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원경왕후(元敬王后)

[요약정보]

UCIG002+AKS-KHF_24C6D0ACBDC655B1365X0
시호(諡號)창덕(彰德)
시호(諡號)소열(昭烈)
생년1365(공민왕 14)
졸년1420(세종 2)
시대조선전기
본관여흥(驪興)
활동분야왕실 > 비빈
민제(閔霽)
송씨(宋氏)
출생지여흥

[상세내용]

원경왕후(元敬王后)
1365년(공민왕 14)∼1420년(세종 2). 조선 태종의 비(妃). 본관은 여흥(驪興).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의 딸로 여흥에서 출생하였다.

1382년(우왕 8)에 방원(芳遠)에게 출가하였으며, 1392년(태조 1)에 정녕옹주(靖寧翁主)에 봉해졌다.

제1차왕자의 난 때 부군(夫君)을 도와 공이 출중하였으며, 1400년(정종 2) 2월에 방원이 왕세자에 책봉되자, 세자빈이 되어 정빈(貞嬪)에 봉해졌다. 이해 11월에 방원정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어 정비(靜妃)의 칭호를 얻게 되었다.

1398년 8월에 정도전(鄭道傳) 등이 주살될 때에 그는 미리 변이 일어날 것을 예측하고, 때마침 태조가 몸이 불편하여, 여러 왕자와 숙직하고 있던 방원을 몰래 불러내어 주의를 환기시켰으며, 또한 10여일 전에 여러 왕자가 거느리고 있던 시위패(侍衛牌)를 혁파하고 영중(營中)의 군기를 모두 불태울 때 정비가 몰래 무기를 숨겨두었다가 일이 발생하던 그날에 방원의 군사에게 내어주며 선수를 쓰도록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태종 초부터 궁녀문제로 불화가 일어났다.

태종정비의 불화는 빈어(嬪御)문제로 인한 갈등에 그치지 않고, 1407년(태종 7) 7월에 발발한 민무구(閔無咎)형제의 옥사를 계기로 하여 더욱 더 심각해졌는데, 민무구형제는 이미 태종 2년에 왕이 창종(瘡腫)으로 심한 고통을 받고 있을 때, 시녀를 끼고 왕의 병세를 염탐하며 은근히 협유집권(挾幼執權)의 기회를 노렸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정비가 직접 참여한 것 같지는 않지만, 민무구형제가 끝내 대역(大逆)에 몰려 비명으로 죽게 된 데에는, 정비의 정도에 지나친 투기와 불평으로 태종의 비위에 거슬린 것이 곧 민무구형제에게 영향을 주어 태종과 틈이 더 벌어지게 하고, 그들의 방자한 행동을 도와주는 원인의 하나가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정비민무구형제의 옥이 발발한 4개월 후 금령을 범하여 친정과 내통한 사실이 드러나서 그들의 옥을 악화시키는 요인을 만들었다. 정비가 친정과 내통한 일이 있던 직후, 민무구형제의 직첩(職牒)을 거두어 서인을 만들 정도로 정비의 무엄한 태도에 태종이 격분하였던 것이다.

민무구형제는 그뒤 태종정비의 면목과 장인 민제와 빙모 송씨(宋氏)의 생존으로 인하여 겨우 생명을 보전해나갔으나, 1408년 9월 민제가 죽자, 같은해 10월에 태종은 그들의 열가지 죄를 열거한 교서를 반포하였고, 1409년 10월에 그들의 옥에 관련된 이무(李茂)를 죽였다.

그동안 정비민무구 등의 일로 태종에게 불손한 말을 자주 하여 왕의 분노를 여러 번 사서 민무구형제가 죽은 지 1년 남짓 된 11월 9일에는 폐비의 위기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태종은 일빈이잉(一嬪二媵)의 빈어제도를 정하여, 같은해 10월 27일에 판통례문사 김구덕(金九德)의 딸을 빈으로 삼아 명빈(明嬪)에 봉하고, 전 제학 노구산(盧龜山)의 딸과 전 지함주사 김점(金漸)의 딸을 잉실(媵室)로 삼아 각각 소혜궁주(昭惠宮主)숙공궁주(淑恭宮主)로 봉하였다.

1418년 세종이 즉위하여 후덕왕대비(厚德王大妃)로 봉하고, 1420년 7월 56세로 죽었다. 시호는 원경왕후창덕소열(彰德昭烈)이라는 휘호(徽號)가 추상되었다.

소생은 세종양녕(讓寧)효령(孝寧)성녕(誠寧)의 3대군과 정순(貞順)경정(慶貞)경안(慶安)정선(貞善)의 4공주가 있다. 능은 헌릉獻陵)이다.

