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희량(鄭希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D76CB7C9B1469X0
자(字)순부(淳夫)
호(號)허암(虛庵)
생년1469(예종 1)
졸년?(미상)
시대조선전기
본관해주(海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연경(鄭延慶)

[상세내용]

정희량(鄭希良)
1469년(예종 1)∼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순부(淳夫), 호는 허암(虛庵). 철원부사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492년(성종 23)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으나, 성종이 죽자 태학생(太學生)‧재지유생(在地儒生)과 더불어 올린 소가 문제되어 해주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1495년(연산군 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권지부정자에 임용되었다.

이듬해 김전(金詮)신용개(申用漑)김일손(金馹孫) 등과 함께 사가독서(賜暇讀書)될 정도로 문명이 있었다.

1497년 예문관대교에 보직되어 ① 임금이 마음을 바로잡아 경연(經筵)에 근면할 것, ② 간언을 받아들일 것, ③ 현사(賢邪)를 분별할 것, ④ 대신을 경대(敬待)하며, 환관을 억제할 것, ⑤ 학교를 숭상하며 이단을 물리칠 것, ⑥ 상벌을 공정히 하고 재용(財用)을 절제할 것 등의 소를 올린 바 있다.

다음해 선무랑행예문관봉교로서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무오사화 때에는 사초문제(史草問題)로 윤필상(尹弼商) 등에 의하여 신용개김전 등과 함께 탄핵을 받았는데, 난언(亂言)을 알고도 고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장(杖) 100, 유(流) 3,000리의 처벌을 받고 의주에 유배되었다가 1500년 5월 김해로 이배되었다.

이듬해 유배에서 풀려나 직첩을 돌려 받았으나 대간‧홍문관직에는 서용될 수 없게 되었다. 그해 어머니가 죽자 고양에서 수분(守墳)하다가, 산책을 나간 뒤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총민박학(聰敏博學)하고 문예에 조예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음양학(陰陽學)에도 밝았으며, 영달에는 마음이 없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海東名臣錄
典故大方

[집필자]

이병휴(李秉烋)

호 : "허암(虛庵)"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見睫錄v2嘉靖年間陶叟李先生讀易於小白山中有老釋證其句讀甚善先生疑其虛庵也誠問曰釋子知易乎辭謝不答又問知虛庵乎曰虛庵爲誰先生爲言之曰然吾嘗聞其姓名略知其爲人也曰世旣易矣禁亦
見睫錄v2嘉靖年間陶叟李先生讀易於小白山中有老釋證其句讀甚善先生疑其虛庵也誠問曰釋子知易乎辭謝不答又問知虛庵乎曰虛庵爲誰先生爲言之曰然吾嘗聞其姓名略知其爲人也曰世旣易矣禁亦釋矣何不出也曰其人母死不終喪不孝事君
見睫錄v2鄭希良字淳夫號虛庵首陽人好高節恥與惡人居博文多學尤邃於易氣甚壯一食生果數斗而不痺善餘大椀酒弘治八年選國子壯元尋擢文科嘗
見睫錄v2靖年間陶叟李先生讀易於小白山中有老釋證其句讀甚善先生疑其虛庵也誠問曰釋子知易乎辭謝不答又問知虛庵乎曰虛庵爲誰先生爲言之曰然吾嘗聞其姓名略知其爲人也曰世旣易矣禁亦釋矣何不出也曰其人母死不終喪不孝事君亡君之命
小華龜鑑v3字淳夫號虛庵知禍逃世
小華龜鑑v3鄭希良字淳夫號虛庵燕山元年登第爲翰林善陰陽學自推其命曰若在某干當大貴若在某干凶不可言每有逃世意○謏聞瑣錄曰淳夫性強健能
寒臯觀外史v32希良字淳夫號虛庵海州人官至奉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