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대성(李大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300C131B1651X0
자(字)시숙(時叔)
호(號)삼취헌(三翠軒)
생년1651(효종 2)
졸년1718(숙종 44)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정영(李正英)
외조부유기선(柳基善)

[상세내용]

이대성(李大成)
1651년(효종 2)∼1718년(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시숙(時叔), 호는 삼취헌(三翠軒). 판중추부사 이정영(李正英)의 아들이며, 모친은 유기선(柳基善)의 딸이다.

1682년(숙종 8)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문음(門蔭)으로 입사하여 호조좌랑에 이르렀다.

169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곧 지평사서를 거쳐 1702년 정언(正言)이 되었다.

이때 붕당의 폐해와 관련하여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는 장문의 상소를 올렸다. 이로 인하여 홍문관 관원들의 탄핵을 받았고, 재상들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

3년 뒤 재기용되어 문학에 임명된 이래 지평을 거쳐 홍문록에 올랐고, 수찬부교리지평부수찬 등의 언관을 역임하다가 1708년 이조좌랑에 임명되었다. 이어서 이조참의대사성이조참판병조참판 등 청요직(淸要職)을 번갈아 역임하였다.

1717년 사은 겸 동지부사(謝恩兼冬至副使)청나라에 다녀온 뒤, 다음해 사직으로 있다가 죽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장동익(張東翼)
대표명이대성(李大成)
대성(大成)
성명이대성(李大成)
시숙(始叔), 시숙(時叔)

명 : "대성(大成)"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野乘v27容人力而每想都事眷眷之出常終不能㤀也○李大成初登科論議甚好権大運死後有叙命世子以曾経師傅将遣宫官致吊大成上䟽以為大運是己巳半日庭請者於春宫義不當致吊金公昌直奬許以鳳鳴朝陽後因其䟽中有庚申甚於甲寅己巳甚於庚
禁衛營都謄錄v3無不知之理論罪亦宜矣刑曹判書兪命雄曰諸臣所達是矣如有犯禁作亂者摘發而罪之私屠則罪其家長似爲懲戢之道矣大成曰四山監役或臺官必能聞知其犯松藏置處使之現發論罪則好矣應敎李澤曰四山松禁之申飭非止一再所謂契房之害罔
訓局謄錄v18論罪亦宜矣刑曹判書兪命雄曰 諸臣所達是矣 如有犯松作亂者 摘發而罪之 松屠 則罪其家長似爲懲戢之道矣大成曰 四山監役 或臺官必能聞知其犯 松藏置處 使之現發 論罪 則好矣應敎李澤曰 四山禁松之申飭 非止一
國朝人物志v3己卯文科參判國朝榜目初登科論議甚好權大運死後世子以曾經師傅將遣宮官致弔大成上疏以爲大運是己巳半日廷請者於春宮義不當致弔金公昌直奬許以朝陽鳳鳴後因其疏中有
國朝人物志v3朴弼夢尹聖時徐宗廈鄭楷世稱疏下六賊上同李眞儒字士珍完山人景稷曾孫以參判大成子出繼都正晚成後肅宗己卯進士丁亥文科選入史局歷吏曹參議大司成辛丑與一鏡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