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존중(李存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874C911B1703X0
자(字)경이(敬以)
호(號)하당(荷堂)
생년1703(숙종 29)
졸년1761(영조 37)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현숭(李顯崇)
조부이유(李濡)
처부홍중복(洪重福)
외조부홍수헌(洪受瀗)
저서『척재집』
저서『국조명신록』

[상세내용]

이존중(李存中)
1703년(숙종 29)∼1761년(영조 3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이(敬以), 호는 척재(惕齋)하당(荷堂).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후예로, 영의정 이유(李濡)의 손자이고, 서윤 이현숭(李顯崇)의 아들이며, 홍중복(洪重福)의 사위이고, 홍수헌(洪受瀗)의 외손자이다.

사마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정릉참봉(貞陵參奉)을 거쳐 익위사사어를 역임하고 세자시강원에 출입하여 자주 의견을 진술하였다.

1750년(영조 26) 합천군수로 있으면서 다시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였으므로 삼장장원(三場壯元)의 특전으로 통정대부의 위계에 올라 여주목사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751년 대사간에 취임해서는 왕에게 상소하여 권신인 김상로(金尙魯)형제를 신임사화 당시의 적당(賊黨)이라 탄핵하였기 때문에, 대신을 능욕하였다는 죄명을 받아 거제도로 귀양가게 되었으나, 그는 계속 말하기를, “신은 국가의 세록지신으로서 나라의 일이 날로 비뚤어지는 것을 목격하고 그냥 있을 수 없어 죽음을 무릅쓰고 이 글을 올립니다.”라고 하여 강경한 자세를 취하고 투철한 애국심을 보였다.

그로부터 4개월 뒤에는 다시 정의현으로 옮겨졌다가 1753년에 풀려나와 초야에서 한적하게 묻혀 살 때 예조참의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낙향하여 학문연구에만 전심하면서 강직하게 살아갔다.

그는 오원(吳瑗) 등과 사귀는 한편 특히 윤심형(尹心衡)이태중(李太重) 등과는 더욱 친밀히 지냈다.

그는 평소 강직하고 합리적인 사고를 가졌기 때문에 사색당파의 폐단을 제거하기 위하여 꾸준히 노력하였으며, 죽은 뒤에는 뒤늦게 김상로 형제의 비위를 힘써 탄핵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조이조판서 겸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척재집』『국조명신록』 등이 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愓齋集

[집필자]

김호종(金昊鍾)
대표명이존중(李存中)
존중(存中)
성명이존중(李存中)
경이(敬以)
척암(惕菴)

