌叢桂子鄭之升並驅騷壇時人以三唐稱之蓀谷每欲一見金剛
野乘v29之曰商胡賣錦江南市朝日照之生紫烟佳人欲買作裙帶手探籹奩無直錢給妓曰汝湏着此裙入視監司妓依其言監司見知蓀谷之過果優給裙價妓喜之曰始知一字千金也遂買錦衣之
野乘v29以明宣為盛際蓀谷李達出於庶孼以詩鳴世尤長於七絶殆逼唐調與孤竹崔慶昌叢桂子鄭之升並驅騷壇時人以三唐稱之蓀谷每欲一見金剛貧不能辦治行具常以為□適徃友人家見輕裘掛壁駿馬立廐謂主人曰欲迎某人返塊而所着甚薄且無所騎
野乘v29我國文章以明宣為盛際蓀谷李達
野乘v29有愁色蓀谷問其由對曰京商方來多有錦緞吾以詩翁之故不得買衣矣蓀谷笑曰價有幾何則能可取之妓嘲對何作多事問蓀谷解妓裙書之曰商胡賣錦江南市朝日照之生紫烟佳人欲買作裙帶手探籹奩無直錢給妓曰汝湏着此裙入視監司妓依其言
野乘v29月而歸裘已獘馬則瘦矣甞過大丘有房妓妓出外而有愁色蓀谷問其由對曰京商方來多有錦緞吾以詩翁之故不得買衣矣蓀谷笑曰價有幾何則能可取之妓嘲對何作多事問蓀谷解妓裙書之曰商胡賣錦江南市朝日照之生紫烟佳人欲買作裙帶手探
寒臯觀外史v27逹字益之號蓀谷洪州 人雙梅望詹之庻裔 官學官好閔字孝彥號五峯延安人官判樞謚文僖
國朝人物志v2字益之號蓀谷洪州人以善詩鳴一世如病客孤舟明月在老僧深院落花多之句一臠可知其味嘗過孤竹崔慶昌靈光任
國朝人物志v2以天文學敎授在京時太史星祲觀象監正李翻身自謂當之南笑曰自有當之者急還鄕卒于途中蓀谷李達哭以詩曰鸞馭飄然若木津君平簾下更何人東床弟子收遺稿玉洞桃花萬歲春格菴嘗於淸
國朝人物志v2事母甚孝雖當奔竄之際適口之味便身之物無不畢給少有英才隨玉峯公之京路由南原適値林白湖悌蓀谷李達松巖梁大樸同上廣寒樓酬唱公亦隅坐有明朝又向全城路匹馬迢迢獨詠詩之句座上莫不嘆賞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