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필영(李必榮)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D544C601B1573X0
자(字)이빈(而賓)
호(號)만회(晩晦)
생년1573(선조 6)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주(廣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사수(李士修)
증조부이준경(李浚慶)

[상세내용]

이필영(李必榮)
1573년(선조 6)∼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이빈(而賓), 호는 만회(晩晦). 영의정 이준경(李浚慶)의 증손이며, 시정(寺正) 이사수(李士修)의 아들이다.

1597년(선조 30)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검열사서병조좌랑수찬지평‧문학‧이조정랑 등을 역임하고, 1605년에 함경도어사로 나갔다가 돌아와서, 상의원정(尙衣院正)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냈다.

1608년(광해군 즉위)에 장령이 되고, 1610년에 한성부우윤이 되었다가 곧 대사간이 되고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를 겸하여 『선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12년에 황해도관찰사가 되고, 1618년에 한남군(漢南君)에 봉하여졌다.

그뒤 우참찬특진관(特進官)을 지내고 1627년(인조 5)에 다시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적을 피하여 달아났다.

1641년에 경기도관찰사로 등용되고, 1644년에 예조참판으로 사은부사(謝恩副使)가 되어 청나라 심양에 다녀왔다.

이듬해 개성부유수가 되고, 기로소에 들어갔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이재범(李在範)
대표명이필영(李必榮)
봉호한남군(漢南君)
성명이필영(李必榮)
이실(而實)
만회(晩晦)

성명 : "이필영(李必榮)"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6初李初等所爲不幸近之誠使都事馳赴義州使天使知本國拿命則失對之實自明於中朝庶幾不虧國體聖批以爲非便又見李必榮賫去奏本極言殿下仁孝之德逆魁惡逆之狀齊等比較立角訟辨初若情僞未定者然雖使稱譽聖德賢於堯舜猶未免爲萬古
紀年便攷v22李必榮浚慶曾孫蔭正士修子宣祖癸酉生字而實號晩晦丁酉登別試歷畿伯官止刑判封漢南君入耆社仁朝乙酉卒年七十三三兄
記聞v1義之邦豈可擅行廢立自階亂亡移文該國耆老大臣會同軍民人等萬口一辭神人相合然後奏請本國具文武奏文一本遣李必榮又遣左相李德馨戶判黃愼齎王大妃奏文以請遼東撫院差知州萬愛民都司嚴一魁査勘一國推戴實狀而去己酉帝遣太監
野乘v1○陳慰使朴彛叙進香使柳澗書状鄭應斗由海路歸相継渰没陳慰使姜昱卒于道中惟進香使李必榮書状李祗先得歸
郯述v01正使洛興君金自點副使左參贊李必榮書狀司藝沈
職官考v01李必榮
東國續修文獻錄v1成沈諿子順靑松人判書沈詻重卿靑松人八十四參贊金尙憲見相八十三徐景雨見相七十三尹絅美仲坡平人九十八知中李必榮而實廣州人留守吳允謙見相七十八李久澄澄源全州人知中閔馨男潤夫驪興人九十六判中金壽賢廷安豐山人參贊南以
國朝人物志v2從弟戊子進士丁酉文科判尹錄寧社功臣一等勳封陽陵君仁祖朝上疏請元宗追崇同上李必榮字而實號晩晦廣州人寺正士修子浚慶曾孫丁酉文科參贊封漢南君入耆社同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