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여순근(呂淳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ECC21CADFCB1876X0
생년1876(고종 13)
졸년1946
시대조선후기
활동분야호국 > 독립운동가
출신지평안남도 중화
공훈건국훈장 국민장

[상세내용]

여순근(呂淳根)
1876년(고종 13)∼1946년. 독립운동가. 평안남도 중화 출신.

1899년 한국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참위에 임관되어 1902년 부위(副尉)로 승진하였다.

1907년 한국군대가 해산되자 일본군과 싸웠으며, 강원도로 가서 의병을 일으켜 항전하였다.

1919년 3‧1운동 이후 유성삼(劉成三)이수영(李秀英)주석환(朱錫煥)표영준(表永準)명덕상(明德相) 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단에 가입하여 훈련부장으로 활동하였으며, 그해 11월에는 안동현 임시의사회에 참여하였다.

1920년 2월에는 임시정부 경무국장 김구(金九)밑에서 경호부장을 지냈고, 4월에는 안병찬(安秉瓚)김찬성(金贊聖)김승만(金承萬) 등과 함께 안동현(安東縣)에서 대한청년단연합회를 조직하고 경호부장이 되어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그해 9월에는 임시정부 평안북도연통제의 경무사(警務司)로 임명되었다.

1920년 12월 만주의 독립운동단체인 대한독립단‧한족회(韓族會)‧대한청년단연합회 등이 항일전선의 통일을 절감하고 상해임시정부의 군무부(軍務部)직할하에 대한광복군으로 통합하자 부관과 훈련국장을 겸임하면서 국내외를 통하여 일제기관의 파괴와 군자금모금, 그리고 일제와의 무력전을 전개하는 등 많은 활동을 하였다.

1922년 환인현(桓仁縣)에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가 조직되자 이에 가입하였으나, 대한통의부의 내분으로 탈퇴, 대한군민부(大韓軍民府)를 조직하는 등 만주에서 계속 활동하였다고 한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韓國獨立運動史(愛國同志援護會, 1956)
독립운동사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大韓民國獨立運動功勳史(金厚卿, 光復出版社, 1983)

[집필자]

강영철(姜英哲)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