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반(權攀)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AD8CBC18FFFFB1419X0 |
자(字) | 자룡(子龍) |
호(號) | 무진(無盡) |
시호(諡號) | 안양(安襄) |
생년 | 1419(세종 1) |
졸년 | 1472(성종 3)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안동(安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권제(權踶) |
조부 | 권근(權近) |
공신호 |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 |

[상세내용]
권반(權攀)
1419년(세종 1)∼1472년(성종 3).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룡(子龍), 호는 무진(無盡). 할아버지가 찬성사 권근(權近), 부친은 찬성 권제(權踶), 형은 우의정 권람(權擥)이다.
일찍이 과거에 여러 차례 응시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고, 음보로 현릉직장(顯陵直長)이 되었고, 그뒤 상서원승(尙書院丞)에 이르렀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도모할 때 주동자인 형과 함께 참여하였다.
1455년(세조 1)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 2등에 책록되고, 전농시소윤(典農寺少尹)을 제수받았으며, 이듬해 예빈시윤(禮賓寺尹)이 되었다.
1459년 통정대부로서 당상관에 올라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가 되었다. 같은해 당상관으로서 과거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세조가 특별히 시험칠 것을 권유하여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가선대부에 올랐으며, 이듬해 부사(副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61년 형조참판을 거쳐 이듬해 한성부윤이 되었으며,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지고 이어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다.
1466년 경기절도사 겸 개성부윤이 되었다. 성품이 온후하고 화평하였으며 직무에 근실하였다. 시호는 안양(安襄)이다.
일찍이 과거에 여러 차례 응시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고, 음보로 현릉직장(顯陵直長)이 되었고, 그뒤 상서원승(尙書院丞)에 이르렀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도모할 때 주동자인 형과 함께 참여하였다.
1455년(세조 1)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 2등에 책록되고, 전농시소윤(典農寺少尹)을 제수받았으며, 이듬해 예빈시윤(禮賓寺尹)이 되었다.
1459년 통정대부로서 당상관에 올라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가 되었다. 같은해 당상관으로서 과거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세조가 특별히 시험칠 것을 권유하여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가선대부에 올랐으며, 이듬해 부사(副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61년 형조참판을 거쳐 이듬해 한성부윤이 되었으며,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지고 이어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다.
1466년 경기절도사 겸 개성부윤이 되었다. 성품이 온후하고 화평하였으며 직무에 근실하였다. 시호는 안양(安襄)이다.
[참고문헌]
世祖實錄
成宗實錄
國朝榜目
成宗實錄
國朝榜目
[이미지]
[집필자]
최완기(崔完基)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