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백인영(白仁英)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31C778C601U9999X0
자(字)언화(彦華)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수원(水原)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백익장(白益長)
외조부최경남(崔慶男)

[상세내용]

백인영(白仁英)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언화(彦華). 백익장(白益長)의 아들이며, 모친은 최경남(崔慶男)의 딸이다.

1537년(중종 32) 식년문과에 갑과 2등으로 종제 백인걸(白仁傑)과 함께 급제하였다.

1539년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1541년 사헌부헌납(司憲府獻納)이 되었다.

이듬해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이 되어 대사헌 정순붕(鄭順朋) 등과 함께 윤임(尹任)윤원형(尹元衡)의 죄과를 비호하는 데 앞장섰으며, 곧 다시 내자시정(內資寺正)이 되었다.

1545년(명종 즉위) 다시 사헌부장령이 되어 종실인 봉성군(鳳城君)의 죄를 들어 멀리 찬배시킬 것을 주청하였다. 같은해 홍문관교리가 되고, 이어 시독관(侍讀官)이 되어 과거시험을 감독하였으며, 곧이어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이 되었다.

1547년 군자시정(軍資寺正)이 되었는데, 왕명으로 평안도의 민정을 살피고 돌아왔다.

1549년 양주목사(楊州牧使)가 되고, 1553년 내섬시정(內贍寺正)이 되었으며, 이듬해 좌부승지(左副承旨)를 거쳐 우승지를 역임한 뒤 도승지가 되었다.

그뒤 1564년 공조참의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明宗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박익환(朴翼煥)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