[참고문헌]

太宗實錄
世宗實錄
璿源系譜
太宗의 外戚除去에 對하여―閔氏兄弟의 獄―(金成俊, 歷史學報 17‧18合輯, 1962)

[집필자]

김성준(金成俊)

묘호 : "원경왕후(元敬王后)"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元敬王后誕生序居第三
國朝編年v01召諸王子入內欲因以作亂令其黨在內謀之前參贊李荗茂亦其黨也盡以其謀潛泄於太宗時太宗與諸兄恒宿于勤政門外元敬王后太宗妃與其弟將軍無疾議遣奴金小斤請來小斤曰與諸君同處何辭以請后曰以我腹痛奔告則公當速來小斤奔告太宗卽
國朝編年v01馬盡屬三軍府以爲公家之兵私門直宿悉皆禁斷朝路毋令私伴持兵跟隨以應家不藏兵之義豈不幸甚東文選鄭道傳之亂元敬王后欲自至太宗所立處同其禍敗徒步而出太宗麾下士等力止之蹰躇間奴金夫介以道傳笠釼來后乃還芳幹之亂軍士睦仁海
國朝編年v01李彬姜思德等請正典刑肆諸市朝傳曰無咎無疾付處海島其餘依啓翌年無咎無疾因政府宗親啓請竝賜自盡無恤無悔因元敬王后之違豫入闕俟兩大君入內世子壤讓寧大君獨在無悔告曰臣兄無咎等豈有謀叛乎世子生長臣家願蒙恩德世子答曰舅氏
紀年便攷v6元敬王后
紀年便攷v6 元敬王后有疾入闕告世子曰吾兄無咎無疾豈有謀叛乎世子且長吾家願蒙㤙德世子曰汝家門不善矣尋并賜死無咎䓁元敬王后之弟也芳榦之變亦多有㓛而闔門被禍未知所坐何罪若犯逆則必不止此
紀年便攷v6興相臣李茂䓁壞亂朝廷政府及三㓛臣啓曰亂臣閔無咎無疾李茂李穆柳沂趙希閔李彬䓁請正刑命海島付䖏閔無恤因 元敬王后有疾入闕告世子曰吾兄無咎無疾豈有謀叛乎世子且長吾家願蒙㤙德世子曰汝家門不善矣尋并賜死無咎䓁元敬王后之
紀年便攷v6恤無悔等罪三省交㘴問無悔無悔謀翦除宗支之罪與告于世宗之言無恤等付䖏清州尋并賜死妻子遠方安置霽女三人 元敬王后平原君趙礏右相盧閈
紀年便攷v7讓寧大君禔太宗第一子 元敬王后誕生太祖甲戌生太宗癸未冊封王世子十五歲朝天還過曲阜謁孔子廟戊戌降封爲讓寧大君放于廣州天姿倜儻平生自奉
紀年便攷v7孝寧大君補太宗第二子 元敬王后誕生譲寧大君禔弟太祖丙子生鄭昜婿字善叔初名祜號喜雨亭知譲寧将廢深自謹飭危㘴讀書盖意譲寧若廢以次當立也
震乘總v1托以移御召王子入來欲仍以作亂令其黨在內謀之李茂亦其黨也潛泄其謀於太宗時太宗與諸兄恒宿勤政門外元敬王后遣宮奴金小斤急請太宗勿詣闕太宗拂衣而出曰諸兄皆在禁中不可不使知之后與弟無咎無疾等潛備兵馬以爲應
震乘總v1漁隱聰明絶人不事家産嘗謂子無咎無疾等曰汝等驕盈不悛必敗己丑後無咎無疾因宗親府啓竝賜自盡後無恤無悔因元敬王后違豫入闕俟世子獨在告曰臣兄豈謀反世子生長臣家願蒙恩德曰舅氏家門不善矣此言傳播鞠無恤等以宋氏故后母付
震乘總v1世宗莊憲英文睿武仁聖孝明大王諱祹字元正太宗第三子元敬王后以洪武丁丑四月十日壬辰誕降于太宗漢陽潛邸初封忠寧君有十八男四女在位三十二年景泰庚午二月十七日薨壽
記聞v1國初山陵用石槨元敬王后之喪太宗以勞民命勿用全石而以方石合成世宗篤於孝思伐取全石太宗自往役所擊剖之
大東彙纂v1元敬王后昇遐世宗去床伏苫日夜痛哭不進膳左右密以油紙藉其下上命撤去大雨水溢入廬次上猶不移曰母后遘疾竟不得效身之
大東彙纂v1鄭道傳之亂元敬王后使奴金小斤托以腹痛猝劇請來太宗于勤政門外與之密語定計太宗拂衣還入禁中后欲自至太宗所在處同其禍敗徒步
大東彙纂v1太宗朝閔無咎無疾賜死厥後閔無恤無悔嘗因元敬王后有疾入闕俟兩大君入內世子讓寧也獨在之時無悔告曰吾兄無咎無疾豈有謀反乎世子生長吾家願蒙恩德世子答曰汝家
小華龜鑑v1道傳托議移御召諸王子入內將以作亂參判李茂亦其黨也洩其謀於太宗義安君和亦密告時太宗與諸兄恒宿於勤政門外元敬王后與其弟无疾議遣奴金小斤請來太宗曰汝以吾胸胷腹痛奔告則公當速來小斤奔告太宗卽還與后及无疾密語良久后涕泣
