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송능상(宋能相)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A1B2A5C0C1B1710X0
자(字)사홍(士弘)
자(字)사룡(士龍)
호(號)운평(雲坪)
호(號)동해자(東海子)
생년1710(숙종 36)
졸년1758(영조 34)
시대조선후기
본관은진(恩津)
활동분야문신 > 문신
송한원(宋漢原)
남원윤씨(南原尹氏)
조부송은석(宋殷錫)
증조부송시열(宋時烈)
처부조정순(趙正純)
외조부윤홍(尹泓)
묘소연산(連山) 양정치(養正峙)
저서『운평집(雲坪集)』

[관련정보]

[상세내용]

송능상(宋能相)
1710년(숙종 36)∼1758년(영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사능(士能)사홍(士弘)사룡(士龍), 호는 운평(雲坪)동해자(東海子).

증조부는 송시열(宋時烈), 조부는 송은석(宋殷錫)이고, 부친은 송한원(宋漢原)이며, 모친은 남원윤씨(南原尹氏) 윤홍(尹泓)의 딸이다. 조정순(趙正純)의 딸과 혼인했다.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에게 수업을 받았고, 늑천(櫟泉) 송명흠(宋明欽)과 교류했다. 1739년(영조 15) 좌상 송인명(宋寅明)이 연석(筵席)에서 추천하였다. 1740년(영조 16) 내시교관(內侍敎官), 시강원자의(侍講院諮議)가 되었으나 나가지 않았으며, 상소하여 『춘추(春秋)』의 의리를 논했다. 1743년(영조 19) 조지서별제(造紙署別提), 장령(掌令)이 되었으나 사직하였다. 1745년(영조 21)에 장령에 제수되었다. 1747년(영조 23)에 익위사사어(翊衛司司禦), 장령이 되었다.

1750년(영조 26) 한원진에게 편지를 보내어 「심설(心說)」에 대해 물어보기도 하였다. 또 그해 2월 상서하여 정우양(鄭羽良)이 도통(道統)을 말하면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을 빼고 윤증(尹拯)을 넣은 것을 논척(論斥)하였다. 1752년(영조 28) 장령이 된 후에 시강원집의(侍講院執義), 장악원정(掌樂院正) 등을 역임하였다. 1758년(영조 34) 서쪽 지방을 유람하다가 6월 24일 묘향산(妙香山) 상원암(上院菴)에서 학문 연구를 하다가 죽었다. 『주역』에 밝았으며, 예학에 조예가 깊었다. 묘는 연산(連山) 양정치(養正峙)에 있다.

저서로 『운평집(雲坪集)』이 있는데, 족질인 송환기(宋煥箕)와 아들인 송환장(宋煥章)의 주도로 이의조(李宜朝)의 도움을 받아서 모두 10권 4책의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 문집은 권1에 시, 권2에 소‧서계(書啓)‧장(狀), 권2∼7에 서(書), 권8에 서(序)‧기(記)‧인(引), 권9∼10에 잡저가 수록되어 있다. 특히 서에는 한원진, 윤봉구, 이재 등 노론계 학자들과 학문에 대해 토론한 내용이 들어 있다. 이 문집은 순조 때 사학유생(四學儒生) 윤우대(尹遇大) 등이 상소하여 주자의 정론이 아니라는 이유로 문제가 된 내용을 삭제하고 각판(刻版)을 파기하라는 등 문집의 유통에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후일 권돈인의 상소로 신설(伸雪)되었지만 다시 유생들에 의하여 권돈인까지 탄핵을 받는 등 철종 때까지 문제가 되었다. 하지만 초판본의 판본이 지례(知禮) 이참봉택(李參奉宅)에 남아있었고, 현재 규장각,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남아있다.

[참고문헌]

韓國文集叢刊解題

[집필자]

김영진
대표명송능상(宋能相)
능상(能相)
성명송능상(宋能相)
사능(士能)
운평(雲坪)

성명 : "송능상(宋能相)"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政堂故事v1史官召之恩禮太過矣右相鄭羽良亦曰過矣明日都承旨趙明履曰韓元震以老病不能祗迎亦召之如何左相曰宋明欽宋能相亦下諭宜矣右相曰沈錥亦在近處云矣上曰韓亦權門人乎明履曰然上問其居曰洪州矣上以爲視尹居稍遠而
國朝捷錄v01字成之光山人孝簡公國光十二代孫相庚子英廟朝科甲寅拜芹窩父壽澤祖鎭望曾万增高益熙沙溪六伐孫宋能相女成一作善
國朝捷錄v01錥持平靑松人閔翼洙掌令趙任道李載亨嘉會松岩持平全州人韓元震德邵南塘崔是翁持平朔寧人金鍾厚伯高本庵執義宋能相士能雲坪執義恩津人洪啓能南陽人李鳳祥儀韶執義全州人金正默而運遇齋持平光山人閔彝顯公著掌令呂興人鄭宗魯
科宦錄請下詢大臣諸宰處之何如上曰大臣 諸宰之意何如賤臣曰宋能相事臣以後生本事之顚末未詳有不敢質對惟願博詢而處之
科宦錄領議政趙寅永所啓向者以宋能相復逸事有時原任收議而未及議之矣 以其所謂箚錄言之駭
疏箚錄v48猛獸正道行則邪說不行正道不行則邪說益熾世道汚隆斯文興廢稟係於此也臣等卽見近日新刊所謂雲坪集者卽故掌令宋能相書是已能相小竊學問之名心術麤悖言議陰譎平日乃以小學近思錄爲朱子中年未定之書自以爲枉讀貳書蔑蔑無效小學
賢嬪宮喪謄錄n1-1책道公州地副護軍李養源德山地進善 尹鳳九懁德地副護軍宋能相沃川地副司果宋明 欽處今此賢嬪宮喪大王大妃殿服制問
東國續修文獻錄v1驪驪人掌令趙任道李載亨嘉會松巖全州人持平韓元震德昭南塘淸州人崔是翕朔寧人持平金鍾厚伯吉本菴淸風人執義宋能相士能雲坪恩津人執義洪啓能南陽人李鳳祥儀韶全州人執義金正默而運過齋光山人持平閔彝顯公著驪興人掌令鄭宗魯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