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서춘보(徐春輔)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1CCD98BCF4B1776X0
자(字)화세(和世)
시호(諡號)숙렬(肅烈)
생년1776(영조 52)
졸년1825(순조 25)
시대조선후기
본관대구(大丘)
활동분야무신 > 무신
조부서지수(徐志修)

[상세내용]

서춘보(徐春輔)
1776년(영조 52)∼1825년(순조 25).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화세(和世).

좌의정 서지수(徐志修)의 손자이다.

1798년(정조 22) 별군직(別軍職)으로 조정에 들어가 2년 뒤에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무겸선전관(武兼宣傳官)이 되었으며, 이어 정주목사(定州牧使)황해병사(黃海兵使)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총융사(總戎使)좌포도대장(左捕盜大將) 등을 역임하였다.

1811년(순조 11)에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나자 정주목사로서 출정하였으며, 영남지방에 흉년이 들자 위유사(慰諭使)가 되었는데 일찍이 무신으로 위유사가 된 적이 없다고 신하들이 반대하자 승지의 직함을 받아 임명될 정도로 왕의 총애를 받았다.

좌포도대장으로 있을 때 포교(捕校)와 원례(院隷)간의 싸움을 두고 원례만 다스렸다는 편파성으로 탄핵되기도 하였으나, 서북지방의 농민항쟁이 일어났을 때는 대의로써 민을 독려하는 것을 보고는 거병(擧兵)들조차도 일찍이 그가 가산(嘉山)정주의 수령으로 애민한 이력을 알고서 “어찌 그와 서로 포시(砲矢)를 향하겠는가.”라고 할 정도로 민심을 얻기도 하였다.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純祖實錄
哲宗實錄

[집필자]

장필기(張弼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1-01-03무과방목과 大丘徐氏世譜(2003년 간행)를 참고하여 본관을 달성(達城)에서 대구(大丘)로 수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