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지서(趙之瑞)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70C9C0C11CB1454X0
자(字)백부(伯符)
호(號)지족당(知足堂)
호(號)충헌(忠軒)
생년1454(단종 2)
졸년1504(연산군 10)
시대조선전기
본관임천(林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찬(趙瓚)
외조부정삼(鄭參)

[상세내용]

조지서(趙之瑞)
1454년(단종 2)∼1504년(연산군 10).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백부(伯符), 호는 지족당(知足堂) 또는 충헌(忠軒).

부친은 사헌부감찰 조찬(趙瓚)이며, 모친은 생원 정삼(鄭參)의 딸이다.

1474년(성종 5) 생원시에서 1등으로 합격하고, 같은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면서, 권지승문원정자에 제수되었다.

1478∼1479년에는 통신사 이계동(李季仝)의 군관(軍官)이 되어 일본에 내왕하였다.

1479년 승문원저작으로 다시 문과중시에 1등으로 급제하고 형조좌랑에 발탁되었으며, 이해 건주위(建州衛) 정벌을 위하여 파견된 서정대장(西征大將) 어유소(魚有沼)종사관이 되어 서정에 참가하였으나, 어유소의 파병(罷兵)과 관련된 전명(傳命)을 잘못한 일로 고신을 몰수당하고 외방에 유배되었다.

그뒤 1481년 “문학에 뛰어난 인물이니 서용하라.”는 성종의 특지에 따라 서반직에 복직된 뒤 성종대를 통하여 교리형조정랑지평응교, 세자시강원필선보덕을 역임하였으며, 이와 함께 경연(經筵)의 시독관(侍讀官) 과시강관(侍講官)을 항상 겸대하였다.

이어 1495년(연산군 1) 창원부사로 파견되었다가 곧 사직하고, 지리산에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하였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 세자시에 그의 풍간(諷諫)함과 집요한 진강(進講)을 혐오하였던 연산군의 기휘(忌諱)로 이에 연루되어 참살되었다.

성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충효와 시문으로 명망이 높았다.

『동문선』에 「언심견투(彦深見投)」라는 제목의 시 1수가 전한다.

1506년(중종 1) 관작이 회복되고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추증되면서 신원(伸寃)되었다. 경상남도 진양신당서원(新塘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東文選
韓國人의 族譜(日新閣, 1985)

[집필자]

한충희(韓忠熙)

