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공양왕(恭讓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F5C591C655B1345X0
이명(異名)왕요(王瑤)
생년1345(충목왕 1)
졸년1394(태조 3)
시대고려후기
본관개성(開城)
활동분야왕실 > 왕
왕균(王鈞)
국대비 왕씨(國大妃王氏)
순비 노씨(順妃盧氏)
처부노진(盧稹)

[상세내용]

공양왕(恭讓王)
1345년(충목왕 1)∼1394년(태조 3). 고려 제34대왕. 재위 1389∼1392년.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왕요(王瑤). 신종(神宗)의 7대손으로 정원부원군(定原府院君) 왕균(王鈞)의 아들이며, 모친은 국대비 왕씨(國大妃王氏)이다. 비는 창성군(昌成君) 노진(盧稹)의 딸 순비 노씨(順妃盧氏)이다.

1389년 이성계(李成桂)심덕부(沈德符) 등에 의하여 창왕이 폐위되자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 이성계일파의 압력과 간섭을 물리치지 못하고 우왕강릉에서, 창왕강화에서 각각 살해하였다.

재위 3년동안 정치‧경제‧교육‧문화 등 사회전반에 걸친 몇 차례의 제도개편을 단행하였으나, 그것은 이성계 등 신진사대부들의 자기네 세력부식을 위한 사회개혁이었다.

우선, 관제에 있어서 전리사(典理司)판도사(版圖司)예의사(禮儀司)군부사(軍簿司)전법사(典法司)전공사(典工司) 등을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의 6조로 개편하고, 첨설직을 폐지하였다.

유학의 진흥을 위하여 개성의 오부와 동북면과 서북면의 부‧주에 유학교수관을 두었으며, 과거시험에 무과를 신설하였다.

배불숭유론에 의한 주자가례를 시행하여 집집마다 가묘를 세워 음사(淫祀)를 근절시키고, 출가한 무리를 찾아내어 본업에 돌리고, 오교양종(五敎兩宗)을 없애고 군사에 보충함과 동시에 불사(佛寺)의 재산을 몰수하여 각 관사에 분속시켰다.

1390년 도선(道詵)의 비록(秘錄)에 의하여 한양으로 천도하여 판삼사사(判三司事) 안종원(安宗源) 등으로 개성을 지키게 하고 백관을 분사(分司)하게 하였으나, 이듬해 민심의 동요로 다시 개성으로 환도하였다.

경제면에 있어서는 1391년 광흥창(廣興倉)풍저창(豊儲倉)서강(西江)에 세워 조운의 곡식을 비축하게 하였으며, 개성 오부에는 의창(義倉)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조준(趙浚)의 건의로 과전법을 실시하여 녹제와 전제를 개혁, 신흥세력의 경제적 기반을 다지게 하였다.

또한, 인물추고도감(人物推考都監)을 두어 노비결송법과 결송법을 정하였다.

1391년 이성계일파를 반대한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되자 형세는 이성계의 독무대가 되고, 조준정도전(鄭道傳)남은(南誾) 등에 의하여 이성계가 왕으로 추대됨으로써 공양왕의 폐위와 함께 고려왕조는 끝나고 말았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원주로 방치되었다가 간성군(杆城郡)으로 추방되면서 공양군(恭讓君)으로 강등되었고, 1394년 삼척부(三陟府)로 옮겨졌다가 사사되었다.

능은 고릉(高陵)으로 경기도 고양군 원당면에 있는 것과 강원도 삼척군 근덕면에도 공양왕릉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말과 조선초의 고려왕실의 불안하였던 모습을 보여준다.

조선 태종 16년 공양왕으로 추봉되었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太祖實錄

[집필자]

민병하(閔丙河)

