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우인열(禹仁烈)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B0C778B82CB1337X0
시호(諡號)정평(靖平)
생년1337(충숙왕 후6)
졸년1403(태종 3)
시대조선전기
본관단양(丹陽)
활동분야무신 > 무신
공신호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상세내용]

우인열(禹仁烈)
1337년(충숙왕 복위 6)∼1403년(태종 3). 여말선초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1359년(공민왕 8) 홍건적이 침입하였을 때 원수 한방신(韓方信)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감찰어사가 되고, 1372년 제주체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판선공시사(判繕工寺事)로서 명나라에 가서 말을 바치고 왔으며, 이듬해 다시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375년(우왕 1)에 응양군상호군(鷹揚軍上護軍)으로서 명사피살사건(明使被殺事件)으로 간관의 탄핵을 받은 이인임(李仁任)에게 아부하여 한리(韓理)와 함께 이를 변호하였다.

이듬해 경상도도순문사를 거쳐 1377년 경상도원수로서 영광장사(長沙)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하였고, 다음해 경상 양광 전라삼도도체찰사(慶尙楊廣全羅三道都體察使)가 되어 왜구를 방어하였다.

1379년 지문하사(知門下事)로서 경상도상원수가 되어 청도(淸道)에서 왜구를 격파, 이어 합포(合浦)사주(泗州)에서 또 왜구를 대파하고 합포도순문사가 되었다.

1383년 찬성사상의(贊成事商議)로서 청평에 들어온 왜구를 토벌하였고, 1385년 서북면도순문사가 되었다.

1387년 문하평리 상의(門下評理商議)로서 홍징(洪徵)과 함께 한양산성(漢陽山城)의 수축과 전함의 수리를 감독하였으며, 1388년(창왕 즉위)에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서 정당문학(政堂文學) 설장수(偰長壽)와 함께 명나라에 들어가서 창왕의 습위(襲位)를 알렸다.

1390년(공양왕 2) 계림윤(鷄林尹)이 되었으나, 전년에 있었던 김저(金佇)의 옥사(獄事)에 변안열(邊安烈)이림(李琳)우현보(禹玄寶) 등과 연루되었다는 대간의 탄핵을 받아 청풍군(淸風郡)으로 유배되었다. 곧 풀려났으나, 다시 윤이(尹彛)이초(李初)의 무고 때문에 청주옥에 갇혔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392년 조선개국 후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로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하여 판개성부사가 되었으며,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올랐다.

1395년(태조 4) 개성유후사유후(開城留後司留後)가 되고, 1400년(정종 2) 판승녕부사(判承寧府事)에 이어 판삼사사(判三司事)로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갔다가 1401년(태종 1)에 귀국, 이해 정종의 사위(辭位)와 태종의 습위를 허락한 데 대한 사은사명나라에 다녀왔다.

1403년 검교좌정승(檢校左政丞)에 올라 병사하였다. 시호는 정평(靖平)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太祖實錄
定宗實錄
太宗實錄

[집필자]

손홍렬(孫弘烈)

성명 : "우인렬(禹仁烈)"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5禹仁烈
紀年便攷v5禹仁烈平章事文純公福生子倬從孫恭愍朝屡遷繕工判事厯鷹揚軍上護軍以慶尙元帥伐倭再有㓛進賛成事辛禑庚申從我太祖
野乘v1○遣周英贊禹仁烈賀正金潜宋文中曺信應擧至慈隱島英潜溺死仁烈文中得還
野乘v1禹仁烈偰長壽䓁以禑避位表如亰師
野乘v1忠輔令入闕日擧事圖李侍中忠輔佯諾奔告太祖得厚自刎囚佇巡軍獄鞫之辭連判書趙方興邊安烈李琳禹玄寳禹仁烈王安德禹洪壽於是迀禑江陵放昌于江華廢爲庶人○立宗室㝎昌君瑤是爲恭讓王初帝冊異姓爲王我太祖與
野乘v1兵馬将犯上國李穡䓁以爲不可卽将李穡曹敏修李琳邊安烈權仲和張夏李崇仁權近李種學李貴生殺害将禹玄宝禹仁烈鄭地金宗衍尹有獜洪仁柱陳乙瑞慶㭪李仁敏遠流其在貶宰相䓁潛遣我䓁来告仍請動天下兵来討乃出彛初所記穡
靑野謾集v1太祖在潛邸與禹仁烈坐西廳見有三鼠緣楣而走太祖呼童取弓及撲頭三候之一鼠旋過于楣太祖以爲中之而已不至於傷可矣遂射之鼠與矢俱
靑野謾集v1宗衍逃大索境內遂下禹玄寶權仲和慶補長夏洪麟桂尹有麟于巡軍獄竝下崔公哲等十一人于獄又囚李穡李琳禹仁烈李仁敏鄭地李崇仁權李種學李貴生等于淸州獄王以淸州大水召沈德符及我太祖議放罪囚遣吏曹判書趙薀于淸
東國續修文獻錄v1伸盧嵩字中甫號桑村光州人文右政丞朴可興順天人文政丞平陽君靖厚李貴榮字修之延安人右政丞致仕康胡禹仁烈丹陽人右政丞靖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