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찬(金時粲)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E40C2DCCC2CB1700X0 |
자(字) | 치명(穉明) |
호(號) | 초천(苕川) |
시호(諡號) | 충정(忠正) |
생년 | 1700(숙종 26) |
졸년 | 1766(영조 42)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안동(安東[新])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김성도(金盛道) |
고조부 | 김상용(金尙容) |
출신지 | 홍주(洪州) |
저서 | 『초천집』 |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시찬(金時粲)
1700년(숙종 26)∼1766년(영조 4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新]). 자는 치명(穉明), 호는 초천(苕川). 홍주(洪州) 출신.
김상용(金尙容)의 현손으로, 부친은 좌랑 김성도(金盛道)이다.
1721년(경종 1) 진사가 되었으며,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관(史官)이 되었다.
노론에 속했으며, 예문관검열을 거쳐, 규장각대교(奎章閣待敎)로 조태구(趙泰耉)‧유봉휘(柳鳳輝)‧이광좌(李光佐) 등 소론일파의 처벌을 청했다가 당시 탕평책에 반대한다 하여 흑산도로 유배되었다가 1740년 수찬(修撰)으로 복관되었고, 1755년 대사간에 임명되었다.
1759년 부제학을 제수받고 이를 사양하는 글을 바쳤으나, 그 글 속에 불경스러운 구절이 있다 하여 다시 흑산도에 유배되어 1764년 풀려나왔다.
1806년(순조 6)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초천집』이 있으며,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김상용(金尙容)의 현손으로, 부친은 좌랑 김성도(金盛道)이다.
1721년(경종 1) 진사가 되었으며,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관(史官)이 되었다.
노론에 속했으며, 예문관검열을 거쳐, 규장각대교(奎章閣待敎)로 조태구(趙泰耉)‧유봉휘(柳鳳輝)‧이광좌(李光佐) 등 소론일파의 처벌을 청했다가 당시 탕평책에 반대한다 하여 흑산도로 유배되었다가 1740년 수찬(修撰)으로 복관되었고, 1755년 대사간에 임명되었다.
1759년 부제학을 제수받고 이를 사양하는 글을 바쳤으나, 그 글 속에 불경스러운 구절이 있다 하여 다시 흑산도에 유배되어 1764년 풀려나왔다.
1806년(순조 6)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초천집』이 있으며,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增補文獻備考
國朝榜目
雷淵集
增補文獻備考
國朝榜目
雷淵集
[집필자]
오성(吳星)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