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서명응(徐命膺)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1CBA85C751B1716X0
자(字)군수(君受)
호(號)보만재(保晩齋)
시호(諡號)문정(文靖)
생년1716(숙종 42)
졸년1787(정조 11)
시대조선후기
본관대구(大丘)
활동분야문신 > 문신
서종옥(徐宗玉)
5대조서성(徐渻)
저서『보만재집』
저서『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
저서『보만재잉간(保晩齋剩簡)』

[상세내용]

서명응(徐命膺)
1716년(숙종 42)∼1787년(정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군수(君受). 보만재(保晩齋)라는 호를 정조로부터 내려 받았다. 판서 서성(徐渻)의 5세손이고, 이조판서 서종옥(徐宗玉)의 아들이며,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형이다.

1754년(영조 3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이조판서를 거친 뒤, 청나라 연경(燕京)에 사행하여 다녀왔다.

그뒤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르렀다. 그는 박학강기(博學强記)로 이름났으며 역학(易學)에 조예가 깊었다. 정조가 동궁에 있을 때 빈객(賓客)으로 초치되어 학문수련에 큰 도움을 주었다. 정조 즉위 직후 규장각이 세워졌을 때 제학(提學)에 첫번째로 임명되었으며, 그가 죽을 때까지 규장각 운영에는 절대적인 찬획(贊劃)을 끼쳤다.

그는 흔히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지며, 이용후생(利用厚生)을 추구하는 그의 학문정신은 아들 서호수(徐浩修), 손자 서유구(徐有榘)에로 이어져 가학(家學)의 전통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그는 『역학계몽집전(易學啓蒙集箋)』『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계몽도설(啓蒙圖說)』 등의 역서류, 『열성지장통기(列聖誌狀通記)』『기사경회력(耆社慶會曆)』『기자외기(箕子外紀)』『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양한사명(兩漢詞命)』 등의 사서류, 『고사신서(攷事新書)』의 유서(類書) 등을 편찬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고, 저술로는 『보만재집』『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보만재잉간(保晩齋剩簡)』 등을 남겼다.

이 저술들은 사후에 서호수서유구 등에 의해 정리된 것인데, 보만재총서는 정조로부터 “우리 동쪽에서 400년간에 이런 거편(鉅篇)이 없었다.”는 평을 받았으며, 『보만재잉간』은 총서를 편집하고 남은 것을 따로 모은 것이다. 『보만재총서』는 일종의 유서로서 『고사신서』와 함께 그의 농업을 중심으로 한 이용후생의 학문정신을 대표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대표명서명응(徐命膺)
명응(命膺)
성명서명응(徐命膺)
군수(君受)

