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집(閔洙集)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BFCC218C9D1B1694X0 |
자(字) | 사성(士成) |
생년 | 1694(숙종 20)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여흥(驪興)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민치룡(閔致龍) |
조부 | 민몽석(閔夢錫) |
증조부 | 민태승(閔泰升) |
외조부 | 이석정(李碩禎) |

[관련정보]
[상세내용]
민수집(閔洙集)
1694년(숙종 20)∼미상.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사성(士成).
증조부는 민태승(閔泰升), 조부는 민몽석(閔夢錫), 부친은 민치룡(閔致龍)이며, 외조부는 이석정(李碩禎)이다. 1750년(영조 26)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 4위로 합격하고, 70세가 되던 1763년(영조 39) 계미(癸未) 기로정시(耆老庭試: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보이던 과거) 을과(乙科) 1위로 급제했다. 관직은 판결사(判決事)와 동중추(同中樞)를 지냈다. 1773년(영조 49)에 몸을 보색하는 방법을 영조(英祖)에게 상소하였다가, 공을 바라는 마음에서 한 것이라는 탄핵을 받았다.
증조부는 민태승(閔泰升), 조부는 민몽석(閔夢錫), 부친은 민치룡(閔致龍)이며, 외조부는 이석정(李碩禎)이다. 1750년(영조 26)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 4위로 합격하고, 70세가 되던 1763년(영조 39) 계미(癸未) 기로정시(耆老庭試: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보이던 과거) 을과(乙科) 1위로 급제했다. 관직은 판결사(判決事)와 동중추(同中樞)를 지냈다. 1773년(영조 49)에 몸을 보색하는 방법을 영조(英祖)에게 상소하였다가, 공을 바라는 마음에서 한 것이라는 탄핵을 받았다.
[참고문헌]
한국 역대인물 종합 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朝鮮王朝實錄
朝鮮人名辭書
朝鮮王朝實錄
朝鮮人名辭書
[집필자]
박경이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