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학우(金鶴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D559C6B0B1862X0
자(字)자고(子皐)
시호(諡號)헌민(獻愍)
생년1862(철종 13)
졸년1894(고종 31)
시대조선후기
본관김해(金海)
활동분야사회 > 개화파
출신지함경북도 경흥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학우(金鶴羽)
1862년(철종 13)∼1894년(고종 31). 조선 말기의 개화파 관료.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자고(子皐), 함경북도 경흥의 토반출신.

어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작은아버지 김인승(金麟昇)을 따라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한 뒤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1876년에 일본에 건너가 약 1년반 동안 동경에서 우치무라(內村直義)의 무급(無給) 어학교사 자격으로 머무른 일이 있으며, 만주길림(吉林)중국 북경에도 드나든 적이 있어 비교적 해외사정에 밝았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어‧일본어‧중국어에 능통하였다.

1878년과 1880년 두 차례에 걸쳐 변경사무로 블라디보스토크에 파견되었던 함경도 경성(鏡城) 출신 관리 장박(張博)의 주선으로 서울에서 정계에 진출한 뒤, 1884년부터 1886년까지 기기국위원(機器局委員)전환국위원(典圜局委員) 등을 지냈다.

이 시기에 국왕의 총신(寵臣)으로서 정부가 추진한 각종 개화사업, 특히 일본청나라로부터의 선박‧무기 구입, 전선가설, 전선기술자의 양성, 그리고 모스부호의 도입 등에 종사하였다.

1886년 8월 이른바 제2차한러밀약사건이 발생했을 때, 서울에 파견된 청나라주차관(駐箚官) 위안스카이(袁世凱)로부터 한러밀약을 방조한 반청독립노선파(反淸獨立路線派) 인물로 지목되어 유배형에 처해졌는데, 이때 러시아미국 공사관측의 개입으로 곧 관직에 복귀할 수 있었다.

그뒤 전운서낭청(轉運署郞廳)연무공원사무(鍊武公院司務)기기국사사(機器局司事) 등 개화담당부서의 요직을 맡아 자주 일본을 내왕하면서 기선과 석탄구입을 주선하는 한편, 국내에서는 밀어채(密漁採)와 밀무역을 막는 일에도 종사하였다.

1894년 7월에 갑오경장이 개시되고 청일전쟁이 발발하자 친일개혁관료 가운데 한 사람으로 정계에 두각을 나타내어 내무부참의직을 거쳐 군국기무처회의원법무아문협판법무아문대신서리 등 요직을 차지하고 김홍집(金弘集)유길준(兪吉濬) 등과 갑오개혁을 주도하였다.

그 결과 반일세력인 대원군파의 미움을 받아 그해 10월 31일에 흥선대원군이준용(李埈鎔)파의 자객인 전동석(田東錫)최형식(崔亨植) 등에 의하여 암살당하였다.

[참고문헌]

舊韓末露領移住民의 韓國政界進出에 대하여―金鶴羽의 活動을 中心으로―(李光麟, 歷史學報 108, 1985)
甲午更張 이전의 兪吉濬―1894년 親日改革派로서의 등장 배경을 중심으로―(柳永益, 翰林大學論文集 4, 1986)
日本外務省御雇外國人 金麟昇について(崔書勉, 韓 7―6, 1978)

[집필자]

유영익(柳永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