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朴涏)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BC15C815FFFFB1653X0 |
자(字) | 거원(巨源) |
호(號) | 정소헌(淨疎軒) |
생년 | 1653(효종 4) |
졸년 | 1725(영조 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무안(務安)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박창도(朴昌道) |
조부 | 박규(朴䅅) |
외조부 | 목낙선(睦樂善) |

[관련정보]
[상세내용]
박정(朴涏)
1653년(효종 4)∼1725년(영조 1)(주1)
.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거원(巨源), 호는 정소헌(淨疎軒)(주2)
. 본관은 무안(務安)(주3)
.
증조부는 단양군수(丹陽郡守) 박응선(朴應善)이며, 조부는 청안현감(淸安縣監) 박수(朴𥞼)이고, 부친은 장사랑(將仕郞) 박창도(朴昌道)이다. 모친은 사천목씨(泗川睦氏) 목낙선(睦樂善)의 딸이고, 부인은 전주이씨(全州李氏) 이석규(李碩揆)의 딸이다. 숙부는 박창한(朴昌漢)이고, 박침(朴沈)의 아우이다(주4)
.
1686년(숙종 12) 춘당대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89년 검열이 되고, 1690년에는 홍문관 11인에 뽑힌 바 있으며, 그뒤 수찬을 제수받았다.
이듬해 암행어사가 되어 지방의 민정을 살펴 이들의 피해를 시정하는 데 진력하였다.
그뒤 이조좌랑‧이조정랑 등을 거쳤으며, 시강관으로서 왕의 강의를 맡았으며, 세자시강원문학을 역임하고 교리가 되었다.
그는 평소 실천을 덕목(德目)으로 삼아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을 동시에 중요하게 여기는 지행교진론(知行交進論)을 전개하였다.
졸년 |
務安朴氏世譜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함. |
호 |
務安朴氏世譜를 참고하여 호를 추가함. |
본관 |
본인의 문과방목을 참고하여 본관을 밀양(密陽)에서 무안(務安)으로 수정함. |
증조부는 단양군수(丹陽郡守) 박응선(朴應善)이며, 조부는 청안현감(淸安縣監) 박수(朴𥞼)이고, 부친은 장사랑(將仕郞) 박창도(朴昌道)이다. 모친은 사천목씨(泗川睦氏) 목낙선(睦樂善)의 딸이고, 부인은 전주이씨(全州李氏) 이석규(李碩揆)의 딸이다. 숙부는 박창한(朴昌漢)이고, 박침(朴沈)의 아우이다(주4)
가계 |
務安朴氏世譜를 참고하여 조부, 증조부, 숙부, 처부를 추가함. |
1686년(숙종 12) 춘당대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89년 검열이 되고, 1690년에는 홍문관 11인에 뽑힌 바 있으며, 그뒤 수찬을 제수받았다.
이듬해 암행어사가 되어 지방의 민정을 살펴 이들의 피해를 시정하는 데 진력하였다.
그뒤 이조좌랑‧이조정랑 등을 거쳤으며, 시강관으로서 왕의 강의를 맡았으며, 세자시강원문학을 역임하고 교리가 되었다.
그는 평소 실천을 덕목(德目)으로 삼아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을 동시에 중요하게 여기는 지행교진론(知行交進論)을 전개하였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榜目
國朝榜目
[집필자]
유영박(柳永博)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05 | 務安朴氏世譜를 참고하여 졸년, 호, 본관, 가계정보를 추가함.[수정자: 이재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