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석(申晳)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2E0C11DFFFFB1681X0
자(字)성여(聖與)
생년1681(숙종 7)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평산(平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신서화(申瑞華)
조부신정(申晸)

[상세내용]

신석(申晳)
1681년(숙종 7)∼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성여(聖與).

이조판서 신정(申晸)의 손자이고, 부사 신서화(申瑞華)의 아들이다.

1699년(숙종 25)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171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을 거쳐 이듬해 동지사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그뒤 지평정언부교리이조좌랑헌납교리응교사간겸필선 등을 역임하였다.

1722년(경종 2)에 신임사화로 관작을 삭탈당하고, 이듬해 선산으로 유배되었다. 영조의 즉위로 소론이 실각하자, 그 이듬해인 1725년(영조 1)에 유배지가 서울에서 가까운 곳으로 옮겨지고, 뒤이어 풀려났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신해순(申解淳)
대표명신석(申晳)
절(晢)
성명신절(申晢)

명 : "절(晢)"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肅宗時事v2勸講學而已至於參聽裁斷實非今日之所宜言也今此講礭可否之說其謬妄無識甚矣請趙聖復罷職上曰罷職則似爲太過曰罷職之罰何爲太過乎李箕翊曰本院無請罷職臺諌之規故不敢先爲仰達而玉堂所達元非太過也李重協曰臣於聖復疏
辛壬紀年提要v2積年沈痼眼疾有妨酬應代理之敎萬不獲已今殿下無大段未寧之候國事無積滯之患意外有此敎特爲還收國事幸甚道揆重協等竝迭啓請還收上曰勿煩箕翊又啓勿煩重協晢又啓勿煩箕翊曰臣等如是力爭天聽逾邈夜氣漸寒恐玉體損傷姑爲
辛壬紀年提要v2勿煩重協晢又啓勿煩箕翊曰臣等如是力爭天聽逾邈夜氣漸寒恐玉體損傷姑爲退去丙枕中更加三思臣等決無奉承之理啓執義趙聖復謬妄甚矣請罷職上曰似爲大過箕翊曰玉堂所達元非太過重協曰罷職猶輕上曰依所達罷職○春方書入備
辛壬紀年提要v2陳達終不允從夜深姑退今因重臣請對更爲入侍王世弟引接宮僚涕泣嗚咽云人心驚遑固不可論東宮情理何可不念道揆重協亦云云錫恒曰聖復以傍坐參聽爲言春宮旣不可與殿下竝坐若坐座則事勢妨礙又以講學可否爲言微末一臺臣敢發
辛壬紀年提要v2大段未寧之候國事無積滯之患意外有此敎特爲還收國事幸甚道揆晢重協等竝迭啓請還收上曰勿煩箕翊又啓勿煩重協又啓勿煩箕翊曰臣等如是力爭天聽逾邈夜氣漸寒恐玉體損傷姑爲退去丙枕中更加三思臣等決無奉承之理晢啓執義趙
辛壬紀年提要v2令入侍前所未聞不可不摘發論斷明白下敎榮福曰此乃司謁之罪三司竝進曰此非小事關繫甚重啓迪曰自今置政院無益曰臣有親嫌不欲可乎第此事關繫重大崇曰殿下待臣下顯有厚薄之異不勝訝惑上無發落兩司啓臺論削黜罪人趙泰耇偃
大事編年v23年沈痼玉服疾有妨酬應代理之敎萬不獲已今殿下無大段未寧之候國事無積滯之患意外有此敎特爲還收國事幸甚道揆重協等竝迭啓請還收上曰勿煩箕翊又啓勿煩重協晢又啓勿煩箕翊曰臣等如是力爭天聽逾邈夜氣漸寒恐玉體損傷姑爲
大事編年v23勿煩重協晢又啓勿煩箕翊曰臣等如是力爭天聽逾邈夜氣漸寒恐玉體損傷姑爲退去丙枕中更加三思臣等決無奉承之理啓執義趙聖復謬妄甚矣請罷職上曰似爲太過箕翊曰玉堂所達元非太過重協曰罷職猶輕上曰依所達罷職
大事編年v23大段未寧之候國事無積滯之患意外有此敎特爲還收國事幸甚道揆晢重協等竝迭啓請還收上曰勿煩箕翊又啓勿煩重協又啓勿煩箕翊曰臣等如是力爭天聽逾邈夜氣漸寒恐玉體損傷姑爲退去丙枕中更加三思臣等決無奉承之理晢啓執義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