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원준(任元濬){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84C6D0C900B1423X0
자(字)자심(子深)
호(號)사우당(四友堂)
시호(諡號)호문(胡文)
생년1423(세종 5)
졸년1500(연산군 6)
시대조선전기
본관풍천(豊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증조부임군보(任君輔)
공신호좌리공신(佐理功臣)

[상세내용]

임원준(任元濬)
1423년(세종 5)∼1500년(연산군 6).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자심(子深), 호는 사우당(四友堂).

고려 밀직사판사 임군보(任君輔)의 증손이다.

10세에 글을 지어 신동으로 불렸다.

1445년(세종 27) 세종효령대군(孝寧大君)의 농장에 갔을 때 그가 글을 잘 짓는 것을 보고 칭찬하였으며, 얼마 되지 않아 동반직의 벼슬을 주었다.

1456년(세조 2)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집현전부교리가 되었다. 다음해 중시에 병과로 합격하여 사헌부장령봉상시판사(奉常寺判事) 등을 거쳐 이조참의에 오르고, 호조예조병조형조 등 4조의 참판을 지냈다.

1466년 발영(拔英)‧등준(登俊)의 양시에 합격하여, 바로 예조판서의정부 우참찬에 올랐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3등이 되고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다. 문장으로 이름이 났고, 풍수‧의복(醫卜)에도 능통하였다.

그러나 성품이 교활하고 탐사(貪邪)하며, 그의 아들 임사홍(任士洪), 손자 임숭재(任崇載)도 탐욕스럽고 간사하여 나라를 그르치게까지 되어 당시 사람들이 대임(大任)‧소임(小任)이라고 하였다. 시호는 호문(胡文)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睿宗實錄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집필자]

이재룡(李載龒)

명 : "원준(元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9行惡迹著自 先朝請竄士洪父子以荅天譴 上即收士洪告身元濬不可以子罪及其父勿問應教蔡壽䓁詩曰臣䓁義不與元濬同周旋於經筵乞罷臣䓁職 上允
紀年便攷v9承旨任士洪陰險邪侫凢古小人之態兼而有之其父元濬穢行惡迹著自 先朝請竄士洪父子以荅天譴 上即收士洪告身元濬不可以子罪及其父勿問應教蔡壽䓁詩曰臣䓁義不與元濬同周旋於經筵乞罷臣䓁職 上允
紀年便攷v10任士洪元濬子孝寧大君孫婿字而毅又子深世祖丙戌以司正登親試成宗朝南孝温上䟽請復 昭淩士洪防啓以為朋黨請鞫治不許上
羹墻錄v3任元濬聰明絶世上命召試七步詩命以白衣參集賢殿英宗皇帝復辟欲進賀表上促召元濬元濬適出不卽赴召上命鞫之元濬追至惶遽撰進有曰十八載垂衣之化久浹於烝黎千萬年曆服之長復歸於一德上喜曰表
羹墻錄v3任元濬聰明絶世上命召試七步詩命以白衣參集賢殿英宗皇帝復辟欲進賀表上促召元濬元濬適出不卽赴召上命鞫之元濬追至惶遽撰進有曰十八載垂衣之化久浹於烝黎千萬年曆服之長復歸於一德上喜曰表文中可塡此用之有司上讞批曰才
羹墻錄v3任元濬聰明絶世上命召試七步詩命以白衣參集賢殿英宗皇帝復辟欲進賀表上促召元濬元濬適出不卽赴召上命鞫之元濬追至惶遽撰進有曰十八載垂衣之化久浹於烝黎千萬年曆服之長復歸於一德上喜曰表文中
寒臯觀外史v1元濬字子㴱號四友堂豊川人官判樞
郯述v02父允洪元濬
國朝人物志v1曰臣非文臣奉亦武人請得一文官爲副於是以西河君任元濬爲副卽日肅拜宿于栗峯驛守身謂元濬曰以君之重而副我我今慰心夜半中使至曰元濬不可遠出改以金禮蒙守身無如之何執手流
國朝人物志v1曾孫聰明絶世世宗在燕寢隔窓謂東宮曰古人有擊鉢催詩者七步成詩者宜以雲爲題呼韻試此措大作詩元濬卽應聲曰駘蕩三春後悠揚萬里雲凌風千丈直映日五花文祥光嶷玉殿瑞氣擁金門待得從龍日爲霖
國朝人物志v1任士洪論南孝溫復昭陵之罪瓊仝與焉大東韻玉任士洪字士毅豐川人贊成元濬子孝寧大君子寶成君㝓壻也世祖丙戌文科吏曹判書助燕山淫虐中宗靖國時使人
國朝人物志v1書之曰盜殺則奈何廣輔笑而起荷谷粹語中宗改玉朴元宗等遣勇士斬士洪于其家及其父元濬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