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혁(朴贊赫)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15CC2CD601B1782X0 |
자(字) | 선장(善長) |
호(號) | 우산당(友山堂) |
생년 | 1782(정조 6)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함양(咸陽) |
활동분야 | 학자 > 유생 |

부 | 박창수(朴昌壽) |
출신지 | 전라남도 영암(靈巖) |

[상세내용]
박찬혁(朴贊赫)
1782년(정조 6)∼미상. 조선 후기 유학자. 자는 선장(善長), 호는 우산당(友山堂).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전라남도 영암(靈巖) 출신이다.
부친은 통덕랑(通德郞) 박창수(朴昌壽)이고, 형은 박오혁(朴五赫)이다.
기골(氣骨)이 장대하고 문예(文藝)에 능하였다.
1819년(순조 1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 63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成均館)에서 오랫동안 강학(講學)하면서, 관생(館生) 조득현(趙得鉉)‧이극성(李克聲)‧권즙(權楫) 등과 함께 척사부정(斥邪扶正)의 소(疏)를 올리고, 월출산(月出山) 아래로 물러나 후학 계도(啓導)에 힘쓰니, 문인이 모두 경모(敬慕)하였다. 아들로 조봉대부(朝奉大夫) 동몽교관(童蒙敎官) 박정우(朴挺愚)를 두었다. 행장(行狀)은 경주의 최기성(崔基性)이 찬(撰)하고, 근갈록(菫碣錄)은 성균관 박중훈(朴重勳)이 썼다.
부친은 통덕랑(通德郞) 박창수(朴昌壽)이고, 형은 박오혁(朴五赫)이다.
기골(氣骨)이 장대하고 문예(文藝)에 능하였다.
1819년(순조 1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 63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成均館)에서 오랫동안 강학(講學)하면서, 관생(館生) 조득현(趙得鉉)‧이극성(李克聲)‧권즙(權楫) 등과 함께 척사부정(斥邪扶正)의 소(疏)를 올리고, 월출산(月出山) 아래로 물러나 후학 계도(啓導)에 힘쓰니, 문인이 모두 경모(敬慕)하였다. 아들로 조봉대부(朝奉大夫) 동몽교관(童蒙敎官) 박정우(朴挺愚)를 두었다. 행장(行狀)은 경주의 최기성(崔基性)이 찬(撰)하고, 근갈록(菫碣錄)은 성균관 박중훈(朴重勳)이 썼다.
[참고문헌]
영암군지
CD-ROM 사마방목
CD-ROM 사마방목
[집필자]
김동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9-09-30 | 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