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안윤행(安允行)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48C724D589B1692X0
자(字)성지(性之)
시호(諡號)충헌(忠憲)
생년1692(숙종 18)
졸년1778(정조 2)
시대조선중기
본관죽산(竹山[舊])
활동분야문신 > 문신
안상원(安相元)

[상세내용]

안윤행(安允行)
1692년(숙종 18)∼1778년(정조 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성지(性之), 호는 담헌(澹軒).

목사 안상원(安相元)의 아들이다.

1717년(숙종 43) 생원시에 합격하고, 1740년(영조 16)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46년에 정언지평 등을 거쳐 1747년에 헌납으로 재임시에 탕평책을 반대하다가 수금된 윤급(尹汲)송영중(宋瑩中)의 석방을 주장하다가 파직되었다.

그뒤 다시 관에 복귀하여 수찬교리 등을 지내면서 잦은 직언으로 왕의 미움을 사게 되어 1751년에 다시 파직되었다.

2년 뒤에 부교리로 재등용되어 승지 등을 역임하고 1760년에는 울산부사로 나갔다. 그 이듬해에 대사간이 되어 영조에게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진현(進見)을 받아들이도록 권유하다가 또 삭출되었다.

그뒤 다시 대사간에 복귀되었으며 형조참판판서를 거쳐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英祖實錄
正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반윤홍(潘允洪)
대표명안윤행(安允行)
윤행(允行)
성명안윤행(安允行)
시호충헌(忠憲)
성지(性之)

성명 : "안윤행(安允行)"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1傳曰頃者安允行之所奏萬萬駭擧以啓中外之疑惑洪啓禧之不請元良反奏于予輕重倒置若日許見則勸予可也若曰進見則何言于予乎
待闡錄v1大司憲鄭享復掌令權杬柳謇司諫洪樂性正言吳瓚副提學尹汲校理安允行尹學東修撰李奎采李顯重應校金文行
政堂故事v5曰王者一言爲信昨年移御時有留數月之敎今旣踰年且東宮各處有難便宜還御也上傳敎曰近來堂階不嚴紀綱解弛今日安允行所奏萬萬怪駭削職玉堂李商芝金華鎭言曰允行誠萬萬怪駭罪之則過矣上乃命還寢其命十七日次對修撰李商芝入侍論
政堂故事v5四月十六日常參大司諫安允行入侍言曰王者一言爲信昨年移御時有留數月之敎今旣踰年且東宮各處有難便宜還御也上傳敎曰近來堂階不嚴紀綱解
政堂故事v6而訛言之本卽維鎭也聽其言觀其則與載浩一而二二而一者也此一事外無他贓物大靜縣參酌島配同日大憲鄭光忠大諫安允行各陳所懷請維鎭勿配處更加嚴訊正法依啓七月一日又命仍前配勿杖問於是光忠允行又爭之不允維鎭遂死於獄
郯述v03安允行
東國續修文獻錄v1工判邊致明誠甫黃州人八十四工判徐命臣元直達城人七十二判尹鄭實公柔延日人七十六吏判金尙翼士弼七十三禮判安允行性之竹山人判書南有容德哉宜寧人七十五判書高夢聖季周濟州人韓翼謩見相七十九趙榮鎭季楫七十四判書兪彥述繼
國朝人物志v3字仲受光山人判尹元澤子岐嶷夙成判書竹山安允行以女妻之庚申文科檢閱癸未以吏曹判書拜右相至領議政壬寅卒諡文憲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4-09輔國崇祿大夫行判敦寧府事兼工曹判書判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安公諡狀을 참고하여, 호 담헌(澹軒), 졸년 1778(정조 2 무술)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