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구(金鉤)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40AD6CFFFFD1462X0
자(字)직지(直之)
호(號)귀산(歸山)
시호(諡號)문장(文長)
생년1383(우왕 9)
졸년1462(세조 8)
시대조선전기
본관아산(牙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구(金鉤)
미상∼1462년(세조 8).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아산(牙山). 자는 직지(直之), 호는 귀산(歸山). 윤상(尹祥)의 문인이다.

1416년(태종 16)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435년(세종 17)에 종학박사(宗學博士)에 제수되었다.

1439년 눈병으로 사직하자 종친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 등 19인이 상소하여 한관(閒官)에 서용되었다.

1446년 사성으로 있으면서 종학에 근무하는 교수들의 겸직에 대한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소를 올렸다.

1448년에는 상주목사로 나갔다가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로 내직에 임명되어 사서언해(四書諺解)의 번역을 담당하였다.

그해에 불당의 설립을 반대하는 소를 올렸고, 후에 사간이 되었으나, 당성군(唐城君) 홍해(洪海)의 아들의 고신에 서명하지 않아 그로 말미암아 좌천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 사성부제학에 제수되고, 1454년(단종 2)에 예문제학이 되었다.

그해에 다시 내불당(內佛堂)의 혁파를 건의하는 소를 올렸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1455년(세조 1)에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에 제수되었으며, 1458년 이승소(李承召)와 함께 최선복(崔善復) 등 12인을 거느리고 『초학자회(初學字會)』를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1459년에는 군기부정(軍器副正) 김석제(金石梯)와 함께 새로운 진법(陣法)을 의논하였다.

이듬해에 최항(崔恒)정인지(鄭麟趾) 등 9명과 함께 『손자주해(孫子註解)』를 바르게 고쳐 정리하는 등 한문국역에 공이 컸다.

1462년 아산현을 회복하고자 도모하다가 사헌부의 탄핵으로 고신(告身)이 삭탈되었다.

죽은 후 성균생원 이고소(李古紹) 등의 상언(上言)으로 관직과 과전을 돌려받았다. 김말(金末)김반(金泮)과 함께 경사(經史)에 널리 통하고, 특히 성리학에 정통하였다. 이들 세 사람은 당시에 성균관에서 후진교수에 전념하여 학문발전에 큰 성과가 있었으므로 ‘삼김(三金)’‧‘경학삼김(經學三金)’ 혹은 ‘관중삼김(館中三金)’이라 불렸으며, 많은 명사를 배출하였다.

시호는 문장(文長)이다.

[참고문헌]

太宗實錄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海東名臣傳
燃藜室記述
典故大方
朝鮮儒敎淵源

[집필자]

권연웅(權延雄)
대표명김구(金鉤)
구(鉤)
성명김구(金鉤)
시호문장(文長)
직지(直之)
귀산(歸山), 귀산(䢜山)

성명 : "김구(金鉤)"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6一時達官聞人皆出其門國朝以來為師表之最文宗朝致仕還郷令所居官月致食物退老宰臣致食物始此于時學宮得人如金鉤金泮金末三人皆博通經史尤䆳性理之學選授誨人時称三金世祖乙亥卒年八十三謚文貞
紀年便攷v7 太祖癸酉春塲試太宗丁亥以成均直講登重試即拜敬承府尹歴大司成官止嘉善仁壽府尹經明行修為世師儒世宗朝與金鉤金泮金末共掌成均教人
紀年便攷v7金末義城人定宗己卯生太宗丁酉十九明經科與金鉤金泮同被尹祥。選爲甞監与祥泮經㫖頗有異同不相上下世宗朝掌教人多年成就人才博通經史尢邃性理之學 成宗甲
紀年便攷v7金鉤慶州人或云牙山人字直之號歸山尹祥門人太宗丙申以生員登親試官止判中樞為人醇謹禮學為尹祥後一人繼長成均博
紀年便攷v7金鉤
紀年便攷v7鱗翻碧海神物上青空潛見形雖異飛騰志則同若為燒㫁尾攀附在天龍中朝人目為焼㫁尾先生退老江西朝夕不給舉金末金鉤并祢三金謚文長癸巳宣祖過江西修墓致祭
震史記略v1十一年己巳英宗皇帝親征北元陷於虜郕王卽位改元景泰○選集賢殿學士鄭麟趾李思哲鄭昌孫李季甸安止金墩金銚金鉤金末申叔舟權擥朴仲孫崔恒金泮李石亨尹子雲魚孝瞻盧叔同梁誠之成任李克堪李鳴謙金禮蒙盧思愼韓繼禧洪應李承
震乘總v1尹祥醴泉書院祠尹公事伯純來問初漫依報及看其集佞佛已甚尊祀未安姑勿建祠只立書院不妨時學官得人如金鉤金冸金末三人皆博通經史尤邃性理之學同時撰授誨人不倦時許稠卒人稱以三金左左議政許稠卒稠字仲通號敬
羹墻錄v3世祖初卽位幸太學率百官學生親獻于先聖退御明倫堂命講書官兼司成金鉤集賢殿副提學金禮蒙等講河圖洛書究陰陽理數生成變合之妙鉤卽上潛邸時宗學博士深加禮待國朝寶鑑
小華龜鑑v1行始請建長生殿造壽宮金末中樞事諡文長精於性理誨人不倦無子嘗曰開千眼者得陰報余無嗣余學荒蕪不能德於人耶金鉤博通經史尤邃性理與金末金泮同時選授曹監誨人人稱三金而皆諡文長金泮大司成號松亭陽村門人爲大成四十年名公
國朝捷錄v01金 鉤
國朝捷錄v01公濟文吏判金揚震文參判劾金安老號虛堂東皐妻父金詮見相仁穆王妃高祖孝行姜叔突護軍李善長郡守李榮會寧府使金鉤江界府使李滉見上宋益璟李眞彦又號拙庵文右成號秋川字君美全州人白仁傑休庵贊成鄭崑壽判書金晬李光庭延原府
文獻攷略v15近梅軒權遇兄弟能明經學又能於文近定四書五經口訣又作淺見錄入學圖說第書羽翼之功不少其後任函丈者黃鉉尹祥金鉤金末金泮鉉之學無聞祥最精而能知作文鉤與末皆精而末則未免於固滯常時議論不相上下爭之不已受業者亦兩備焉二
國朝人物志v1丙申文科判中樞院事嘗爲大司成訓誨不倦國朝榜目我朝立國之初任函丈者黃鉉尹祥金鉤金末金泮而鉉之學無聞祥最精而稍知作文鉤與末俱精而末則未免於固滯常時議論不相上下爭之不已受業
國朝人物志v1世宗朝掌敎成均館儒生與尹祥同在經旨討論頗有同異後爲世祖所重甲戌卒諡文長師友錄金鉤金末金泮皆博通經史同時選授胄監誨人不倦作成有效世稱三金而泮先逝二金皆年踰八耋官躋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