왕명 : "공양(恭讓)"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3七世孫定原府院君釣子初封定昌府院君大明太祖洪武二十二年己巳以恭愍王妃安氏敎立二十五年壬申遜于原州降封恭讓君尋移杆城後二年甲戌薨于三陟在位四年壽五十我○太宗丙申改號恭讓王陵墓在高陽○母卞韓國大妃王氏忠烈王曾
國朝編年v01遂開之直書革命時事無所隱諱乃驚曰此乃吾等滅族之物也卽投火惟所著詩二卷在多詠時事逐題註解辛禑以前曰國家恭讓以後則曰國入我朝則但曰新國云云逐睡篇東海樂府合錄○訥齊曰甲戌九月在秋城衙齋夢牧隱前數日與元沖論此老心
國朝編年v06不得祔祀宗祧而人臣爲君喪葬之禮不宜若是也葬用陵儀別立廟訃聞上國情之至義之盡也宋太祖之於恭帝我太祖之於恭讓其喪葬上諡之禮亦可法也上國使臣若或聞之則不可不預爲之圖也文餘以對非事上示下之道也云云上命廣議之皆以爲
紀年便攷v3元年高麗恭愍王十七年也○二十五年高麗恭讓四年也是年十月丙申我太祖高皇帝卽位于松京壽昌宫
紀年便攷v5逮繫清州不服曰李侍中仗節回軍吾以伊霍故事諷侍中深有意爾後何黨彛初歟言必誓天辭㫖感慨竟以水灾免退居光州恭讓辛未被召未赴而卒官至海道元帥謚景烈後孫忠信見下
紀年便攷v5科丙午倭居喬桐時國家倉廪虚竭軍政不修諸軍望賊不敢進長壽以判典農寺事上書進禦賊之䇿書下都堂議竟不行扶翊恭讓參九㓛臣其後得罪於北朝流寓而卒有詩名詩入國朝詩刪本朝賜籍慶州官至政堂文學判三司事與鄭夢周同得罪流竄卒
紀年便攷v5子倬從孫恭愍朝屡遷繕工判事厯鷹揚軍上護軍以慶尙元帥伐倭再有㓛進賛成事辛禑庚申從我太祖詩倭復拜都軆察使恭讓壬申拜左政丞錄翊戴㓛謚靖平第希烈見下
紀年便攷v5鏡凈我膝所屈惟釣磯甞有詩曰人情那似物無情觸境年來漸不平偶向東籬羞滿面眞黃花對僞淵明文章節爲爲東方名臣恭讓己巳謪長湍庚午付䖏咸昌是年以彛初事逮清州獄壬申貶遁歸咸豊釆邑自号歸隱改名日愼愼終如始之義又号日岳隱不
紀年便攷v5辛禑癸亥進士丙寅擢第厯成均博士門下注書及王氏復立庚午辭以母老棄官歸善山若使再一毫疑禑之爲辛則以其不事恭讓之心豈肯立禑之朝乎性至孝善養其母太宗登儲位以潜邸同學拜太常博士以召上箋辭曰臣本寒微仕於辛氏之朝擢第至
紀年便攷v5不得見只召其㸑婢賜之食物而返召其子洞特授豊基縣監晩著野史革除時事直書無隱與本朝所編不同禑昌以前曰國家恭讓以後曰國入我朝但云新國納于樻鎻鑰三緘臨終付家人曰宜藏之家廟謹守之又題其表曰吾子孫不如我則不可開見至曾
紀年便攷v5夢周外從弟號雲巖㓜有大志博涉經史恭愍王朝登第累官止諌議大夫辛禑攻遼與鄭夢周極言其不可我太祖廢禑父子立恭讓王錄㓛臣趙浚等欲引原頫先以示意原頫嚴斥曰左脇金麟尙在而誰爲辛氏乎寧喫三斗醋不參有㓛選乃屏居躬耕于平山
東國歷代總目v02以元順帝至元元年乙亥誕降于永興私邸仕高麗守門下侍中時辛氏亂統麗政大壞崔瑩倡犯順之議上誅瑩衆心咸屬焉及恭讓廢裵克廉等共推戴上遂卽位于松京初上之龍潛也夢有神人執金尺自天降而授之曰公宜持此正國又有異人獻書云得之
國朝捷錄v01己巳秋高皇帝責之以異姓爲王我太祖與諸將相立王氏宗親定昌君瑶卽恭讓也後李仁任廢居京山府云見東皐集○辛盹僧名遍照恭愍王惑於盹李承慶鄭世雲以爲妖僧欲殺之王密令避之鄭世雲死
國朝人物志v1濟硏究算術世稱南算文科累官至判典校寺事以社稷大計援古贊謀威化島之役勸太祖回軍恭讓王朝臺諫劾之太祖受禪在遁于遐外上物色求得喜其尙在賜名策開國勳一等封宜城君疏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