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민지(閔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BBFCC9C0FFFFB1248X0
자(字)용연(龍涎)
호(號)묵헌(黙軒)
시호(諡號)문인(文仁)
생년1248(고종 35)
졸년1326(충숙왕 13)
시대고려후기
본관여흥(驪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5대조민영모(閔令謨)
저서『묵헌집』

[상세내용]

민지(閔漬)
1248년(고종 35)∼1326년(충숙왕 13).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용연(龍涎), 호는 묵헌(黙軒). 평장사 민영모(閔令謨)의 5대손이며, 민상정(閔祥正)의 아버지이다.

1266년(원종 7)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고, 1279년(충렬왕 5) 전중시사(殿中侍史)를 거쳐 예빈윤(禮賓尹)이 되었다. 충선왕이 세자 때인 1290년 정가신(鄭可臣)과 함께 세자를 따라 원나라에 가서 한림직학사 조열대부(翰林直學士朝列大夫)의 벼슬을 받았다.

1258년 원나라가 두번이나 실패한 일본정벌을 결행하려 하자 좌부승지로 왕을 따라 원나라에 가서 동정(東征)의 불필요함을 역설하여 전함(戰艦) 건조를 중지하도록 하였다.

그뒤 집현전대학사 첨광정원사(集賢殿大學士僉光政院事)가 되고 충선왕초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다.

1321년(충숙왕 8)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다.

1323년 가락군(駕洛君) 허유전(許有全), 흥녕군(興寧君) 김거(金䝻)와 함께 원나라에 가서 충선왕의 환국을 청할 표문(表文)을 지었다. 이 문장은 명문으로 그 뜻이 간절하고 때로는 애통한 듯하였다.

그러나 원나라에 머무른 지 6개월이 되어도 심왕(瀋王)무리의 간계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는 정가신이 지은 『천추금경록(千秋今鏡錄)』 7권을 권부(權溥)와 교열, 증수하여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라 이름하였고, 또 『본국편년강목(本國編年綱目)』 42권을 편찬하였으나 모두 전하지 않고 있다.

사관은 민지를 평하기를, “그는 문예는 있으나 습속이 많고 심술이 바르지 않아 나인(內人)을 아첨하여 섬기고, 또한 성리(性理)의 학을 알지 못하여 주자(朱子)의 소목론(昭穆論: 종묘 신위의 차례를 말함.)을 그르다고 하였으니 편벽함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아마 고려사를 편찬한 조선 성리학자들의 견해로 보인다.

저서로는 『묵헌집』이 있다. 시호는 문인(文仁)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집필자]

진성규(秦星圭)

명 : "지(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4子昭穆之義爲非所見之偏類此入元力言忠宣之短權漢㓛之請立瀋王也以耆舊大臣首署其名於呈書忠宣爲世子時入元以師儒從行元主拜爲直學士好佛道遍遊名山北漢西岩寺即其所居之地遠遊菴即其遊賞之地也甞撰進本朝綱目四十二
紀年便攷v4閔安仁曾孫文叛圖判書璿弱冠入中原補成均生子崔文度婿字子復㳟愍甲寅文科父喪廬墳三年性賁直嗜學好古不惑異端不喜
紀年便攷v5閔由誼驪興人曾孫版圖判書璿子字子宜號漁逸恭愍王朝以前錄事中進士第辛禑時爲正言與門下舍人金濤等上䟽請誅嬖臣金興慶等
紀年便攷v6閔汝翼曾孫評議玹子恭愍王己亥生甲寅十六司馬辛禑庚申文科入我 朝策開國功三等封驪川府院君官止大匡大提學入耆社
東史例v1歎也金寬毅觀其所撰其人可知閔漬忠肅王時爲政丞者麗史云漬撰進本朝編 年綱目上起國初下迄高宗書凡四十二卷有文藻而心術不正不知性理之學其論昭穆以朱子議 爲非云云麗史所論如此而觀楡岾寺記則漬之爲人亦可知矣○閔
東史例v1按金富軾世所稱博雅之士非浮妄之輩而 作史如此誠可歎也金寬毅觀其所撰其人可知閔漬忠肅王時爲政丞者麗史云撰進本朝編 年綱目上起國初下迄高宗書凡四十二卷漬有文藻而心術不正不知性理之學其論昭穆以朱子議 爲非云
東史例v1迄高宗書凡四十二卷漬有文藻而心術不正不知性理之學其論昭穆以朱子議 爲非云云麗史所論如此而觀楡岾寺記則之爲人亦可知矣○閔漬楡岾寺記五十三佛自西 域舍衛國乘金鍾泛海至月氏國云云安昌縣宰盧偆往迎云云○南秋江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