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옥(李沃){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625FFFFB1641X0
자(字)문약(文若)
호(號)박천(博泉)
생년1641(인조 19)
졸년1698(숙종 24)
시대조선중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관징(李觀徵)
외조부최호(崔皞)
저서『박천집』
저서『역대수성편람(歷代修省便覽)』

[상세내용]

이옥(李沃)
1641년(인조 19)∼1698년(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약(文若), 호는 박천(博泉). 이관징(李觀徵)의 아들이며, 모친은 최호(崔皞)의 딸이다.

1660년(현종 1) 즉위증광시(卽位增廣試)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관(史官)을 거쳐 1668년(현종 9) 예조좌랑, 1670년 사간원 정언사헌부지평이 되었으며, 1675년(숙종 1) 홍문관에 들어갔으며 그뒤 헌납이조좌랑응교사간우부승지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678년 예송(禮訟)에 의하여 시정된 복제(服制)의 고묘(告廟)와 송시열(宋時烈) 등의 오례주장자(誤禮主張者)의 처벌문제로 남인이 강경파 청남(淸南)과 온건파 탁남(濁南)으로 분열되자, 아버지와 함께 허목(許穆)윤휴(尹鑴)를 중심으로 한 청남에 속하여 송시열의 극형을 주장하다가 탁남의 영수 허적(許積) 등의 반대로 삭직되어 북청(北靑)에 유배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풀려나 승지에 등용되고 경기도관찰사를 거쳐 1692년 예조참판이 되었다. 직간(直諫)을 잘하여 여러 차례 유배당하였으며, 1698년 영남에서 죽었다.

글씨에 능하고 문명도 높았다.

저서에는 『박천집』 33권과 『역대수성편람(歷代修省便覽)』이 있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黨議通略
李朝黨爭史硏究(姜周鎭, 서울大學校出版部, 1971)

[집필자]

최진옥(崔珍玉)
대표명이옥(李沃){2}
옥(沃)
성명이옥(李沃)
문약(文若)
박천(博泉)

