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가신(鄭可臣)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AC00C2E0D1298X0
초명(初名)정흥(鄭興)
자(字)헌지(獻之)
시호(諡號)문정(文靖)
생년?(미상)
졸년1298(충렬왕 24)
시대고려후기
본관나주(羅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송수(鄭松壽)

[상세내용]

정가신(鄭可臣)
미상∼1298년(충렬왕 24). 고려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초명은 정흥(鄭興). 자는 헌지(獻之).

향공진사(鄕貢進士) 정송수(鄭松壽)의 아들이다.

어려서 승려 천기(天琪)를 따라 서울(개경)에 왔으나 의지할 곳이 없다가 태부소경(太府少卿) 안홍우(安弘祐)의 데릴사위가 되었다.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요직을 여러번 거친 뒤 1277년(충렬왕 3) 보문각대제(寶文閣待制)에 임명되었다.

1280년 첨의중찬(僉議中贊) 김방경(金方慶)이 퇴직하기를 청하자 승지로서 왕명을 받아 이를 물리쳤다.

1290년 세자가 원나라에 갈 때 그 스승으로 민지(閔漬)와 함께 수행하였다.

1291년에 정당문학(政堂文學)이 되어 원나라에 가서 성절(聖節)을 축하하였으며, 첨의찬성사 세자이사(僉議贊成事世子貳師)에 임명되었다.

1294년에는 원나라성종(成宗)한림학사 살자만(撒刺蠻)으로 하여금 고려가 귀부한 연월(年月)을 물어오자 글로 답하였다.

1295년에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진사를 취하고, 강훤(姜萱) 등 27명을 급제시켰다.

1296년에 왕이 상화연(賞花宴)을 향각(香閣)에서 베풀자 축하하는 시를 올렸는데, 왕은 도첨의낭사(都僉議郞舍)와 금내6관(禁內六官) 및 학관(學官)에게 명하여 상화내연시(賞花內宴詩)를 써서 화답하게 하였다.

1297년에 첨의중찬 판전리사사(僉議中贊判典理司事)‧세자사(世子師)에 임명되었다.

1298년에 왕에게 글을 올려 첨의중찬으로 퇴관하기를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고 5일 만에 한번씩 조회에 참석하도록 하였으며, 곧 벽상삼한삼중대광 수사공(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을 더하였으나 얼마 되지 않아 갑자기 죽었다.

성품이 정직하고 엄정하여 일을 처리하는 데 법도(法度)가 있어 국인(國人)들의 칭송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그의 죽음에 대하여서는 약을 먹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설이 있다.

거소에 편액(扁額)하기를 설재(雪齋)라 하고 매일 현사(賢士) 대부(大夫)로 고금(古今)을 의논하니, 벼슬이 대관(大官)에 올랐어도 행동은 서생(書生)과 같았다.

고려 호경대왕(虎景大王: 고려 태조의 조상)으로부터 원종까지의 일을 기록한 역사서인 『금경록(金鏡錄)』을 찬집하였고, 그밖에 많은 사령(辭令)을 지었다. 충선왕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집필자]

강진철(姜晉哲)
대표명정가신(鄭可臣)
가신(可臣)
성명정가신(鄭可臣)
시호문정공(文靖公)

명 : "가신(可臣)"에 대한 용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