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약전(丁若銓)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57DC804B1758X0
자(字)천전(天全)
호(號)손암(巽庵)
호(號)연경재(硏經齋)
생년1758(영조 34)
졸년1816(순조 16)
시대조선후기
본관나주(羅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재원(丁載遠)
출신지경기도 광주(지금의 남양주군 조안면 능내리)
저서『자산어보(玆山魚譜)』
저서『논어난(論語難)』
저서『동역(東易)』
저서『송정사의(松政私議)』

[상세내용]

정약전(丁若銓)
1758년(영조 34)∼1816년(순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천전(天全), 호는 손암(巽庵) 또는 연경재(硏經齋).

경기도 광주(지금의 남양주군 조안면 능내리) 출신. 진주목사 정재원(丁載遠)의 아들이며, 정약용(丁若鏞)의 형이다.

어릴 때부터 매우 재주가 있고 총명하였으며 성격이 작은 일에 얽매이지 않아 거리낌이 없었다.

이미 소년시절에 서울에서 이윤하(李潤夏)이승훈(李承薰)김원성(金源星) 등과 깊이 사귀면서 이익(李瀷)의 학문에 접하여 여기에 심취하였으며, 이어 권철신(權哲身)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을 더 깊이있게 배웠다.

1783년(정조 7)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자, 이에 만족하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여 1790년 증광문과에 응시,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리하여 전적병조좌랑의 관직을 역임하게 되었다.

또, 이미 서양의 학문과 사상에 접한 바 있는 이벽(李檗)이승훈 등 남인 인사들과 교유하고 특별히 친밀하게 지냈으므로, 이들을 통하여 서양의 역수학(曆數學)을 접하고 나아가 천주교의 교리를 듣고는 여기에 마음이 끌려 이를 신봉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다가 마침내 1801년(순조 1)에 신유사옥이 일어나 많은 천주교신도들이 박해를 입게 되자, 아우 정약용과 함께 화를 입어 정약용은 장기를 거쳐 강진에 유배되고, 그는 신지도(薪智島)를 거쳐 흑산도(黑山島)에 유배되었다.

여기에서 복성재(復性齋)를 지어 섬의 청소년들을 가르치고 틈틈이 저술로 울적한 심정을 달래다가 끝내 풀려 돌아가지 못하고 16년 만에 죽었다.

저서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를 비롯하여 『논어난(論語難)』『동역(東易)』『송정사의(松政私議)』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자산어보』만이 전해오고 있다.

『자산어보』는 그가 유배되었던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을 실지로 조사, 채집하는 동시에, 이를 어류(魚類)‧패류(貝類)‧조류(藻類) 및 해금(海禽)‧충수류(蟲獸類) 등으로 분류하여, 각 종류의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에 관한 것까지를 자세히 기록한 것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수산학 관계의 서적이라 할 수 있는 명저로 손꼽히고 있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純祖實錄
日省錄
國朝榜目
丁茶山全書

[집필자]

이원균(李源鈞)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