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보흠(李甫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CF4D760D1457X0
자(字)경보(敬夫)
호(號)대전(大田)
시호(諡號)충장(忠莊)
생년?(미상)
졸년1457(세조 3)
시대조선전기
본관영천(永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현실(李玄實)

[상세내용]

이보흠(李甫欽)
미상∼1457년(세조 3).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경보(敬夫), 호는 대전(大田).

부사직 이현실(李玄實)의 아들이다.

1429년(세종 1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430년에 동부훈도관(東部訓導官)으로서 공법(貢法)의 논의에 참여하여 전제(田制)와 세법을 상론하였다.

1434년에는 사정(司正)으로서 우효강(禹孝剛)김순(金淳) 등의 문사와 함께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를 찬수하는 데 참여하였다. 이어 집현전박사를 역임하고, 1443년 감찰로서 사은사(謝恩使)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성균주부가 되었다. 이어 축성법에 대한 건의 또는 공법논의 등에 참여하였다.

외직을 맡을 때의 경험 등을 토대로 1445년에는 사창법(社倉法)에 관한 건의를 하여, 사창제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던 세자(뒤의 문종)의 총애를 받았다.

1448년에는 지함양군사(知咸陽郡事)의 외직을 맡고 있던 중 사창제도를 시행하려는 세자의 뜻에 따라 지대구군사(知大丘郡事)로 옮겨지고, 최초로 사창법을 시험적으로 실시하였다.

대구 지방의 효과적인 사창법의 시행으로 ‘순량(循良)’의 칭송을 얻었으며, 문종은 즉위 후 총애하던 그를 임기를 채우지 않고 경직(京職)에 초탁(超擢)하려 하였으나 사창제의 계속적 실시를 위하여 임기를 마쳤다. 그 공으로 1452년(문종 2) 장령에 초배(超拜)되었고 1454년(단종 2) 직예문관으로서 『세종실록』 편수의 기주관이 되었다.

수양대군(首陽大君)단종을 몰아낸 이후는 지순흥군사(知順興郡事)로 보외(補外) 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순흥에 유배중인 금성대군(錦城大君) 유(瑜)와 함께 재향품관(在鄕品官)‧군사(軍士)‧향리(鄕吏) 등 이른바 영남사인들을 규합하여 단종복위를 모의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박천에 유배된 뒤 같은해 10월에 교살되었다.

그가 정몽주(鄭夢周)의 문하인 권근(權近)변계량(卞季良)의 제자인 유방선(柳方善)에게 출신지인 영천에서 수학하였다는 점과 길재(吉再)의 묘에 문제(文祭: 以文祭之함)를 지냈다는 점, 그리고 대구수령을 맡을 때 공렴품관(公廉品官) 등 영남 지방의 재향사류(在鄕士類)와 연결하여 성리학적 향촌질서의 이론으로 주자(朱子)가 고안한 사창법을 최초로 실시하였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영남 성리학 학통의 계승과정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정조 때 복관되어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충청도 청안(淸安)향사(鄕祠), 광주(光州)대치사(大峙祠), 순흥성인단(成仁壇), 영천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장(忠莊)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世祖實錄
正祖實錄
國朝人物志
士林派의 留鄕所復位運動(李泰鎭, 震檀學報 34‧35, 1972‧1973)

[집필자]

이근수(李根洙)