명 : "명응(命膺)"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2世子之卒徐命膺之夫人趙氏爲之食素云先時世子西行時命膺上書多逼語人以其有動搖意知舊皆絶之亦有退婚者趙氏乃聞知其事言曰我婦人不解文字雖不知疏語之若何還見與啓
待闡錄v2浩修卽命膺之子也
待闡錄v4以其所處之異於他人故人莫敢言云云日前儒臣沈煥之所懷論列李聖模趨附能賊至情受能賊指揮詮官之罪乃非別人卽命膺也云云請徐命膺先施流放之典李聖模依儒臣所請煥之請屛裔批略世變雖無窮斯人之有是遭罹乎李普行避略雖其特念
待闡錄v6同惡而幸免者亦有致討而見漏者天網太恢輿情愈憤而若其塗人耳目衆所痛疾者至徐命膺而極矣使魯禧行其胸臆者卽命膺也使顯重露其手脚者亦命膺也其爲泮長也挺身應募抱衾入泮三日留宿嘯聚諸生中嗜利趨勢者㗖之喝之無所不至如老
待闡錄v6林共之況此諸儒聞風俱集豈無疏中諸賊之至親切姻當避者耶如或未見原本一例參疏豈不有乖於敦俗之方耶使之廣布命膺之堂侄昌壽之從孫皆退去疏旣成有數人言曰金時粲見漏於醞釀罪魁何也賤臣曰吾於某年事首尾顚末頗詳悉而至若金
待闡錄v6漏者天網太恢輿情愈憤而若其塗人耳目衆所痛疾者至徐命膺而極矣使魯禧行其胸臆者卽命膺也使顯重露其手脚者亦命膺也其爲泮長也挺身應募抱衾入泮三日留宿嘯聚諸生中嗜利趨勢者㗖之喝之無所不至如老不死之黃萬錫安衡窮無歸之
待闡錄v6而坐明倫堂四字是何等語也肆然筆之示諸生而使之讀之遂持其書上馬而去頤祥趨出而執鐙曰願爲先生執鞭之卒其後命膺則紹介頤祥而托身於能賊頤祥則依藉命膺而廁名於瀛錄至今語其事人無不髮豎而膽掉噫嘻痛矣國何負於渠渠何讐於
待闡錄v6生而使之讀之遂持其書上馬而去頤祥趨出而執鐙曰願爲先生執鞭之卒其後命膺則紹介頤祥而托身於能賊頤祥則依藉命膺而廁名於瀛錄至今語其事人無不髮豎而膽掉噫嘻痛矣國何負於渠渠何讐於國而締結凶徒醞釀禍機竟成滔天之凶禍若
待闡錄v6口渠又繼之以明倫堂三字是何等語也李頤祥之親奉馬鐙願爲執鞭吁亦痛矣自此命膺交結頤祥而托跡於能賊頤祥依藉命膺而濫錄於瀛選命膺之平生設心人皆如見而自知負犯便生疑懼及於事變以後及肆放恣傷倫之擧固不足言而芙蓉堂張樂
待闡錄v6爲泮長時先募安衡等粧□館疏公肆凶口渠又繼之以明倫堂三字是何等語也李頤祥之親奉馬鐙願爲執鞭吁亦痛矣自此命膺交結頤祥而托跡於能賊頤祥依藉命膺而濫錄於瀛選命膺之平生設心人皆如見而自知負犯便生疑懼及於事變以後及肆
待闡錄v6堂三字是何等語也李頤祥之親奉馬鐙願爲執鞭吁亦痛矣自此命膺交結頤祥而托跡於能賊頤祥依藉命膺而濫錄於瀛選命膺之平生設心人皆如見而自知負犯便生疑懼及於事變以後及肆放恣傷倫之擧固不足言而芙蓉堂張樂章奏中頭辭言之凶
事變日記v33中和府中火而驛人馬交替時海西驛人夫等處上勅出小靑布二十疋帽子八十一立副勅出帽子七十五立分給是白乎旀臣命膺依例送驛學致問於上副勅則答以爲不但行路之穩便厚蒙國王思澤無擾到此是如爲白遣午時量中和府離發酉時量無事
政堂故事v3審愼今乃歸之於粗率不察終涉窘遁不可不嚴訊得情不但數次而止上曰是矣其族譜皮封之不書足爲明證矣更無可問矣命膺啓司饔奉事尹衡喆以逆埈之壻揚揚出入闕中請爲先汰去依允判義禁申晩啓曰䥃弟有出繼者依定式一體緣坐律施行依
政堂故事v3民曰人家戶籍太重豈有三式年一不點檢之理乎設如渠言庚午後覽得釐正其三式年仍書之罪豈不可數次刑訊而還配乎命膺曰最初誤書直有驚心痛骨之意則伊後必加審愼今乃歸之於粗率不察終涉窘遁不可不嚴訊得情不但數次而止上曰是矣
政堂故事v4以方在外不折止之物議怪之以爲梓初議肅敏固美諡非文秀所當得其改也亦不可否爲非榟乃上書自卞不得與聞改諡乃命膺自以己意爲之旣而不呈其書人益怪之七月十日命諡號署經又命臺臣違牌者直捧投畀徽旨遂特除李仁源南泰著爲獻納
政堂故事v4文秀自乙亥被拿後杜門不出慙恚病死上悶之加贈議政令不待狀加諡於是玉堂議諡徐命膺洪榟李仁源議以肅敏及命膺至奉賞更議時改以忠憲因簡問洪榟榟辭以方在外不折止之物議怪之以爲梓初議肅敏固美諡非文秀所當得其改也亦不
政堂故事v5命膺爲此書人皆挽之不聽而密寫上之
政堂故事v8戶判趙雲逵去冬貶坐郞廳李敬倫閔濟烈不參貶坐則例書中考而却書上宜罷職御將具善復貪不法之罪疏入戶判事依允命膺事此人予則曰得人此等風習予不取也御將事具門義兼休戚浮嘵何信而一筆句斷爾心不精矣明日和中避嫌是夜臨門忽
國朝捷錄v01貞愼翁主達城尉徐景霌志修高租命膺曾祖
郯述v02父命翼生命膺命膺子
國朝人物志v3施刊版之典國朝寶鑑正祖丁酉拜右相至領議政晚號桐源辛亥卒諡忠憲相臣錄兄命膺字君受號保晚齋乙卯生員甲戌文科歷副提學吏曹判書奉使入燕還拜大提學卜相入耆社官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1-01-03문과방목과 大丘徐氏世譜(2003년 간행)를 참고하여 본관을 달성(達城)에서 대구(大丘)로 수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