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성종(成宗){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131C885FFFFB0960X0
이명(異名)왕치(王治)
자(字)온고(溫古)
시호(諡號)문의(文懿)
생년960(광종 11)
졸년997(성종 16)
시대고려전기
본관개성(開城)
활동분야왕실 > 왕
왕욱(王旭)
선의태후(宣義太后)
묘소강릉(康陵: 京畿道 開豊郡 소재)

[상세내용]

성종(成宗)
960년(광종 11)∼997년(성종 16). 고려 제6대왕. 재위 981∼997년. 이름은 치(治), 자는 온고(溫古).
1. 가계
태조의 손자이고, 대종(戴宗) 왕욱(王旭)의 둘째아들이며, 모친은 선의태후(宣義太后) 유씨(柳氏)이다.

981년 경종의 내선(內禪)으로 왕위에 올랐다.
2. 12목 설치
982년(성종 1) 6월에 경관(京官) 5품 이상에게 봉사(封事)를 올려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게 하였는데 이에 정광 행선관어사 상주국(正匡行選官御史上柱國) 최승로(崔承老)가 시무(時務) 28조(條)를 올렸다.

성종최승로의 정책 건의와 보좌를 받고 새로운 국가체제 정비에 힘을 기울였다. 먼저 지방제도의 정비에 대하여 살펴보면 첫째, 983년(성종 2)에 지방에 12목(牧)을 설치하였는데, 이러한 지방관의 설치는 고려 건국 이래 처음 있었던 일로서, 그 역사적 의의는 큰 것이었다.

12목의 설치와 함께 금유(今有)‧조장(租藏)은 혁파되었다. 12목의 설치 당시에는 지방관만이 임지에 부임하였으며, 가족의 동반이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시일이 지남에 따라, 986년(성종 5)에는 12목에 대하여 처음으로 처자(妻子)를 데리고 부임하게 하는 제도적인 조처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이듬해에는 12 목사와 경학박사(經學博士)의학박사(醫學博士) 각 1인씩을 뽑아 보내어 지방교육을 맡아보게 하는 한편, 유교적 교양이나 의술(醫術)이 있는 사람을 중앙에 천거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993년(성종 12)에는 12목에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물가 조절의 기능을 맡게 하였으니, 지방 각 관청의 경비 지출을 위한 공해전시(公廨田柴)의 법을 정비하는 등 지방제도의 정비작업을 꾸준히 진행하여 지방행정의 기능을 크게 강화시켰다.
3. 10도제
이와같은 지방행정의 정비‧강화는 지방세력 통제책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었다. 우선 12목이 설치되던 983년에 주부군현(州府郡縣)의 이직(吏職)개편이 단행된 것은 그 좋은 예가 될 것이다.

그뒤에 지방세력에 대한 통제책은 여러가지 형태로 꾸준히 전개되었다.

특히, 995년(성종 14)의 지방관제 개편은 지방세력에 대한 통제를 더욱 강화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995년의 지방관제 개편에서 먼저 주목되는 것은 10도제(道制)의 실시이다. 당(唐)의 10도제를 모방하여 제정한 것으로 생각되는 고려의 10도제는 곧 그 실시과정에서 유명무실해지는 약점이 있었으나, 우리나라 도제(道制)의 시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절도사체제(節度使體制)로의 개편이었다.

즉, 종래의 12목을 12절도사로 개편한 것은 지방행정에 있어서 군사적인 면을 크게 강조하고자 한 의지의 반영이었다. 절도사체제로의 개편은 군정적인 지방행정을 통하여 지방의 호족세력을 통제함으로써 완전한 중앙집권을 하고자 꾀한 조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4. 삼성육부의 중앙관제
성종의 치적으로서 특히 주목할 것은 새로운 정치체제의 정비였다. 흔히 삼성체제(三省體制)로 대표되는 새로운 정치체제의 개혁은 이미 982년부터 시작되었다.

태조 이래의 정치기구를 중국식 제도로 개편하기 시작한 것이다. 우선 982년부터 983년 사이에 이루어진 새로운 정치기구는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어사도성(御事都省)을 중심으로 하고, 어사도성 밑에 선관(選官)병관(兵官)민관(民官)형관(刑官)예관(禮官)공관(工官)의 6관(六官)이 예속되어 있었다.

이와같은 중앙관제는 995년에 다시 삼성육부로 개정되어 고려 중앙관제의 기본을 이루게 되었다. 이때의 관제내용은 998년(목종 1)에 개정된 전시과(田柴科)관계 기사에 잘 나타나 있다.

성종은 이처럼 새로운 정치체제를 중국의 제도를 수용하여 마련하였는데, 우리나라 역사상 중국식 제도를 본격적으로 받아들여 시행한 것은 이때가 처음으로서 그 역사적 의의는 자못 큰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이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정치적‧사회적 여건의 성숙과 발전이 그러한 선진제도의 수용을 필요로 하게 된 것임을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5. 숭유억불책
즉, 고려 건국 이래 엄청나게 늘어난 새로운 정치세력을 포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정치체제로서는 불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성종대의 정치적 지배세력의 성격은 그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성종대 전반기에는 신라 6두품 계통을 중심으로 한 유학자의 세력이 정치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가, 그 후반기에는 이들 대신 개국공신 혹은 호족계열의 세력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신라시대에 비하여 권력구조의 핵에 참여할 수 있는 신분층이 크게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성종은 이와같은 새로운 사회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중국의 선진제도를 도입하고, 정치‧교육의 지도이념으로서 유교적 이념을 채택하여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던 것 같다.

