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적(曺頔)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70C801FFFFD1339X0
생년?(미상)
졸년1339(충숙왕 후8)
시대고려후기
활동분야변란 > 모반인
처부염승익(廉承益)

[상세내용]

조적(曺頔)
미상∼1339년(충숙왕 복위 8). 고려의 반역자.

의흥군(義興郡) 역리출신(驛吏出身)이라고 하는데 확실하지 않다. 충렬왕 때 환관들과 결탁하여 권세를 내외에 떨쳤다. 충선왕이 즉위하자 왕의 총애를 받아 여러 차례 승진하여 우상시(右常侍)에 이르렀다.

1312년(충선왕 4) 환관을 바치고자 원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1320년(충숙왕 7) 선부전서(選部典書)가 되었다.

1323년에는 만호로서 원나라에 공물을 바친 일도 있다. 일찍이 염승익(廉承益)의 서녀(庶女)와 혼인하였는데, 장인의 외손인 정안군(定安君) 허경(許慶)과 재물을 놓고 다투다가 최안도(崔安道) 등의 직설로 왕의 미움을 사자 호군고자영(高子英) 등과 몰래 원나라로 도망하였다.

그뒤 채하중(蔡河中)과 더불어 심양왕(瀋陽王) 고(暠)에 아부하여 갖은 모략으로 충숙왕을 비방함으로써 원나라 조정으로 하여금 왕을 불신하도록 조장하였으며, 다시 심양왕고려왕으로의 즉위를 노려 1324년에는 원나라에 거주하는 고려인 2,000여명의 서명을 받아 원나라한림원(翰林院)중서성충숙왕을 헐뜯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그 결과 1327년에 왕으로 하여금 심양왕에게 선위하도록 하는 데 성공하였으나, 이조년(李兆年) 등의 반대로 취소되자 왕이 귀와 눈이 멀어 정사를 처리하지 못한다고 무고하였다.

1328년에 원나라태정제(泰定帝)평장사(平章使) 매려(買驪)사인(舍人) 역특미실불화(亦忒迷失不花)로 하여금 진상을 조사하도록 명하자 매려 등과 함께 고려에 돌아왔으나, 무고임이 드러나자 다시 원나라로 돌아갔다.

1332년(충혜왕 2) 선왕인 충숙왕이 복위하자 심양왕과 함께 귀국하여 지밀직사(知密直事)가 되고, 이듬해 찬성사를 거쳐 1338년(충숙왕 복위 7)에 첨의좌정승(僉議左政丞)에 올랐다.

이듬해 충숙왕이 죽고 충혜왕이 복위하자 심양왕과 함께 원나라로 가던 도중 평양에 이르러 충숙왕 비인 경화공주(慶華公主)로부터 충혜왕의 음란함을 듣고 왕의 폐위를 공언하고 개경에 돌아와 전 호군 이안(李安) 등을 순군수령(巡軍首領)으로 삼아 국인(國印)을 영안궁(永安宮)에 감춘 뒤 무리 1,000여명을 이끌고 충혜왕을 공격하다가 오히려 패배하여 살해되었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집필자]

임영정(林英正)
대표명조적(曺頔)
적(頔)
성명조적(曺頔)

명 : "적(頔)"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4頔會有金注莊者自元來言帝已許王忠宣襲位云頔黨聞之稍稍遁去頔遂輿彬等點軍千餘人夜五皷進襲王宫射王肩已而兵爲王卒所敗頔走入公主殿王卒追入射殺之卽忠宣復位己卯也官至政丞
紀年便攷v4王印置氷安宫令李達衷金得培等守之士大夫多歸于頔會有金注莊者自元來言帝已許王忠宣襲位云頔黨聞之稍稍遁去遂輿彬等點軍千餘人夜五皷進襲王宫射王肩已而頔兵爲王卒所敗頔走入公主殿王卒追入射殺之卽忠宣復位己卯也官
紀年便攷v4而陰爲瀋王地取國王印置氷安宫令李達衷金得培等守之士大夫多歸于頔會有金注莊者自元來言帝已許王忠宣襲位云黨聞之稍稍遁去頔遂輿彬等點軍千餘人夜五皷進襲王宫射王肩已而頔兵爲王卒所敗頔走入公主殿王卒追入射殺之卽
紀年便攷v4自元來言帝已許王忠宣襲位云頔黨聞之稍稍遁去頔遂輿彬等點軍千餘人夜五皷進襲王宫射王肩已而頔兵爲王卒所敗走入公主殿王卒追入射殺之卽忠宣復位己卯也官至政丞
紀年便攷v4曺頔王旣逼蒸公主稱疾不出公主召具道見暴狀頔與洪彬及省官等聲言逐羣小而陰爲瀋王地取國王印置氷安宫令李達衷金得培等守之士大夫多歸于頔會
紀年便攷v4曺頔王旣逼蒸公主稱疾不出公主召頔具道見暴狀與洪彬及省官等聲言逐羣小而陰爲瀋王地取國王印置氷安宫令李達衷金得培等守之士大夫多歸于頔會有金注莊者自
紀年便攷v4召頔具道見暴狀頔與洪彬及省官等聲言逐羣小而陰爲瀋王地取國王印置氷安宫令李達衷金得培等守之士大夫多歸于會有金注莊者自元來言帝已許王忠宣襲位云頔黨聞之稍稍遁去頔遂輿彬等點軍千餘人夜五皷進襲王宫射王肩已而頔
紀年便攷v4時伯顏官太保曾不禮於前王待之甚薄蓄其宿憾使王與黨辨李兆年慷慨謂李齊賢曰吾欲面訴丞相其意可回列㦸守門莫呌其閽幸其出田城南吾當上書道左碎首馬蹄之下死明
紀年便攷v4洪彬忠惠入元囚于刑部宰相金倫洪彬金仁沇韓宗愈等同囚五府官雜問之黨多利口不能自明事將危殆彬曰頔王之奴也奴而欲戕其主王法所不赦王罪當從末减彬以先王遺命權行省事事于邦憲
紀年便攷v4洪彬忠惠入元囚于刑部宰相金倫洪彬金仁沇韓宗愈等同囚五府官雜問之頔黨多利口不能自明事將危殆彬曰王之奴也奴而欲戕其主王法所不赦王罪當從末减彬以先王遺命權行省事事于邦憲者彬實當之辭氣慷慨人皆爲彬危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