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순종(純宗)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21CC885FFFFB1874X0
이명(異名)이척(李坧)
자(字)군방(君邦)
호(號)정헌(正軒)
생년1874(고종 11)
졸년1926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
명성황후(明成皇后)
순명황후(純明孝皇后)
윤씨(尹氏)
묘소경기도 양주군 미금면 금곡리

[상세내용]

순종(純宗)
1874년(고종 11)∼1926년. 조선왕조 마지막 제27대왕. 재위 1907년∼1910년.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척(李坧), 자는 군방(君邦), 호는 정헌(正軒).

1874년 2월 창덕궁의 관물헌(觀物軒)에서 고종명성황후(明成皇后, 閔妃)의 둘째아들로 탄생하였다. 탄생 다음해 2월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1882년(고종 19)에 민씨(閔氏, 뒷날의 純明孝皇后)를 세자빈으로 맞았다. 1897년 대한제국의 수립에 따라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904년 새로이 윤씨(尹氏)를 황태자비로 맞이하였다.

1907년 7월에 일제의 강요와 일부 친일정객의 매국행위로 왕위를 물러나게 된 고종의 양위를 받아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하였고, 연호를 융희(隆熙)로 고쳤다. 황제(皇弟)인 영친왕(英親王)을 황태자로 책립하였고, 그때까지 거처하던 덕수궁에서 창덕궁으로 옮겼다.

4년간에 걸친 순종의 재위기간은 침략자 일본에 의한 한반도 무력강점공작에 의하여 국권이 점차적으로 제약되고, 마침내 송병준(宋秉畯)이완용(李完用) 등 친일매국정객과 일본침략자의 야합으로 조선왕조 519년의 역사에 종언을 고하게 되는 경국(傾國)의 비사(悲史)와 민족사의 주권을 수호하려는 저항의 통사(痛史)의 시기였다.

순종이 즉위한 직후인 1907년 7월 일제는 이른바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 丁未七條約)을 강제로 성립시켜 국정 전반을 일본인 통감이 간섭할 수 있게 하였고, 정부 각부의 차관을 일본인으로 임명하는 이른바 차관정치를 시작하였다.

내정간섭권을 탈취한 일본은 동시에 얼마 남지 않았던 한국군대를 재정부족이라는 구실로 강제해산시켜 우리 겨레의 손에서 총‧칼의 자위조직마저 해체해 버렸다. 또한 1909년 7월에는 기유각서에 의하여 사법권마저 강탈해버렸다. 이처럼 순종을 허위(虛位)의 황제로 만들어버린 이토(伊藤博文)가 본국으로 돌아간 뒤 소네(曾彌荒助)를 거쳐 군부출신의 데라우치(寺內正毅)가 조선통감으로 부임해 온 뒤로 일본은 대한제국의 숨통을 끊고자 더욱 거센 공작을 펴게 되었다.

일제는 1909년 7월 각의(閣議)에서 ‘한일합병 실행에 관한 방침’을 통과시킨 뒤 한국과 만주문제를 러시아와 사전협상하기 위하여 이토만주에 파견하였다. 그가 하얼빈에서 안중근(安重根)에 의하여 포살되자 이를 기화로 한반도 무력강점을 실행에 옮기게 되었다.

일제는 이러한 침략에 부화뇌동하는 친일매국노 이완용송병준이용구(李容九) 등을 중심한 매국단체 일진회(一進會)를 앞세워 조선인의 원에 의하여 조선을 합병한다는 미명하에 위협과 매수로 1910년 8월 29일 마침내 이른바 한일합병조약을 성립시켜 대한제국을 멸망시켰고 한반도를 무력강점해버렸다.

야만적인 침략행위에 우리 겨레는 순종즉위 전부터 의병투쟁으로 대항하는 한편, 개인적인 의거로 맞섰으며, 또한 민족의 저력을 키워 일제와 대항하여 주권을 회복하고자 하는 애국계몽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러나 강경과 온건의 민족저항의 역량이 하나로 모아지지 못하고, 일부 친일매국노의 암약으로 나라를 그르치게 되었던 것이다. 순종 주변에는 친일매국대신과 친일내통분자만이 들끓는 가운데, 국가최고의 수렴자로서의 왕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한 한이 남았다. 일제는 무력을 배경으로 원색적인 침략수단을 다하였고, 교묘하게 이들 친일매국세력을 조종하여 민족의 저항역량을 저해하였던 것이다.

대한제국이 일제의 무력 앞에 종언을 고한 뒤, 순종은 황제의 위에서 왕으로 강등되어 창덕궁 이왕(昌德宮李王)으로 예우하는 조처가 취해졌고, 왕위의 허호(虛號)는 세습되도록 조처되었다. 폐위된 순종은 창덕궁에 거처하며 망국의 한을 달래었다.

1926년 4월 25일에 죽고 6월에 국장을 치러 경기도 양주군 미금면 금곡리유릉(裕陵)에 안장되었다. 순종의 인산례(因山禮)를 기하여 6‧10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다.

[참고문헌]

純宗實錄
大韓季年史
韓國痛史(朴殷植, 大同編譯局, 1915)
韓國獨立運動之血史(朴殷植, 維新社, 1920)

[집필자]

이원순(李元淳)
대표명순종(純宗)
능호유릉(裕陵)

능호 : "유릉(裕陵)"에 대한 용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