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후(任元厚)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84C6D0D6C4B1089X0 |
이명(異名) | 임원애(任元敱) |
시호(諡號) | 문충(文忠) |
생년 | 1089(선종 6) |
졸년 | 1156(의종 10) |
시대 | 고려중기 |
본관 | 장흥(長興) |
활동분야 | 관료 > 명신 |

부 | 임의(任懿) |
처부 | 윤관(尹瓘) |
처부 | 이식(李軾) |
처부 | 이위(李瑋) |
공신호 | 선충안사좌리동덕공신(宣忠安社佐理同德功臣) |

[상세내용]
임원후(任元厚)
1089년(선종 6)∼1156년(의종 10). 고려 중기의 명신(名臣). 본관은 장흥(長興). 초명은 원애(元敱).
예종 때 중서시랑평장사를 지낸 임의(任懿)의 둘째아들이다. 명문출신으로 당대의 문벌귀족가인 윤관(尹瓘)‧이식(李軾)‧이위(李瑋)의 딸들을 아내로 맞았고, 자기의 딸은 인종에게 납비하여 외척이 됨으로써 빠른 출세를 하였다.
1142년(인종 20) 문하시랑평장사로 판이부사(判吏部事)를 겸하여 총재(冢宰)의 자리에 오르고, 이어 문하시중이 되었으며, 다시 선충안사좌리동덕공신(宣忠安社佐理同德功臣)에 수태위(守太尉)‧정안공(定安公)의 작호까지 겸대하여 왕실로부터 극진한 대우를 받았다.
또한, 개경을 근거로 하는 귀족세력으로 묘청(妙淸)‧정지상(鄭知常) 등 서경세력이 반란을 일으키자 김부식(金富軾) 등과 함께 토벌하여 공을 세웠다. 수상에 재임하는 동안 전주(銓注)가 공평하다는 칭송을 들었다고 한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예종 때 중서시랑평장사를 지낸 임의(任懿)의 둘째아들이다. 명문출신으로 당대의 문벌귀족가인 윤관(尹瓘)‧이식(李軾)‧이위(李瑋)의 딸들을 아내로 맞았고, 자기의 딸은 인종에게 납비하여 외척이 됨으로써 빠른 출세를 하였다.
1142년(인종 20) 문하시랑평장사로 판이부사(判吏部事)를 겸하여 총재(冢宰)의 자리에 오르고, 이어 문하시중이 되었으며, 다시 선충안사좌리동덕공신(宣忠安社佐理同德功臣)에 수태위(守太尉)‧정안공(定安公)의 작호까지 겸대하여 왕실로부터 극진한 대우를 받았다.
또한, 개경을 근거로 하는 귀족세력으로 묘청(妙淸)‧정지상(鄭知常) 등 서경세력이 반란을 일으키자 김부식(金富軾) 등과 함께 토벌하여 공을 세웠다. 수상에 재임하는 동안 전주(銓注)가 공평하다는 칭송을 들었다고 한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韓國金石文追補
高麗時代의 定安任氏‧鐵原崔氏‧孔巖許氏家門分析(朴龍雲, 韓國史論叢 3, 1978)
高麗史節要
韓國金石文追補
高麗時代의 定安任氏‧鐵原崔氏‧孔巖許氏家門分析(朴龍雲, 韓國史論叢 3, 1978)
[집필자]
박용운(朴龍雲)
대표명 | 임원후(任元厚) |
명 | 원후(元厚) |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