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유(申濡)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2E0C720FFFFB1610X0
자(字)군택(君澤)
호(號)이옹(泥翁)
생년1610(광해군 2)
졸년1665(현종 6)
시대조선중기
본관고령(高靈)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신기한(申起漢)
저서『죽당집』

[상세내용]

신유(申濡)
1610년(광해군 2)∼1665년(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군택(君澤), 호는 죽당(竹堂)이옹(泥翁). 첨지중추부사 신말주(申末舟)의 7대손이며, 신기한(申起漢)의 아들이다.

1630년(인조 8) 진사가 되고, 1636년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지평부교리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642년에 이조좌랑이 되고, 이듬해 통신사(通信使)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그뒤 집의동부승지우승지 등을 거쳐, 1650년(효종 1)에는 도승지가 되었다.

이때 동지춘추관사를 겸하여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대사간을 거쳐 1652년 사은부사(謝恩副使)청나라에 다녀왔다.

1657년 대사간으로 국왕을 능멸하였다 하여 강계에 유배되었다가 천안으로 옮겨졌다.

그뒤 유배에서 풀려나 1661년(현종 2)에 형조참판이 되었고, 이어 호조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그는 또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따라 심양(瀋陽)에 다녀온 적이 있다. 글씨에 능하였고, 저서로는 『죽당집』이 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신해순(申解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