성종은 유학을 숭상하고 억불정책을 위하여 연등회와 팔관회를 폐지시켰는데 그의 치적을 살펴보면, 그가 얼마나 유교주의적 정치이념을 펴기 위하여 노력하였나를 알 수 있으며, 동시에 그러한 정치이념의 실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재를 등용하고자 애썼다.

가령 992년(성종 11)에 교(敎)를 내리기를 “학문을 많이 쌓지 아니하면 선(善)을 알 수 없으며, 어진 이를 임용하지 아니하면 공을 이룰 수 없다. 이로써 서울에는 서상(序庠)을 열어 유술(儒術)을 숭상하고, 지방에는 학교를 설치하여 생도를 권과(權課)하며, 문예를 경쟁하는 장소를 열고, 경서(經書)를 연구하는 업을 넓혔으나, 오히려 포부를 가진 뛰어난 선비를 얻지 못하였으니 어진 이를 가로막고 재능을 방해하는 사람이 없는지 어찌 알리요. 무릇 문재(文才)와 무략(武略)이 있는 자는 대궐에 나와서 자천(自薦)함을 허한다.”

라 하였고, 얼마 뒤에 다시 교를 내려

“경관(京官)5품 이상에게 각기 한 사람씩 천거하게 하고, 그 덕행(德行)과 재능은 성명 밑에 기록하여 아뢰어라”

한 것 등은 그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또한 성종은 재위기간 중에 종묘를 세우고 사직을 정하였으며, 태학에 재물을 넉넉하게 하여 선비를 양성하고 복시(覆試)로써 어진 사람을 구하였으며, 수령을 독려하여 백성을 구휼하고, 효도와 절의를 권장하여 풍속을 아름답게 하는 등, 정치‧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새로운 시책을 정력적으로 편 결과 새로운 고려왕조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993년(성종 12) 거란족이 침입하였을 때 서희(徐熙)의 외교적 성과로 거란을 물리쳤을 뿐 아니라 강동 6주를 얻어 영토를 넓히게 되었다.

997년 10월에 병이 위독하여지자 조카인 개령군(開寧君) 송(誦: 穆宗)에게 왕위를 전하고 내천왕사(內天王寺)에 옮겨 거처하였다.

시호는 문의(文懿)이고, 능은 강릉(康陵: 京畿道 開豊郡 소재)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高麗遺族社會의 形成(李基白, 한국사 4, 1974)
崔承老의 時務 28條에 대하여(金哲埈, 趙明基紀念佛敎史學論叢, 1965)

[집필자]

하현강(河炫綱)
대표명성종(成宗){2}
묘호성종(成宗)
온고(溫古)

묘호 : "성종(成宗)"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3成宗諱治字溫古庚申生太祖孫初封開寧君太宗太平興㕵六年辛巳受禪丁酉傳位于妵誦在位十六年壽三十八葬康陵○母宣
歷代總要v04建相麻田祀太祖惠宗成宗顯文宗元宗忠烈王恭愍王世宗乙巳改以祀太祖顯宗文宗元宗文宗辛未賜號崇義殿
東國歷代總目v01國而統一焉及其衰也弓裔據鉄原甄萱據完山境土割裂高麗始祖討平而合幷之西北以鴨綠江爲限東北以先春嶺爲界至成宗畫域內爲十道顯宗改[첨지我]爲五道至太祖創分爲八道曰京畿曰忠淸曰全羅曰慶尙曰黃海曰江原曰平安曰咸鏡其
東國歷代總目v02上愍王氏不祀命有司以太祖惠宗成宗顯宗文宗元宗忠烈恭愍八君立廟祀之至世宗朝有司言宗廟只祭五室而前朝之廟乃祭八位未合於禮遂以太祖顯宗文宗
震乘總v1敎復行立高麗王廟於今日孔子曰吾其爲東周豈欺我哉○立高麗王廟於麻田郡上愍王氏不祀命有司以太祖惠宗成宗顯宗文宗元宗忠烈恭愍八君立廟祀之世傳麗太祖微時常遊仰岩寺及卽位爲願刹國亡後影幀尙存於其寺故立廟於此
羹墻錄v1爲德宗奏請誥命于中朝初從申叔舟等議尊懿敬世子爲王別立廟使月山君婷奉祀至是加上廟號祔太廟敎曰高麗成宗躋戴宗於景宗之上況懷簡王爲世子時睿宗大君也君臣之分已定非魯閔僖之比也遂躋於睿宗之上國朝寶鑑常訓輯
大東遺事v1固城○二僞國泰封弓裔竊據鐵原二十八年而亡後百濟甄萱竊據全州四十五年而亡○高麗太祖惠宗定宗光宗景宗成宗穆宗顯宗德宗靖宗文宗順宗宣宗獻宗肅宗睿宗仁宗毅宗明宗神宗煕宗康宗高宗元宗忠烈王忠宣王忠肅王忠惠王忠穆
野乘v1○改官制史氏曰太祖開國立三省六尚書九䓁六衛畧倣唐制成宗稍加增損累代遵守忠烈宣悉改官爵之侔擬上國者紛更太紊恭愍嗣位二十年改官制者四不勝其繁矣國初宰相之職
歷代帝王紀年v01一千年社稷一朝與人乎王曰孤危如此不忍使無罪之人肝腦塗地遂降王子哭入皆骨山以終史失其名敬順王至高麗高麗成宗郊迎館于柳花宮以長女樂浪公主妻焉
國朝捷錄v01成宗室致理功臣內史令上柱國敏休公崔知夢門下侍中淸河侯文貞公崔承老門下侍郞平章事匡彬公崔亮保義功臣太保內史
重訂南漢志v1成宗二年定十二道置廣州牧隷關內道領州四縣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