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거칠부(居柒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70CE60BD80B0502X0
이명(異名)황종(荒宗)
이명(異名)거칠부지(居七夫智)
이명(異名)거칠부지(居柒夫智)
생년502(지증왕 3)
졸년579(진지왕 4)
시대신라
활동분야군인 > 장군
김물력(金勿力)
조부김잉숙(金仍宿)
저서『국사(國史)』

[상세내용]

거칠부(居柒夫)
502년(지증왕 3)∼579년(진지왕 4). 신라 진흥왕 때 장군‧재상. 일명 ‘황종(荒宗)’ 또는 ‘거칠부지(居七夫智)’‧‘거칠부지(居柒夫智)’라고도 한다.

내물마립간의 5대손. 할아버지는 김잉숙(金仍宿), 부친은 이찬 김물력(金勿力)이다. 특히, 부친은 소지마립간의 장인으로 486년(소지왕 8) 2월에 이벌찬(伊伐飡)으로 국정을 총괄하기도 하였다.

내물왕 계통의 왕족후손으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나라에 큰뜻을 두고 승려가 되어 사방을 유람하였다. 그때, 고구려에 몰래 들어가 혜량(惠亮)의 강설을 듣고 큰 감명을 받았으며, 551년(진흥왕 12)에 고구려의 국경 속으로 진격했을 때 그를 맞아들여 승통(僧統)이 되게 하였다.

545년에 왕명을 받아 『국사(國史)』를 편찬하였으며, 특히 군사와 정치적인 분야에서 활동이 컸다.

551년에 대각간(大角干) 구진(仇珍), 각간 비태(比台), 잡찬(迊飡) 탐지(耽知)비서(非西), 파진찬(波珍飡) 노부(奴夫)서력부(西力夫), 대아찬(大阿飡) 비차부(比次夫), 아찬 미진부(未珍夫) 등 8명의 장군과 더불어 죽령 이북 고현(高峴)이내의 10군을 탈취하였다.

진흥왕순수비, 즉 마운령비와 창녕비에 그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진흥왕 때 가장 영향력 있는 장군으로 정치적 비중 또한 매우 높았음을 알 수 있다.

576년 진지왕이 즉위하자 상대등에 임명되었는데, 이것은 그가 진지왕의 즉위에 어떤 구실을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낳게 한다.

또, 진지왕이 즉위한 지 4년 만에 폐위되었는데, 이는 거칠부의 사망과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朝鮮金石總覽 上
大等考(李基白, 新羅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1974)
武烈王權의 成立과 活動(申瀅植, 韓國史論叢 2, 1977)

[집필자]

신형식(申瀅植)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