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원경왕후(元敬王后)

[요약정보]

UCIG002+AKS-KHF_24C6D0ACBDC655B1365X0
시호(諡號)창덕(彰德)
시호(諡號)소열(昭烈)
생년1365(공민왕 14)
졸년1420(세종 2)
시대조선전기
본관여흥(驪興)
활동분야왕실 > 비빈
민제(閔霽)
송씨(宋氏)
출생지여흥

[상세내용]

원경왕후(元敬王后)
1365년(공민왕 14)∼1420년(세종 2). 조선 태종의 비(妃). 본관은 여흥(驪興).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의 딸로 여흥에서 출생하였다.

1382년(우왕 8)에 방원(芳遠)에게 출가하였으며, 1392년(태조 1)에 정녕옹주(靖寧翁主)에 봉해졌다.

제1차왕자의 난 때 부군(夫君)을 도와 공이 출중하였으며, 1400년(정종 2) 2월에 방원이 왕세자에 책봉되자, 세자빈이 되어 정빈(貞嬪)에 봉해졌다. 이해 11월에 방원정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어 정비(靜妃)의 칭호를 얻게 되었다.

1398년 8월에 정도전(鄭道傳) 등이 주살될 때에 그는 미리 변이 일어날 것을 예측하고, 때마침 태조가 몸이 불편하여, 여러 왕자와 숙직하고 있던 방원을 몰래 불러내어 주의를 환기시켰으며, 또한 10여일 전에 여러 왕자가 거느리고 있던 시위패(侍衛牌)를 혁파하고 영중(營中)의 군기를 모두 불태울 때 정비가 몰래 무기를 숨겨두었다가 일이 발생하던 그날에 방원의 군사에게 내어주며 선수를 쓰도록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태종 초부터 궁녀문제로 불화가 일어났다.

태종정비의 불화는 빈어(嬪御)문제로 인한 갈등에 그치지 않고, 1407년(태종 7) 7월에 발발한 민무구(閔無咎)형제의 옥사를 계기로 하여 더욱 더 심각해졌는데, 민무구형제는 이미 태종 2년에 왕이 창종(瘡腫)으로 심한 고통을 받고 있을 때, 시녀를 끼고 왕의 병세를 염탐하며 은근히 협유집권(挾幼執權)의 기회를 노렸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정비가 직접 참여한 것 같지는 않지만, 민무구형제가 끝내 대역(大逆)에 몰려 비명으로 죽게 된 데에는, 정비의 정도에 지나친 투기와 불평으로 태종의 비위에 거슬린 것이 곧 민무구형제에게 영향을 주어 태종과 틈이 더 벌어지게 하고, 그들의 방자한 행동을 도와주는 원인의 하나가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정비민무구형제의 옥이 발발한 4개월 후 금령을 범하여 친정과 내통한 사실이 드러나서 그들의 옥을 악화시키는 요인을 만들었다. 정비가 친정과 내통한 일이 있던 직후, 민무구형제의 직첩(職牒)을 거두어 서인을 만들 정도로 정비의 무엄한 태도에 태종이 격분하였던 것이다.

민무구형제는 그뒤 태종정비의 면목과 장인 민제와 빙모 송씨(宋氏)의 생존으로 인하여 겨우 생명을 보전해나갔으나, 1408년 9월 민제가 죽자, 같은해 10월에 태종은 그들의 열가지 죄를 열거한 교서를 반포하였고, 1409년 10월에 그들의 옥에 관련된 이무(李茂)를 죽였다.

그동안 정비민무구 등의 일로 태종에게 불손한 말을 자주 하여 왕의 분노를 여러 번 사서 민무구형제가 죽은 지 1년 남짓 된 11월 9일에는 폐비의 위기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태종은 일빈이잉(一嬪二媵)의 빈어제도를 정하여, 같은해 10월 27일에 판통례문사 김구덕(金九德)의 딸을 빈으로 삼아 명빈(明嬪)에 봉하고, 전 제학 노구산(盧龜山)의 딸과 전 지함주사 김점(金漸)의 딸을 잉실(媵室)로 삼아 각각 소혜궁주(昭惠宮主)숙공궁주(淑恭宮主)로 봉하였다.

1418년 세종이 즉위하여 후덕왕대비(厚德王大妃)로 봉하고, 1420년 7월 56세로 죽었다. 시호는 원경왕후창덕소열(彰德昭烈)이라는 휘호(徽號)가 추상되었다.

소생은 세종양녕(讓寧)효령(孝寧)성녕(誠寧)의 3대군과 정순(貞順)경정(慶貞)경안(慶安)정선(貞善)의 4공주가 있다. 능은 헌릉獻陵)이다.

[참고문헌]

太宗實錄
世宗實錄
璿源系譜
太宗의 外戚除去에 對하여―閔氏兄弟의 獄―(金成俊, 歷史學報 17‧18合輯, 1962)

[집필자]

김성준(金成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