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소성왕(昭聖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8CC131C655D0800X0
이명(異名)소성왕(昭成王)
이명(異名)김준옹(金俊邕)
시호(諡號)소성(昭聖)
생년?(미상)
졸년800(소성왕 2)
시대통일신라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왕실 > 왕
김인겸(金仁謙)
계화부인(桂花夫人)
외조부숙명(叔明)

[상세내용]

소성왕(昭聖王)
미상∼800년(소성왕 2). 신라 제39대왕. 재위 799∼800년. 혹은 소성왕(昭成王)이라고도 표기되어 있다.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준옹(俊邕).

원성왕의 큰아들인 김인겸(金仁謙, 惠忠太子)의 아들이며, 모친은 김씨 성목태후(聖穆太后)이다. 비(妃)는 계화부인(桂花夫人)으로 숙명(叔明)의 딸이다. 소성왕원성왕의 장손으로서 왕위에 오르기 전궁중에서 자라면서 789년(원성왕 5)에 대아찬(大阿飡)을 제수받고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으며, 790년에는 파진찬(波珍飡)을 제수받아 재상이 되었다.

791년 10월에는 시중(侍中)에 임명되었으나, 그 이듬해 8월에 병으로 물러났다. 그리고 태자에 책봉된 아버지가 일찍 죽고, 또 그에 뒤이어 태자가 된 숙부 의영(義英)이 또한 794년에 죽자 그가 795년 정월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798년 12월 29일 원성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소성왕의 치적으로 청주(菁州: 지금의 진주)노거현(老居縣)을 학생녹읍(學生祿邑)으로 설정한 것을 들 수 있다.

재위 2년째인 800년 6월에 죽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羅下代의 王位繼承과 政治過程(李基東, 歷史學報 85, 1980)

[집필자]

김두진(金杜珍)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