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李慥)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C774C870FFFFD1411X0 |
초명(初名) | 이보자(李甫刺) |
생년 | ?(미상) |
졸년 | 1411(태종 11) |
시대 | 고려후기 |
본관 | 덕산(德山) |
활동분야 | 관료 |

부 | 이영(李英)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조(李慥)
미상∼1411년(태종 11). 본관은 덕산(德山). 초명은 이보자(李甫刺).
고려조 판도판서(版圖判書) 이영(李英)의 둘째 아들로, 고려 공양왕(恭讓王) 2년(1390) 경오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천성이 질박하고 곧아, 조선개국 후 낙향하여 은둔하고 있었으나,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 하륜(河崙)의 천거로 정계에 진출하였다.
태조 2년(1393) 좌습유(左拾遺)로 있을 때, 세자빈(世子嬪) 유씨(柳氏)와 내시 이만(李萬) 사건의 전모를 밝히라는 상언(上言)을 한 죄로, 각산(角山)에 유배되었다. 태조 7년(1398) 응교(應敎)를 거쳐 이조의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직첩(職牒)과 전민(田民: 전지와 백성)을 빼앗기고, 덕흥진(德興鎭)에 유배되었다.
1407년(태종 7) 유례상정소(儒禮詳定所)를 설치했을 때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에 제수되었고, 이듬해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10년(태종 10) 집현전제학(集賢殿提學)을 거쳐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올랐다. 그리고 당시 세자였던 세종(世宗)의 사부이기도 하다.
아들 이익박(李益朴)은 황희(黃喜) 문하에서 수학한 청백리였으며, 문장과 학행도 일세의 스승이라 할 정도로 뛰어났다. 관직은 황해도(黃海道)‧충청도(忠淸道) 관찰사(觀察使)와 영흥대도호부사(永興大都護府使)를 지냈다.
고려조 판도판서(版圖判書) 이영(李英)의 둘째 아들로, 고려 공양왕(恭讓王) 2년(1390) 경오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천성이 질박하고 곧아, 조선개국 후 낙향하여 은둔하고 있었으나,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 하륜(河崙)의 천거로 정계에 진출하였다.
태조 2년(1393) 좌습유(左拾遺)로 있을 때, 세자빈(世子嬪) 유씨(柳氏)와 내시 이만(李萬) 사건의 전모를 밝히라는 상언(上言)을 한 죄로, 각산(角山)에 유배되었다. 태조 7년(1398) 응교(應敎)를 거쳐 이조의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직첩(職牒)과 전민(田民: 전지와 백성)을 빼앗기고, 덕흥진(德興鎭)에 유배되었다.
1407년(태종 7) 유례상정소(儒禮詳定所)를 설치했을 때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에 제수되었고, 이듬해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10년(태종 10) 집현전제학(集賢殿提學)을 거쳐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올랐다. 그리고 당시 세자였던 세종(世宗)의 사부이기도 하다.
아들 이익박(李益朴)은 황희(黃喜) 문하에서 수학한 청백리였으며, 문장과 학행도 일세의 스승이라 할 정도로 뛰어났다. 관직은 황해도(黃海道)‧충청도(忠淸道) 관찰사(觀察使)와 영흥대도호부사(永興大都護府使)를 지냈다.
[참고문헌]
富川族譜專門圖書館(http://www.jokbo.re.kr)
朝鮮王朝實錄
충청남도 사이버문화원「조선전기의 사회경제와 예산-2」
朝鮮王朝實錄
충청남도 사이버문화원「조선전기의 사회경제와 예산-2」
[집필자]
박경이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