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윤득화(尹得和)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4B4DDD654B1688X0
자(字)덕휘(德輝)
생년1688(숙종 14)
졸년1759(영조 35)
시대조선중기
본관해평(海平)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윤상명(尹商明)

[상세내용]

윤득화(尹得和)
1688년(숙종 14)∼1759년(영조 3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덕휘(德輝). 금천현감 윤상명(尹商明)의 아들이다.

1725년(영조 1) 생원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1723년 송시열(宋時烈)과 그의 제자 윤증(尹拯)이 서로 화목하지 못하였는데 왕이 윤증을 지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다가 파면되었다.

이듬해 병조좌랑으로 서용되고 지평을 거쳐, 1729년에는 사서로 재상 조문명(趙文命) 등의 탕평론에 반대하여 영조의 탕평정책에 해가 적지 않았다.

1731년 진위사(陳慰使)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지평이 되고, 수찬을 거쳐 부교리로 있을 때 이광좌(李光佐)의 죄를 논하다가 갑산에 유배된 민형수(閔亨洙)를 변호하여 다시 고원군수로 좌천되었다. 곧 교리로 발탁되어 한학교수를 겸하였다.

이어 호조참의관찰사대사간좌부승지대사성도승지강화유수 등을 거쳐, 대사헌이 되자 권신 송인명(宋寅明)이 사당(私黨)을 부식하여 위복(威福)을 마음대로 누리는 것을 탄핵하다가 파직되었다.

오랜 뒤에 예조참판이 되고, 개성유수강원도관찰사를 거쳐 다시 대사헌에 이르러 죽었다. 안광이 형형하여 능히 백보 밖의 것을 보았으며, 특히 송시열을 사모하여 윤증이 스승을 배반한 죄를 규명하는 소를 포의(布衣)의 몸으로 올려 숙종을 깨우치기도 하였다. 글씨를 잘 써서 이름이 높았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承政院日記
國朝榜目
江漢集

[집필자]

유병용(兪炳勇)
대표명윤득화(尹得和)
득화(得和)
성명윤득화(尹得和)

성명 : "윤득화(尹得和)"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辛壬紀年提要v12七月副修撰閔亨洙上疏痛斥光佐諱疾之罪上命甲山荐棘因咎閔鎭遠敎子上疏鎭遠連疏引罪上慰諭之校理尹得和吳瑗爭之上命補外得和高原瑗利原○上於筵中慰光佐曰諱疾之斥非誣卿也乃誣我也光佐益增氣以諱疾爲義理亨洙乃
政堂故事v2德海拜文學上書訟其兄福海事曰福海素惡李泰爲人絶而不通其所見捉鞫廳文書中聞慶錢饋之說乃尹得和有私嫌而造言以陷之其文書但有貞洞翰洞字而已無聞慶字其時禁府堂郞金始洪象漢沈鑐洪櫟爲臣言皆如此又言火粟
政堂故事v2是時顯命上箚曰當初臣箚所論福海錢饋事蓋聞金尙魯之言也尙魯則聞於獄官尹得和臣爲世道論此而不料得和之白做也及見得和自首之供然後始知其言於尙魯者之爲虛妄而福海橫罹可矜
政堂故事v2洪象漢沈鑐洪櫟爲臣言皆如此又言火粟錢三千餘兩福海皆用於公用無貪汚之事乞更緘問御史及禁府堂郞世子報罷之尹得和上書曰聞慶二字德海以爲元無而引諸堂郞爲證然德海之往問於堂郞旣如此則德海疏云已往問其時堂郞則皆云無聞慶
江華府先生案庚申正月遞 吳 緩文嘉善 庚申二月赴任同年四月遞 尹得和文嘉善 庚申四月赴任辛酉 五月遞 金始㷜文嘉義 辛
郯述v01正使渃豊君楙副吏判尹得和書狀卜正尹光纘
郯述v02尹得和
鶴塘銓攷v1書狀官○尹得和宋徵啓徐命珩
鶴塘銓攷v1京畿都事○金若魯趙尙行尹得和
鶴塘銓攷v1兵曹佐郞○尹得和李德載成大烈
鶴塘銓攷v1永柔縣令○尹得和李榕兪健基
宗廟儀軌續錄v1云耶羽良曰守僕輩告以黃鼠成群出入云矣上曰奉審後可以詳知矣同日奉審後宗廟都提調金在魯提調鄭羽良禮曹參判尹得和追後入 侍時上曰宗廟奉審事先爲陳達也在魯曰臣等詳細奉審則第一 室神榻後地衣第五室神榻前地衣第七 室神
端敬王后覆位儀軌右參贊李德壽預差行工曹判書尹淳玉冊文書寫官前大司成尹得和預差左承旨任珽 己未四月初四日 都監郞廳 以都提調
端敬王后覆位儀軌玉冊文製述官議政府左參贊李德壽書寫官前成均館大司成尹得和諡冊文製述官領中樞府事李宜顯書寫官行工曹判書尹淳金
端敬王后覆位儀軌言 玉冊文製述官議政府右參贊李德壽書寫官 前大司成尹得和維歲次 己未五月丙午朔日 國王臣諱謹 再拜稽首上言
和平翁主嘉禮謄錄 保寧縣監朴亨潤子東翼 敎官金致萬子鍾秀 黃海監司尹得和子憲東 幼學鄭錫仁子誠興 海州判官申宗夏子㬚 公州
洗草宴謄錄n1-1책使行貿來事分付何 如乾隆二年閏九月初二日同副承旨臣尹得和次知 啓依允
國朝人物志v3月子亨洙上疏斥光佐上命荐棘于甲山因咎鎭遠敎子上疏鎭遠聯箚引罪上慰諭之校理尹得和吳瑗爭之上命補外丁未十一月以奉朝賀卒諡文忠配食英祖廟廷又號洗心有丹岩奏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