성명 : "이보흠(李甫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錦城大君瑜安置順興與府使李甫欽謀復上王事泄皆坐死○後竝伸雪復官
國朝編年v03得罪宗社瑜擧兵而叛將欲挾魯山以危宗社罪惡貫盈天地之所不容斷以大義明正典刑上同○十月錦城大君瑜順興府使李甫欽謀復魯山事覺而死宗親府議政府忠勳府六曹啓魯山君得罪宗社近日亂言者皆以魯山爲言今若不置於法則欲圖富貴者
紀年便攷v7高亂氣灑然無一點塵累好學尤長於詩文書法奇絶為天下第一又善畵圖琴瑟之技性好右揬勝世祖丁丑安置順興與府使李甫欽謀復上王一日召甫欽辟人草撽有挾天子以令諸侯疇敢不從之句將發順興兵及南中與謀者迎 魯山以踰嶺順興及唱者
紀年便攷v7李甫欽
紀年便攷v7李甫欽永川人副司直玄實子太祖戊寅生字敬夫號大田從柳方善號泰齋學能文章有志節長於吏治世宗己酉文科與成三問朴彭
紀年便攷v8冊封海陽大君睿宗為王世子仍入學博士崔恒○十一月葬王世子在高陽卽敬陵誌文李承召撰○錦城大君瑜與順興府使李甫欽謀復上王事覺賜死初瑜至順興府使南欽慷慨流涕潜結南中人士為復上王計一日甫欽艸檄将發順興兵迎上王移奉于順
東國歷代總目v02三問等論死後冊是勳○丁丑是歲皇明英宗皇帝復帝位安置錦城大君瑜于順興府○瑜卽世宗大王第六子瑜到順興府使李甫欽與瑜合謀欲迎復上王移檄南中郡縣將興兵事覺論死南中士人死於錦城之獄者甚多
震乘總v2○始立注書記注法○錦城大君謀復九月錦城大君瑜謀復上王事覺死之瑜世宗第六子旣謫順上王不克死之興每與府使李甫欽慷慨流涕潛結南中人士爲復辟計召甫欽辟人草檄有挾天子以令諸侯疇敢不從之句將發順興兵及南中與謀者迎魯山以
記聞v8窮聲斷曉岑山月白血流春谷落花紅天聾尙未聞哀訴胡奈愁人耳獨聰境內旱焚香自禱天雨輒注丙子錄○錦城與前府使李甫欽相對輒慷慨流涕潛結南中士人爲復魯山計一日錦城召甫欽辟左右草檄將發順興兵及南中與議者迎魯山以踰嶺順興及
大東遺事v2絶嫌疑三啓不允後乃出居降封魯山君于錦城大君瑜家○降封上王爲魯山君安置于寧越郡安置瑜于順興府時順興府事李甫欽年老而能文多大節瑜與甫欽合謀將復上王草檄欲傳南中郡縣豐基倅奪其檄文上變告上命投瑜于海中又逮捕甫欽而誅
大東彙纂v7死也高靈甚愧之識小錄世祖丙子降封上王爲魯山君安置于寧越郡安置錦城大君瑜於順興府丁丑錦城至順興每與府使李甫欽相對輒慷慨流涕潛結南中士人爲復魯山計一日錦城召甫欽辟左右使草檄有曰挾天子以令諸侯疇敢不從云將發順興兵
靑野만集v2錦城大君至順興每與府使李甫欽相對輒慷慨流涕潛結南中士人爲復魯山計一日錦城大君召甫欽辟左右使草檄檄文只傳一句云扶天子以令諸侯疇敢不
國朝捷錄v01安置錦城大君瑜於順興瑜與府使李甫欽相對慷慨流沛甫欽祭吉冶隱文曰周武擧義夷齊採薇於首陽漢光中興子陵垂釣於富春南中士夫多死於錦城之變
李氏兩賢實紀v1謂難兄難弟矣故士林追仰倂侑鄕社亦可見百世之公議也一賢事蹟鈌臣等死罪竊以爲上所陳成三問兪應孚李塏柳誠源李甫欽五臣之絶祀者則必存祀而使之依歸焉下所陳李宗儉一賢缺二臣之泯沒者則必旌褒而使之表著焉然後可以植天經立人
李氏兩賢實紀v1義之報更無所憾而我殿下聖學大有光於孔朱傳述之旨義矣臣等又有未盡底意敢此尾陳焉六臣就義之時有曰忠莊公臣李甫欽者登第初被選集賢殿博士與成三問朴彭年柳誠源河緯地李塏等共纂歷代通鑑已有志氣之相契終致節義之同歸其殉節
李氏兩賢實紀v1心也死生同一義也而其無後絶祀又與彼四臣者同焉則今於存祀之典不可不倂施一體之恩例也故提學臣李宗儉忠莊公李甫欽之從兄也忠景公柳誠源之內從也嘗於端廟在春邸時爲宮僚以孝友登聞文宗大王賜堂號孝友故大提學臣卞季良詩曰聖
郯述v04李甫欽
廟殿宮園壇墓儀軌撰許慥 贈吏曹參判朴季愚贈吏曹判書行順興府使忠莊公李甫欽贈 工曹判書寧越郡戶長忠毅公嚴興道之神曰禮與享義取
韓史綮v1追廢顯德王后爲庶人以魯山君故○以權擥爲右議政尋陞左議政秋七月王斥錦城大君瑜于順興府瑜見府使李甫欽流涕說魯山君事甫欽亦泣遂相與圖恢復潛結義士將檄起嶺南諸邑兵有官奴竊檄上變告王乃遣人收甫欽及順興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