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강원형(姜遠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15C6D0D615B1862X0
생년1862(철종 13)
졸년1914
시대조선후기
활동분야사회 > 민족운동가
출신지경상북도 칠곡
공훈건국훈장 국민장

[상세내용]

강원형(姜遠馨)
1862년∼1914년. 애국유생‧민족운동가. 경상북도 칠곡 출신.

1895년 10월 명성황후시해사건이 일어나자 일제의 만행을 규탄하는 격렬한 구국상소를 올렸다.

1904년 일본이 러일전쟁을 도발하고 무력으로 제1차한일의정서를 강제 체결함으로써 노골적인 침략정책을 감행하자, 1905년 1월 대한십삼도유약소(大韓十三道儒約所)를 설치하고 수좌(首座)가 되어 항일투쟁을 본격화하였다.

먼저 일본공사관에 내정간섭과 침략정책의 부당성을 규탄하는 공개장을 보내어 일본의 반성을 촉구하였고, 만일 계속 내정간섭을 자행할 경우에는 우리 민족도 결사적으로 그에 맞서 싸울 결의를 통고하였다.

1905년 3월에 일본헌병대가 전판서 김학진(金鶴鎭), 전참판 최익현(崔益鉉), 비서승 허위(許蔿) 등 3인을 일본의 침략에 대한 규탄의 격문을 돌렸다는 이유로 구속하자, 일본군사령부에 항의공개장을 보내어 일본의 불법을 힐문하고, 3인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하였다.

또한, 대한십삼도유약소의 대표로서 동지를 규합하고, 2천만 민족의 대표로 각국 공사관에 공한을 보내어 일본의 야만성을 지적한 뒤, 3인에 대한 공개담판을 개최할 것 등을 요청하였다. 그러한 운동의 결과로 3인은 석방되었으나, 그는 일본헌병대에 잡혀 45일간 구속당하였다.

1905년 5월 석방된 뒤 계속하여 일본의 배신적 침략행위를 규탄하는 항의공개장을 여러 차례 일본공사관에 발송하였다.

또한, 11월 을사조약의 강제체결에 통분을 이기지 못하여 「십삼도유생연명소(十三道儒生聯名疏)」의 소수(疏首)가 되어, 을사조약의 파기, 을사오적(乙巳五賊)의 처형, 일본공사의 횡포와 무례를 엄징할 것 등의 상소를 올렸다. 동시에 같은 내용의 성명서를 국내외에 공표하여 국민들의 궐기와 국제사회의 관심을 호소하였고, 그로 인하여 1905년 11월 28일 일본경찰에 잡혀 4개월간 투옥된 뒤 1906년 3월 20일 출옥하였다.

1914년 9월 서울에서 동지들과 국권회복을 모의하던 중 분사(憤死)하였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동에 의사비(義士碑)가 있으며, 1980년에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韓國痛史(朴殷植, 大同編譯局, 1915)
韓國獨立運動史 1(國史編纂委員會, 1965)

[집필자]

신용하(愼鏞廈)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