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뉴(金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40B274FFFFB1420X0
자(字)자고(子固)
호(號)취헌(翠軒)
호(號)쌍계재(雙溪齋)
호(號)상락거사(上洛居士)
호(號)관후암(觀後庵)
생년1436(세종 18)
졸년1490(성종 21)
시대조선전기
본관안동(安東[舊])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중엄(金仲淹)
조부김오문(金五文)
증조부김구덕(金九德)
처부이항전(李恒全)
처부양겸(梁謙)
외조부조대림(趙大臨)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뉴(金紐)
1436년(세종 18)∼1490년(성종 21).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舊]). 자는 자고(子固), 호는 금헌(琴軒)취헌(翠軒)쌍계재(雙溪齋)관후암(觀後庵) 또는 상락거사(上洛居士). 증조부는 김구덕(金九德)이고, 조부는 김오문(金五文)이며, 부는 김중엄(金仲淹)이고, 모친은 조준(趙浚)의 손녀이며 조대림(趙大臨)의 딸이다. 처부는 전의이씨 이항전(李恒全)과 남원양씨 양겸(梁謙)이다.

1464년(세조 10) 녹사로서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황해평안도의 땅을 개간한 공으로 벼슬에 나가 성균학유가 되었다. 곧 사복직장으로 옮겼으며, 이듬해 호조좌랑으로 『경국대전』 편찬작업을 위해 이전(吏典)을 수교하였고, 또 경차관으로 전라도에 파견되었다.

1466년 중시와 등준시에 을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안효례(安孝禮)‧유희익(兪希益) 등과 함께 도성(都城)을 측량하고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예문관직제학으로 『세조실록』『예종실록』 등을 편찬하는 데 기여함이 컸다.

1470년(성종 1) 완성단계에 있는 『경국대전』을 다시 수교하였다.

1472년 동부승지를 거쳐, 이듬해 참찬관으로 저화법(楮貨法) 사용을 강조하는 방안을 주장하였다. 이어 공조참판충청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1478년에는 대사헌으로 군비확충을 위해 전라도 순천 지방에 석보(石堡)를 쌓고 군인을 늘리며, 함경도 회령과 마도달량어란(馬글達梁於蘭)사이에 보를 설치하고 식량을 저축할 것을 제의하여 실천하게 하였다.

1479년 겸성균관동지사가 되고, 1481년 이조참판이 되었으나 곧 파직되었다.

1484년 행사직이 되고, 이듬해 시를 지어 바쳐 왕으로부터 칭찬을 받았으며, 1490년 다시 이조참판이 되었다.

재주가 있고 학문을 좋아하여 글을 잘 지었고, 행서와 초서 등 글씨에 능하였으며, 거문고도 잘 하여 ‘3절(三絶)’이라 불리었고 그림 또한 잘 그렸다. 글씨로는 해동명적(海東名跡)‧초로관주(草露貫珠) 등에 모간(模刊)한 것이 있다.

[참고문헌]

世祖實錄
睿宗實錄
成宗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慵齋叢話
槿域書畵徵(吳世昌, 啓明俱樂部, 1928)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성명 : "김뉴(金紐)"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彙鑑v1極趣正尺寸知交度節變遠近量圖局回轉相照又相承巨細無遺能事於是召藝文儒臣等無一曉其義者惟司藝兪希益直講金紐等稍知梗槪
紀年便攷v8盖量地遠近之儀象也乃召諸臣示之無一曉其義者惟司藝俞希孟直講金紐䓁稍知梗㮣
紀年便攷v8金紐
紀年便攷v8金紐安東人字子高號雙堂世祖甲申文科又登重試拔英試登俊試能詩善書曉音律世稱三絶官止參判
紀年便攷v9金紐豊山人仲淹子字子固號䨇溪齋又琴軒又上洛居士世祖甲申以錄事登春試丙戌以直講登重試登俊試官止吏參暮年謝事
紀年便攷v9金紐
紀年便攷v10人篤學自謙識量聡明為學先理而後文為詩先格而後詞為德先內而後外不以位壓人雅素如最貧儒士然杜門不與故舊通金紐聞之歎曰手政正如澗邊梅格金昌翕曰篤厚謙恭聡明絶倫與南孝温友善孫咸川守億載青杞守彪子善彈琴弟端川守億正
紀年便攷v10山君踵子字百源號西湖㪚人又鷗鷺主人能文善詩解音律長在漁見俗客至棹而避之詩人騷客日致好詩無慮千百篇參判金紐聞其彈琴歎曰正如宫中牡丹爛開晴天燕山戊午杖流遠地追贈君謚昭愍 太皇帝庚子政謚兄文淵弟而直而恱公擇公幹
羹墻錄v1外國朝寶鑑世祖親制窺衡及印地儀乃量地遠近之儀象也作印地儀頌召藝文儒臣示之無一䁱其義者唯司藝兪希益直講金紐稍知梗槪國朝寶鑑上御思政殿出示御製九章其一曰天地運四序帝王參兩儀莫非法天地治道何異宜列聖御製諭諸道守
野乘v10金紐能文章
野乘v10金紐能文章代徐居正爲大提學者也京師有一故家價可五千匹而多妖魅入處者必死長安有厚資者皆畏而莫之貰紐賤價貨之
文獻攷略v17福世菴者谷水合流成溪都人爭來射帿雙溪洞在泮宮上谷有雙泉成澗金紐字子固挾澗構堂種桃倣武陵姜晉山希孟作賦金紐文雅擅一時故豪俊多從之遊白雲洞在藏義門內中樞李念義居之詩人有題詠然李目不知書靑鶴洞在南學之南洞深有淸
文獻攷略v17焉其上數步則演窟也仁王洞則仁王山下深谷逶迤福世菴者谷水合流成溪都人爭來射帿雙溪洞在泮宮上谷有雙泉成澗金紐字子固挾澗構堂種桃倣武陵姜晉山希孟作賦金紐文雅擅一時故豪俊多從之遊白雲洞在藏義門內中樞李念義居之詩人
靑邱風雲v1宗朝上疏請復昭陵不允至燕山甲子追罪剖尸金馹孫號濯纓燕山戊午被禍佔畢門人故也修史錄柳子光起史獄金紐號雙溪齋洪貴達號涵虛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1-08-18安東金氏派譜를 참고하여 생년을 경자(1420)에서 병진(1436)으로 수정함. 졸년, 처부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