명 : "옥(沃)"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三官記v2如目覩也舅氏仍指中舍廊曰此則相國少時寓居扶安時家材以木道掇來移搆者也沃嘗遺以倭柑數十枚舅氏笑散于前曰書有分饋兒輩之語矣余時年十餘笑曰吾何忍以口腹之累當李沃所謂兒輩之目乎
野乘v27柑數十遺之舅氏笑㪚于前曰沃書有兒軰分饋之語耳余時年十餘笑曰吾何忍以口腹之累當李沃所謂児軰之目乎○一日又来余時在舅氏側自言昔在箕幕時與李進士情親至今不可忘也顧余而問曰是其児耶此兒已有文名矣仍曲致慇懃之意
野乘v27闻果不如目睹也舅氏仍指中舎廊曰此則相國寓居扶安時家材用木道掇来移搆者沃甞以倭柑數十遺之舅氏笑㪚于前曰書有兒軰分饋之語耳余時年十餘笑曰吾何忍以口腹之累當李沃所謂児軰之目乎○一日沃又来余時在舅氏側自言昔在
大事編年v15根共說傾菌之忱矣只伏祝道體神相不宣伏惟下鑿再拜答上書庚戌三月十日小人李沃再拜此實尊慕卑諂之極及至今日等乃欲悉掩前疏公肆遮諱自欺欺人殊極可駭息菴集
大事編年v15書曰獻歲發春玆者伏惟神明台躔道體康福無任慶忭之至小人瞻望德宇賤忱有素而曾佐湖帷奔走道路一未嘗造詣門屛
大事編年v15人臣告君之道當據實直陳以俟處分決不可周遮欺誣至此之甚其他不自謹飭多招鄙瑣之謗士夫之羞莫此爲甚物議皆以之負累如此不可仍置極選姑且補外以示規正之擧於政體得失前判書閔黯前參判吳始復及臣曁正郞吳始大相議出補淮
大事編年v15丁巳淸州儒生李師顔上疏爲師訟冤納李沃兩度貽宋時烈書兼陳前後反覆狀
大事編年v15之亦或有之人有瑕庇掩匿蓋覆不以傷害爲甚者乃是君子忠厚之風豈可以暗昧之事細人之言遂加捃摭而擠之於外乎當之出補也祇在銓者若干人實主張之內懷嫌葬之私外托公共之論有識之人皆爲之不平右議政許穆以書抵臣謂沃不可久
大事編年v15外乎當沃之出補也祇在銓者若干人實主張之內懷嫌葬之私外托公共之論有識之人皆爲之不平右議政許穆以書抵臣謂不可久棄於外工曹判書尹鑴亦於筵中請召還有文學之臣在外沃之補外初旣無據今而擬望何不可之有云云
大事編年v15吏曹參議柳命天疏略之補外曲拆前疏有傷事面有未顯言今浡也謂之無所指的有若專出於嫌葬者臣不得不歷陳爲沃早年登第且有才名第其
大事編年v15吏曹參議柳命天疏略沃之補外曲拆前疏有傷事面有未顯言今浡也謂之無所指的有若專出於嫌葬者臣不得不歷陳爲早年登第且有才名第其性行輕儇言語反覆躁竸之習大爲朝廷之憂鄙瑣之誚實是士夫之羞向日淮陽之除非特銓曹三四
大事編年v15法之狀仍採公議薄施外補豈出於一人之私意乎浡之搆陷臣身之說必欲詳卞則有同自明惟當付之公議伏乞削臣職名與浡同下司敗嚴覈痛卞云云
大事編年v15災結敬差官行到寧海則田畓百結顯有隱漏之跡推問邑則監司子李沃作牌於監色使之不錄云而仍納牌子及其發覺之後抵書始復哀乞諱其言於厥父前縣監閔忠亮賈衿川田畓於閔汝錬厥後汝錬欲還推惹起訟端本文記方在刑曹而沃稱以自
大事編年v15覺之後沃抵書始復哀乞諱其言於厥父前縣監閔忠亮賈衿川田畓於閔汝錬厥後汝錬欲還推惹起訟端本文記方在刑曹而稱以自已賈得任意奪耕判書亦慣聞其郵瑣之事目睹其不法之狀仍採公議薄施外補豈出於一人之私意乎浡之搆陷臣身
大事編年v15語反覆躁竸之習大爲朝廷之憂鄙瑣之誚實是士夫之羞向日淮陽之除非特銓曹三四人之意卿宰名官多有與聞而至有勸請出者一時公議於此可見鄙瑣不忍言之事不一而足姑以銓官所聞見者證之銓官之於前監司閔黯家偶逢前兵使李重臣
大事編年v15是判義禁金錫胄疏略曰大臣論臣至謂不嚴無法臣不勝慨然駭歎李浡援吳始復爲言根而始復上章及置對各有明據非如悖之虛搆强捏只欲害人者此不待覿面鬪觜而後始快者也浡沃無稽之言旣欠酌證命天不孝之罪終難勤加兩相卞決之後
大事編年v15熟於長者之耳然東龍所供已是疏謬西邑行査乃甚明白此旣無可據之實彼安有更問之事哉大臣吏判不解臣本意今且爲而尤臣詆臣臣不以爲恨獨恨其居此重望受此標謗乃爲小兒輩所賣至此也云云
大事編年v15之考訊則彼當世之汲汲擬議於館職之長者又安其不更飽楚毒於桁楊之下哉臣之所以不令對卞者非有所厚於始復實爲浡地實念朝家所以待士夫不宜太薄至此也至於殷山事謂之傳播已久者蓋亦有由東龍雖騃甚然得業儒事甚兄東益又是
大事編年v15歎李浡援吳始復爲言根而始復上章及置對各有明據非如沃悖之虛搆强捏只欲害人者此不待覿面鬪觜而後始快者也浡無稽之言旣欠酌證命天不孝之罪終難勤加兩相卞決之後又不得不取其理曲者加之考訊則彼當世之汲汲擬議於館職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