小華龜鑑v1妃彰德昭烈元敬王后閔氏籍驪州左政丞驪興府院君霽女元至正乙巳誕降于松京ː鐵洞私第洪武壬申封靖寧翁主建文庚辰封貞嬪是年太宗
小華龜鑑v1苞亂河崙等請於恭靖封世子尋受禪○東閣雜記曰初道傳誾等欲去諸王子請罷王子兵權上盡燒宮中軍器及變生倉卒賴元敬王后潛備兵仗故封冊有曰能決策而提甲弼成宗社之功玆獲紹於丕圖亦多資於內助後上覽麗史柳氏事謂世子曰定社之日汝
小華龜鑑v1批雲斷俗寺雲大笑曰老賊墮吾術中○公一日攬鑑愀然曰吾不知老之至此也辭職不出時年六十餘○是年月掩太白七月元敬王后昇遐上被髮徒跣呼痛數日不進膳上王幸苫次泣勸時暑濕去床伏苫日夜呼慟左右密以油紙藉其下上知之命撤去上王諭
靑野謾集v1御事召王子八來欲因以作亂令其黨在內謀之前參贊李戊亦其黨也盡以其謀潛洩於太宗時太宗與諸兄恒宿于勤政門外元敬王后遣奴金者斥請來太宗還邸與后密語良久后涕泣執太宗之衣請勿詣闕太宗曰豈可畏死而不往且諸兄皆在禁中不可不
歷代帝王紀年v01元敬王后閔氏考純忠贊化功臣驪興府院君文慶公齊仁獻陵同▣......▣塋▣......▣永樂庚子七月初十日薨壽五十六▣......▣生
王族譜卯咸興歸州洞私邸 ニ於テ誕生ス年代未詳閔霽女閔氏(元敬王后)ヲ妃トナスト結婚ス開國元年壬申太祖卽位後靖安君ニ
文獻攷略v1備○奉朝賀宋時烈箚言神懿元敬王后位版獨書王太后宜去太字且祝版則書王妃姓氏位版則不書其他列聖徽號或有字畫字音與實錄所考出有異者或有曾上
肅宗大王國恤謄錄n1-1책一曹啓本禮曹判書李等謹啓爲停朝市等事 來七月初十日元敬王后忌辰同日停朝市去刑戮良爲如敎 喩乃謹具啓聞伏候敎旨
貞純王后國恤謄錄n1-1책謹稽國朝已行之例則進行之例有十三定安王后厚陵因山 元敬王后獻陵因山世祖大王光陵因山恭惠王后順陵因山貞顯王后
純祖大王改上謚號廟號追上尊號純元王后追上尊號都監儀軌n1-2책改題主時癸亥六月太祖大 王太宗大王加上諡號神懿王后元敬王后改題 主時憲宗乙未五月翼宗大王追崇廟號諡號時 上冊
璿源系譜紀略修正謄錄n1-1책后父象山府院君同 德源郡赤田面上里十六番地康德鎭 元敬王后父驪興府院君同 京城府竹添町二丁目百六十三番地閔仁
璿源系譜紀略修正謄錄n1-1책回答驪興府院君后孫閔仁植 回答驪興府院君后孫閔仁植元敬王后父驪興府院君 墓所在新地名 開豊郡臨漢面月巖里母三
建置沿革攷靖大王二年採礪良朗山二縣名爲礪山縣世宗大王十八年以元敬王后外鄕陞爲郡移隷忠淸道二十六年還隷 本道置郡守肅宗大
重訂南漢志v1元敬王后閔氏世宗二年庚子九月十七日先塟於同原
冊寶錄 一層 太宗大王癸亥金寶 太宗大王壬申金寶 二層 元敬王后甲辰金印西欌二層 一層 太宗大王癸亥玉冊 二層 國
韓史綮v1有司優禮遣歸官其子○冬十二月王禪位于世子世子卽位奉王爲上王○冊嬪驪興閔氏驪興府院君霽之女爲妃是爲元敬王后○王追念鄭夢周之忠特除罪名賜爵諡○初太祖禪位初幸咸興私邸尋返于是見王卽位尤思念芳碩兄弟而心不平
韓史綮v1元敬王后
韓史綮v1辛丑三年明成祖永樂十九年令世子入太學儒服行束修禮○夏六月元敬王后閔氏薨葬獻陵○舊例歲終遣人祈福于佛寺山川冬十二月有司以其事聞王曰祈福而獲猶爲鄙陋況斷無此理乎其勿擧
國朝人物志v1進輔國門下右政丞驪興伯轉左政丞太宗卽位加賜純忠同德贊化功臣號封府院君寔誕我元敬王后配我太宗以國舅尊榮已極略無富貴之相蕭然有出塵之趣常謂子無咎等曰汝等驕盈不悛必敗及卒
國朝人物志v1極暑終夜讀書手不釋卷通達治體予欲以忠寧爲世子群臣賀曰臣所謂擇賢者此也上入內以群臣語語元敬王后后不可之曰廢兄立弟亂之本也上亦是之廷顯獨贊其議定策以忠寧爲世子議旣定上失聲痛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