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도(金濤)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40B3C4FFFFD1379X0
자(字)장원(長源)
생년?(미상)
졸년1379(우왕 5)
시대고려후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출신지연안부(延安府)

[상세내용]

김도(金濤)
미상∼1379년(우왕 5). 고려 말의 문신. 자는 장원(長源). 본관은 연안(延安). 연안부(延安府) 출신.

1370년(공민왕 19) 8월 박실(朴實)유백유(柳伯濡) 등과 함께 향공으로 뽑혀 정조사(正朝使) 권균(權鈞)을 따라 명나라에 갔다.

이듬해에 제과(制科)에 급제, 동창부(東昌府) 구현(丘縣)의 승(丞)에 임명되었으나, 중국어에 서투르고 고향에 노친이 있음을 이유로 사퇴하고 돌아왔다. 그가 귀국하자 공민왕은 예로 맞이하고 우사간 예문관응교(右司諫藝文館應敎)를 초수(超授)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쳐 성균사예(成均司藝)에 오르고 우왕이 즉위하자 문하사인(門下舍人)으로서 좌사의(左舍議) 유순(柳珣), 기거사인(起居舍人) 박상진(朴尙眞),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 안종원(安宗源) 등과 함께 환관의 정치간여 금지를 내용으로 도당(都堂)에 글을 올렸다.

또, 좌사의 안종원, 보궐(補闕) 임효선(林孝先), 정언(正言) 노숭(盧嵩) 등과 함께 왕에게 김흥경(金興慶)과 그 일당 왕백(王伯)안소(安沼)정귀수(鄭貴壽) 등을 내쫓고 유신(維新)의 정교(政敎)를 펼 것을 상소하여 김흥경언양(彦陽)으로 귀양보내고 그의 집을 몰수하였다.

1376년(우왕 2) 12월에 좌부대언(左副代言)에 오르고, 이듬해 3월에는 지신사(知申事)로서 국자감시관(國子監試官)이 되어 정전(鄭悛) 등 99인을 뽑았으며, 곧 밀직제학(密直提學)으로 승진하였다.

이때 찬성사 홍중선(洪仲善)과 어울려 반대세력을 비판하여 권신 이인임(李仁任)의 미움을 받게 되었는데, 1379년 가노(家奴)가 연경궁(延慶宮) 옛터의 돌을 훔친 일로 이인임의 탄핵을 받아 파면되었다.

그러나 환관 이득분(李得芬)의 도움으로 화는 면하였으나, 같은해 7월에 양백연(楊伯淵)의 옥사에 연루되어 효수당하였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집필자]

신천식(申千湜)

��� : "������(������)"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延安金濤㳟愍列自知汝知 何文列孝誠世宗列友臣成列諶成列訢成湖詮成湖勘成湖謹思中相安老禧中相祺中湖禔明列二悌男
紀年便攷v4寅十七以成均進士登科庚戌充貢使時年二十五辛亥中中朝乙科宣授安丘縣丞以親老歸本國官止密直提學㳟愍甞手書金濤長源蘿葍山人八字以賜之己未忤李仁任辭連於楊伯淵被逮栲掠甚酷絶而復蘇遂誣服殺之梟首年三十六濤臨死謂獄官
紀年便攷v4金濤延安人提學光厚子字長源號蘿葍山人李穡門人博洽經史㳟愍壬寅十七以成均進士登科庚戌充貢使時年二十五辛亥中
紀年便攷v4金濤
紀年便攷v5柳伯濡瑞山人漢城尹號琴軒方澤子字淳夫號樗亭恭愍己酉以生負登科以經明行高與金濤朴實等貢舉中朝隨我 太祖威化之行軍還䇿勳辭以無汗馬之勞禑立歎曰今日之舉無一介忠臣矣議革私田伯濡與李穡
紀年便攷v5除宰樞至五十餘人如物議何今之宰樞竊祿尸位而心不正者無我若也仁任曰公心不正誰爲正乎池李深啣之嗾臺官許時金濤等劾續命曰於般若之獄發口不可道之說不敬莫甚請鞫治之太后力救乃流文義時議惜之官至三司右使辛禑丙寅卒謚忠
紀年便攷v5閔由誼驪興人漬曾孫版圖判書璿子字子宜號漁逸恭愍王朝以前錄事中進士第辛禑時爲正言與門下舍人金濤等上䟽請誅嬖臣金興慶等官止知益州事見國事日非棄官歸迨 本朝興不入戶籍有人請治之太祖曰閔氏豈可無一人義
野乘v1○禑五年己未殺贊成楊伯淵洪仲宣于流所又殺提學金濤䓁七人杖流成石璘䓁四人伯淵䓁與仁任堅味有隙仁任嗾坮官劾仲宣潛懷異志伯淵通妻弟並流之瑩白禑
寒臯觀外史v2壮元考勾會顧祖訓㪽撰也其首卷云洪武四年髙丽國入試者三人惟金濤登第授東昌府安丘縣丞尋以不通華言請還本國詔給道里費遣之余按入試者三人內其二人則朴柳伯濡也濤字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