성명 : "이존중(李存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1募族宰角勝公議云云請南鶴老永刊仕籍院達濟州安置罪人增負犯至重不可全釋請還收放送之令亟加圍籬前大司諫李存中前正言李維秀乍放旋仍貽累睿德請還收仍置之令司直李宗城本以狠毒之性傳受凶逆之論仇視大論力戰公議者自是平
政堂故事v1大司諫李存中上書曰惟彼大僚金若魯性本闒葺專用權數滿腹撑拄都是欲火中年患得之心轉成狂易之喜怒無常擧措駭悖入則仰面嘻
政堂故事v1亮天少登第持論甚峻將欲一上書攻蕩平之黨李存中趙命履聞之將錄玉堂校理金陽澤嘗言亮天地望未允須有一好議論然後乃可錄也旣而命履以副學將抄於館錄未及
政堂故事v1李存中事後峻論一隊
政堂故事v1爲嶺伯旣以李存中書辭不赴任吏判李天輔又揚言不當赴湖西伯李益輔又狀啓以均稅使刻海民魚鹽之稅至不保存之狀自不安久不赴
政堂故事v2事殿座弘化門今亦一畓法座整頓不逞甘心黨習之類此敎使之預聞可矣李存中萬萬無狀矣朴正源所錄筵說世子以上旨李存中置稟秩道臣重推判金吾罷職上又傳曰元良於故相李光佐趙泰億事下答諸臣必曰我助贊而無一字開諭若知元良有此答
政堂故事v2何不於問寢之時噵達此意而乃爲此頻復之擧也二臣之乍放旋仍姑不暇恤而其爲貽累於睿德顧不大歟請還收前大司諫李存中前正言李維秀仍置之令司直李宗城本以狼毒之性傳受凶逆之論仇視太論力戰公議者自是平生技倆而未乃以貫日宥世
政堂故事v2重右袒必愼奇怪之說予甚惡之甲子年以宣傳官事殿座弘化門今亦一畓法座整頓不逞甘心黨習之類此敎使之預聞可矣李存中萬萬無狀矣朴正源所錄筵說世子以上旨李存中置稟秩道臣重推判金吾罷職上又傳曰元良於故相李光佐趙泰億事下答
政堂故事v2贊之瓚以瑗之弟如是而貽憂於予乎諸臣使元良爲不孝而如此乎鄭亨復心術無狀可謂臣節乎又曰以李重祚事逐銓官放李存中逐李宗城何敢如是乎顯重右袒必愼奇怪之說予甚惡之甲子年以宣傳官事殿座弘化門今亦一畓法座整頓不逞甘心黨習
政堂故事v2達答府曰不從呂川君事今又如是極涉寒心亟停勿煩末端事鶴老事依達答院曰不從呂川君事其何如是亟停勿煩還收事李存中李維秀事當初聖敎嚴明則余之不亶遽然踏下更思驚悟下令矣又何如是李宗城事如此挾雜之言其鬧於余乎極涉未安末
政堂故事v2陽之筆意者也又敎曰予僅僅支過渠又侵困之不欲其生吳瓚死不瞑目者以予生之也吳瓚之事若有秉彝之心則豈爲是也李存中有兩父母何忍爲此而其父成疾以死云存中尤非矣今李敢營護此二人困我若此初欲大靜補外更思之猶惜矣瓚及存中之
政堂故事v2幾何正源曰壬午生矣上曰五十踰乎疏入上曰先讀左相條讀訖又命讀吳瓚條讀未訖又命讀李存中條上曰金判府曾已言李存中事矣又敎曰政院稟啓予意其左相事矣瓚予雖敎之豈以一瓚之故欲困予仍下不忍聞之敎曰一瓚二存中三李此輩矣仍命
政堂故事v2侍上曰正言某之疏注書出去持來仍問承旨曰某疏章奏開言路及左相入之耶曰開言路勉君德矣上又抻入何語耶曰吳瓚李存中事爲之矣上曰左相事何以爲言耶曰左相事云云矣上曰瓚事何以言之曰云云矣上曰李某年幾何正源曰壬午生矣上曰五
政堂故事v2以言之曰云云矣上曰李某年幾何正源曰壬午生矣上曰五十踰乎疏入上曰先讀左相條讀訖又命讀吳瓚條讀未訖又命讀李存中條上曰金判府曾已言李存中事矣又敎曰政院稟啓予意其左相事矣瓚予雖敎之豈以一瓚之故欲困予仍下不忍聞之敎曰
政堂故事v2不常臣益不勝危怖懍蹙不知置身之所臣之一身付之人爼刀久矣呼牛呼馬任之而其人又被嚴譴臣何與之對卞也臣自遭李存中中身名謬辱心魄裭死逆出門外跧伏窮山孑子微軀將不保於禍網彌張鋒鏑交加而臣之保全性命至于今日莫非聖恩時議
政堂故事v2申年作敎文受困於儕輩過爲用心嘔血而死乃是心弱之人李因其弟而辱其兄是豈倫理乎曰臺疏之論金判府事事亦過矣李存中之處分固爲太過臺臣若以臣等之不能建白攻斥臣等則臣等敢不受以爲罪而金則乃是被論大臣且是原任何可責其陳達
政堂故事v2建白攻斥臣等則臣等敢不受以爲罪而金則乃是被論大臣且是原任何可責其陳達乎頃見金則以爲外議或以吾之不建白李存中之事多以爲罪而吾之入侍不過診筵問候則不敢參涉朝廷事陳達存中則自上豈信聽之乎臣泛然聽之臺諫果如此豈不已
郯述v01李存中
國朝人物志v3史寓目輒誦乙卯生員進士壯元旋拜參奉庚午以陜川郡守擢三日製又魁殿試悔軒趙觀彬賀曰李存中三場壯元殿下得賢臣臣亦得文衡可傳者矣時觀彬以論議峻厲爲時所忌而推存中如此時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