성명 : "조지서(趙之瑞)"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4己亥十年設推刷都監○別試取鄭光世等十人重試取趙之瑞等五人○春下敎政院曰農桑國之大政必身親見之乃知蚕耕之利其令後苑樹桑又作水田○冬帝發兵討建州衛野人勅出
國朝編年v05翰茂豊正姜景敍鄭承祖李宗準任熙載李繼孟姜渾別傳李克均已上戊午金宏弼曺偉康伯珍李鼋李守恭李胄朴漢柱崔溥趙之瑞已上甲子等諸賢皆被禍是爲士林第三禍○金宗直字季溫號佔畢司藝叔滋之子総角時日記數萬言弱冠文名大振魚世謙
紀年便攷v9趙之瑞
紀年便攷v9趙之瑞嘉林。人監察瓉子端宗甲戌生字伯符號知足堂又忠軒成宗甲午生壮進第二同年文科丙申選湖堂己亥以著作魁重試世
紀年便攷v9燕山在東宫遊戱厭學之瑞性鯁直以輔德每投冊於前曰邸下不力學臣當啓達弼善許琛柔辭婉如從容開悟主大書壁間曰趙之瑞大小人也許琛大聖人也疾之瑞如仇之瑞乃棄官居智異山下十餘年有詩曰愁㘴清宵數漏籖朝来捲箔對山尖鶯含曉色啼
紀年便攷v9試歴直學大憲三道伯吏判選清白吏燕山甲子入相至左燕山在東宫遊戯厭學琛以弼善柔辭婉如從容開悟主大書壁間曰趙之瑞大小人也直諌故也許琛大聖人也甲子趙先被禍琛以右相雖不能匡救每㘴府論囚周旋營救所活甚多還家必嘔血數升因
紀年便攷v10直提學金千齡副提學鄭麟仁正言李冑輔德趙之瑞縣監鄭汝昌正郞成景温校理朴誾參判曺偉監司權柱正郞姜謙承旨洪湜鄭誠謹或以金宗直門徒或以敢諫皆被慘禍其已
紀年便攷v10 溥李 黿金宏弼李 冑姜 謙鄭汝昌曹 偉姜 詗洪 湜南孝温洪貴達權達手朴 誾金千齡洪彥忠朱溪君李㓜寧趙之瑞鄭誠謹沈順門鄭麟仁鄭 鵤成重淹柳 軒韓 訓郭宗藩卞亨良成仲温成景温申 澄李自華朴 氤張順孫李 荇尹碩
紀年便攷v10雪○策定難功臣李顆獄後錄盧永孫䓁二十二人丙子因臺啓單錄永孫餘皆削勳○分遣御史命自齎乾餱訪民弊瘼○命旌趙之瑞妻鄭氏權達手妻鄭氏之閭并有烈行○命三年喪一遵聖人制○命宗室罪死者勿去屬籍時甄城君惇為㐫徒所推戴政府六
震史記略v1判曰納田于佛以求福也佛者無霛子孫貧賤田歸于主福還于佛○世子日事遊戱無意學問而畏上訓戒之嚴强開書筵輔德趙之瑞性鯾直當講投冊曰邸下不力學臣當告上世子甚苦視如仇讐善許琮柔言婉辭從容開論世子甚不宜書壁曰趙之瑞小人
震乘總v3趙之瑞
震乘總v3趙之瑞趙之瑞字伯符知足堂晉州有三壯元峰之瑞司馬初試生員重試皆壯元人謂其應小時力爲文章詩尤老蒼雅健其謾興詩曰愁坐淸
見睫錄v3趙之瑞妻鄭氏圃隱之曾孫之瑞後娶焉燕山朝之瑞拿致自度難免與妻擧酒訣曰吾必不返奈祖父神主何父曰盍還本宗以觀其終
記聞v1朴說直提學尹碩輔領議政具致寬韓城君李塤知中樞李賢輔光城君金謙光司諫安彭命會寧府使梁灌監司朴處綸都承旨趙之瑞大司憲閔暉趙士秀監司李愼孝
大東遺事v2以逆律追刑孝溫及曺偉其餘金宏弼成俊昌姜謙權柱任煕載朴漢柱鄭誠瑾李守恭權達手洪寔成景溫康伯珍朴誾李季孟趙之瑞李胄沈順卿宦官金宏弼金處善等竝刑戮○金宏弼字大猷號寒暄堂少豪逸不羈旣長發憤學問初從金宗直受業篤志力學
大東遺事v2俊李克墩阿附子光事俊等大怒擠以他事竄配東萊甲子復拿致京獄拷掠就刑神色不變仰天笑者再時年二十六○趙之瑞趙之瑞字伯符進士文科重試皆魁三榜晉州舊有三壯元峯之瑞世居晉州故人以爲應成廟朝以應敎兼宮僚每與許琮同侍講東宮
大東遺事v2趙之瑞
小華龜鑑v3壽字耆之號懶齋文魁禮參仁川君諡襄靖金訢字君節號顏樂堂文魁工議安老父表沿沫字少遊號藍溪重試同樞戊午謫卒趙之瑞字伯符號知是堂生壯重壯輔德甲子禍後孫希逸楊煕止字可行大憲兪好仁字克己號㵢溪掌令曺偉字太虛號梅溪戶參甲
小華龜鑑v3趙之瑞字伯符燕山在東宮時公以輔德諷論切至時或投冊於前曰邸下不力學臣當啓達燕山視之如讎壁間書曰趙某大小人燕山
寒臯觀外史v10十月日特進官李堣啓趙之瑞妻鄭氏之節鄭氏乃忠義伯鄭夢周曾孫世家山隂之瑞䘮室後娶焉燕山之朝之瑞自東宫時常諷諭切至深中其病燕山每憚
寒臯觀外史v11啓達於殿下廢主甚苦之視如仇讐文貞則不然柔辭婉言從容開悟廢主甚許之一日東宫官因進講入侍仰見壁間大書曰趙之瑞大小人也許㻠大聖人也聞者為趙甚危懼及卽位甲子禍起先誅之瑞沒其家文貞位右相雖不能匡救然每承命坐府論囚周
國朝捷錄v01府尹郭安邦益山郡守全州有生祠光廟御禮奬淸白奇虔判中成宗朝林整禮判成俔大提許琛見相梁灌文府使朴處倫監司趙之瑞司諫閔暉大憲李愼孝監司中宗朝崔命昌松石己卯士流禮判權璸典翰兪儹李希轍柳軒文大諫全昌尉祖明宗朝尹釜戶判
國朝捷錄v01守泰字平仲權達手見湖洪寔承旨成景溫俊子康伯珍見伩儒司諫朴誾見湖字仲說年二十五李季孟見伩儒字希醇文平公趙之瑞見湖伯符李胄見湖忘軒善詩沈順門直學金處善身雖宦官性本剛直數諫燕山不聽曰殿下終不聽則必當亡國燕山大怒自
國朝捷錄v01濩字次韶叔舟孫澍子崔溥號錦南飄風歷覽中國李宜茂荇父德水人字馨之蓮軒金訢臣子延安人詮兄號顔樂堂奉使日本趙之瑞林川人字伯符號知足見淸潤生子權健字叔强擥子忠敏公右徐居正選李黿公獜子再思堂字浪翁朴彭年外孫慶州人李顒
郯述v01趙之瑞
韓史綮v1一日主侍側鹿來舐地主以足蹴之成宗曰獸亦依人何必乃爾王內怒卽位之日射鹿殺之主在東宮時好游嬉不讀書弼善趙之瑞常正色切諫主恨之于時殺之○成宗時開城有姜千年者善事父母母素多疾疾作千年必出指血和灑以治之嘗自都
東國續修文獻錄v1官達誠子全州人大憲成俔慵齋侃弟參贊安琛子珍竹齋府尹知歸子順興人工參金訢君節顏樂胡簡友臣子延安人參議趙之瑞伯符知足監察瓚子林川人輔德崔溥淵淵錦南進士澤子耽津人司諫甲子被殺權景裕君饒判官耋子安東人校理戊午
東國續修文獻錄v1參贊許琛右相朴說贊成尹碩輔直學具致寬領相李塤李賢輔孝節公知中金謙光功臣安彭命司諫梁濯逸府使朴處倫監司趙之瑞承旨閔暉大憲趙士秀參贊李順孝監司柳塤判書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