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구(李球){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AD6CFFFFB1620X0
자(字)대옥(大玉)
호(號)은와(隱窩)
생년1620(광해군 12)
졸년1684(숙종 10)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의(全義)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지영(李之英)

[상세내용]

이구(李球)
1620년(광해군 12)∼1684년(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대옥(大玉), 호는 은와(隱窩). 이지영(李之英)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문장에 재주가 있어 손처눌(孫處訥)의 문하생이 되었다.

1646년(인조 24) 사마시를 거쳐 1652년(효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전적이 되어 양사에 재직하였다.

그뒤 1663년(현종 4)에 순천부사가 되었으나 간부(姦婦)의 살부문제(殺夫問題)가 일어나 파직당하였다.

그뒤 다시 등용되어 전적사간을 거쳐 1679년(숙종 5)에 지평이 되었으며 이듬해에 길주목사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680년 경신대출척으로 윤휴(尹鑴)가 사사(賜死)되자 그 부당함을 말하고 글로 쓰기도 하는 등 호역(護逆)하였다는 이유로 장흥에 유배되었다가 1683년에 풀려나와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하던 중 죽었다. 대사간에 추증되었으며, 『전성세고(全城世稿)』에 약간의 시문이 전한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全城世稿

[집필자]

손승철(孫承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