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굉(金硡)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AE40AD49FFFFB1470X0 |
자(字) | 견중(堅仲) |
생년 | 1470(성종 1) |
졸년 | 1526(중종 21)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광산(光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김순성(金順誠) |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굉(金硡)
1470년(성종 1)∼1526년(중종 2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견중(堅仲).
부친은 평양서윤(平壤庶尹) 김순성(金順誠)이다.
1496년(연산군 2)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504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507년 정언이 된 뒤 지평‧장령 등 언관(言官)을 두루 거쳤으며, 1513년 함경도 암행어사를 다녀왔으며, 사신으로 두번이나 명나라에 다녀왔다.
1516년 경연(經筵)의 참찬관(參贊官)으로서 단종과 연산군이 비록 쫓겨난 군주이지만 입후종사(立後從祀)하여야 마땅함을 주장하였다. 같은해 대사간‧홍문관부제학 등을 지내고 이듬해 전라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1523년 승정원동부승지와 우부승지, 경상도관찰사 등을 두루 거쳐 공조참판이 되었다.
그뒤 평안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충청도관찰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1525년 경연특진관이 되었다.
부친은 평양서윤(平壤庶尹) 김순성(金順誠)이다.
1496년(연산군 2)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504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507년 정언이 된 뒤 지평‧장령 등 언관(言官)을 두루 거쳤으며, 1513년 함경도 암행어사를 다녀왔으며, 사신으로 두번이나 명나라에 다녀왔다.
1516년 경연(經筵)의 참찬관(參贊官)으로서 단종과 연산군이 비록 쫓겨난 군주이지만 입후종사(立後從祀)하여야 마땅함을 주장하였다. 같은해 대사간‧홍문관부제학 등을 지내고 이듬해 전라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1523년 승정원동부승지와 우부승지, 경상도관찰사 등을 두루 거쳐 공조참판이 되었다.
그뒤 평안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충청도관찰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1525년 경연특진관이 되었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차용걸(車勇杰)
명 : "굉(硡)"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