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심광세(沈光世)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CAD11C138B1577X0
자(字)덕현(德顯)
호(號)휴옹(休翁)
생년1577(선조 10)
졸년1624(인조 2)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송(靑松)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심엄(沈㤿)
외조부구사맹(具思孟)
저서『휴옹집』
저서『해동악부(海東樂府)』

[상세내용]

심광세(沈光世)
1577년(선조 10)∼1624년(인조 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덕현(德顯), 호는 휴옹(休翁). 영의정 심연원(沈連源)의 현손이며 부친은 현감 심엄(沈㤿)이고, 모친은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딸이다.

1601년(선조 3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갔다. 이어 예문관검열을 거쳐 대교에 승진하였고, 설서로 옮겨 무설(巫說)을 믿는 세자 광해군을 간하다가 미움을 받아 사직하고 강화도로 물러났다.

1604년 전적감찰을 거쳐 예조좌랑으로 지제교를 겸하고, 해운판관(海運判官)부안현감 등을 지냈다.

1611년 정언에 이어 부수찬이 되었으나 파면되고, 이듬해 다시 정언을 거쳐 수찬지평교리를 역임하였다.

1613년(광해군 5) 문학을 거쳐 교리로 있을 때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무고를 입고 고성(固城)으로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인하여 다시 교리에 임명되고, 시무십이조(時務十二條) 및 안변십책(安邊十策) 등을 건의하였으며, 응교사인을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성묘하러 고향에 갔다가 피난한 왕의 행재소로 가던 중 부여에서 병으로 죽었다.

저서로는 『휴옹집』『해동악부(海東樂府)』 등이 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대표명심광세(沈光世)
광세(光世)
성명심광세(沈光世)
덕현(德顯)
휴옹(休翁)

명 : "광세(光世)"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9修整器械訓鍊士卒虜來可禦之狀而末曰身病如此恐不能終始盡瘁以報聖恩已露其不臣之心朝廷不覺可慨歎也及适叛光世在嶺南聞之朝廷論其飛報之罪疽發背道死可謂不知人者之戒破寂錄○金元亮深信适父子适見告以百口保之及适叛書
震乘總v8曁一方而維新李植製進○沈光世以幕僚從适爲所欺甚相得旣歸李貴問關西事沈曰适言明璉有異心遂飛報於适及适反光世在嶺南聞之疽發背道死○金元亮深金元亮信适父子适見告而以百口保之及反書至金自點以承旨啓囚之元亮裂衣血疏
野乘v13○二十一日院啓沈光世趙希逸金光煜趙韓安昶俱出賊口而其中光世希逸最為出請命竄黜
野乘v17光世之弟挺世妻弟得㨿位潜懷異志欲奪嫡統光世之妹為李弘老之婦人皆訝之兵閫之薦恒福輒先弘老及宣廟之昇遐也光世之父㤿用慮發狂而死其情已露恒福用光世歷敡華要主黨逆之迹彰裝無餘及開閫洛中仍兼訓錬之長宿將武臣皆所薦㧞
野乘v17統光世之妹為李弘老之婦人皆訝之兵閫之薦恒福輒先弘老及宣廟之昇遐也光世之父㤿用慮發狂而死其情已露恒福用光世歷敡華要主黨逆之迹彰裝無餘及開閫洛中仍兼訓錬之長宿將武臣皆所薦㧞精兵悍卒盡歸掌握人皆謂㼁若稍長則易置
野乘v17甚臣抑有聞焉恒福乃西人頭領也悌男之入銓皆其汲引而西宫國婚乃因沈光世之弟挺世妻弟得㨿位潜懷異志欲奪嫡統光世之妹為李弘老之婦人皆訝之兵閫之薦恒福輒先弘老及宣廟之昇遐也光世之父㤿用慮發狂而死其情已露恒福用光世歷
國朝捷錄v01申院相國舅鋼后父司禦錪判書鏽從侄丙寅追奪 英廟朝科戊午拜至領文忠公號晩圃祖泰賢曾祖涑五代祖若溟七代祖光世九代祖義謙
郯述v02乙巳光世玄丙午拜
國朝人物志v2宣祖辛丑文科應敎光海己未竄固城癸亥反正以校理召還上時務疏十二條且言戚里柄用光世母夫人具氏贊成思孟女自以外家地嫌乞先賜退歸上優答不許光世不樂在朝欲自效於外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