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어무적(魚無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B4BB34C801U9999X0
자(字)잠부(潛夫)
호(號)낭선(浪仙)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함종(咸從)
활동분야문학 > 시‧시조인
어효량(魚孝良)
조부어변문(魚變文)

[상세내용]

어무적(魚無迹)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의 시인.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잠부(潛夫), 호는 낭선(浪仙). 생원이었던 어변문(魚變文)의 손자이며, 사직(司直)을 지낸 어효량(魚孝良)의 아들이다.

성종연산군 연간에 관인(官人)으로 현달하였던 어세겸(魚世謙)어세공(魚世恭)과는 재종형제간이다. 할아버지 때 김해로 내려갔다.

부친은 손색이 없는 사대부였으나 어머니가 관비(官婢)여서 법에 규정된 바에 따라 관노가 되었던 것이며, 어떤 속신(贖身)의 방법을 취해서 천한 신분을 면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율려습독관(律呂習讀官)이라는 말직에 나간 적도 있었으나, 그 직이 대개 서얼(庶蘖)들에게 주어지는 보잘것없는 자리여서 오히려 자기 신분을 판박아주는 데 불과하였다.

아버지쪽의 교양을 물려받아 천인으로서는 드물게 어려서부터 한문을 익힐 수 있었고, 뛰어난 시재(詩才)를 계발할 수 있었다. 신분제도 때문에 과거에도 응시하지 못하고 불우하게 살았지만, 인간자세가 매우 의연하고 진실하였다고 한다.

1501년(연산군 7)에 멀리 김해땅에서 장문의 상소를 올린 바 있다. 그는 상소문에서 “나는 천민이므로 벼슬할 생각은 하지 않지만, 옛말에 ‘집이 위에서 새는 것을 아래에서 잘 안다. ’고 일렀듯이, 지금 세상에 밑에 있으면서 새는 구멍을 잘 아는 사람은 나만한 자가 없다.”고 하고 백성의 어려운 사정을 낱낱이 밝혔으나 그 상소는 묵살되었다.

그가 살던 고을에서 매화나무에까지 무리한 세금을 부과하자, 어느 백성이 매화나무를 도끼로 찍어버린 사건이 일어났다. 그는 「작매부(斫梅賦)」라는 시를 지어 관장의 횡포를 규탄하였다.

그러자 원이 크게 노하여 그를 잡아 다스리려 하므로, 도망하여 유랑하다가 어떤 역사(驛舍)에서 객사하였다.

그는 미미한 신분이므로 생애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나 시에서 뛰어난 재주를 보여서 『속동문선』『국조시산(國朝詩删)』에 그의 시가 실릴 정도로 평가를 받았다.

특히, 유랑하는 백성의 어려움을 대변한 「유민탄(流民嘆)」과 「신력탄(新曆嘆)」과 같은 작품이 유명하다.

[참고문헌]

續東文選
國朝詩删
淸江詩話(李濟臣)
謏聞鎖錄(曺伸)
稗官雜記
魚無迹의 詩와 홍길동전(林熒澤, 한국한문학연구 3‧4合輯, 1979)

[집필자]

고경식(高敬植)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