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근(趙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70ADFCFFFFB1631X0
자(字)복형(復亨)
호(號)손암(損庵)
생년1631(인조 9)
졸년1680(숙종 6)
시대조선중기
본관함안(咸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봉원(趙逢源)
저서『손암집』

[상세내용]

조근(趙根)
1631년(인조 9)∼1680년(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복형(復亨), 호는 손암(損庵).

동지중추부사 조봉원(趙逢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1650년(효종 1) 생원시에 합격하고, 1662년(현종 3) 여러 유생들을 대표하여 이이(李珥)성혼(成渾)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상소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그뒤 제릉참봉(齊陵參奉)이 되었으나, 1664년 능의 수림(樹林)이 남벌된 책임으로 한때 투옥되었다.

166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670년 사간원정언으로 있을 때 딸이 세자빈의 간택에 들었으나 병으로 입참(入參)하지 못하게 된 책임으로 면직되었다가 곧 복직하여 사헌부지평세자시강원사서홍문관교리 등을 거쳐, 1674년 강서현령(江西縣令)이 되었다.

1676년(숙종 2) 사은 겸 진주변무사(謝恩兼陳奏辨誣使) 허적(許積)과 함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78년 충청도도사를 지내고, 이듬해 남인 허목(許穆)자의대비(慈懿大妃)복상문제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송시열의 2차에 걸친 예론(禮論)에 장사(杖死)한 송상민(宋尙敏)의 옥사에 연루되어 경흥에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왔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저서로는 『손암집』 8권이 있다. 부제학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華陽淵源錄

[집필자]

신해순(申解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