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최창대(崔昌大)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D5CCC3DB300B1669X0
자(字)효백(孝伯)
호(號)곤륜(昆侖)
생년1669(현종 10)
졸년1720(숙종 46)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최석정(崔錫鼎)
경주이씨(慶州李氏)
증조부최명길(崔鳴吉)
외조부이경억(李慶億)

[상세내용]

최창대(崔昌大)
1669년(현종 10)∼1720년(숙종 46).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효백(孝伯), 호는 곤륜(昆侖). 영의정 최명길(崔鳴吉)의 증손으로, 영의정 최석정(崔錫鼎)의 아들이며, 모친은 경주이씨(慶州李氏)이경억(李慶億)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생원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고, 16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검열설서부수찬을 거쳐 1698년 암행어사가 되었다. 이어 교리이조좌랑헌납응교를 거쳐 1704년 사서(司書)이조정랑을 지냈고, 1706년 사간 등을 지낸 뒤 1711년 대사성에 승진하였으며, 그 뒤 이조참의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문장에 뛰어나 박세채(朴世采)김창협(金昌協)에 비교되었고,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경서에 밝아 당시 사림에게 추앙을 받았으며, 글씨에도 능하였다.

암행어사로 있을 때 함경도 일대의 관폐를 엄명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고, 또한 전라도어사로 나가서는 진소어(眞蘇魚)의 수세(收稅)에 따른 폐단과 각 고을 승려에게 부과하는 지공(紙貢)에 따른 폐단, 연해 제읍(諸邑)의 수령을 무신만으로 임명하는 데 따른 문제점 등에 대한 서계(書啓)를 올렸다.

저술도 많이 있으나 대부분 산일(散佚)되고, 『곤륜집』 20권 10책 만이 전하여지고 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昆侖集

[집필자]

김능하(金綾夏)
대표명최창대(崔昌大)
창대(昌大)
성명최창대(崔昌大)
효백(孝伯)
곤륜(崑崙), 곤륜(昆侖)

명 : "창대(昌大)"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捷錄v01字汝和號存窩全州人鳴吉孫副學昌大父丁丑拜領又號明谷後亮子後尙系子張晩外孫南九萬門人文貞公
海州吳氏家乘v4文化顯姓副元帥斐女也夫人禮事忠貞二十四年擧三男四女年五十九甲申四月十八日卒旣葬子海昌尉泰周將樹墓碣屬昌大書之昌大於夫人子壻也竊觀於夫人敏而有恒惠而能正固爲良婦賢母至其明達好義實有丈夫君子之心詩云無非無儀惟
海州吳氏家乘v4副元帥斐女也夫人禮事忠貞二十四年擧三男四女年五十九甲申四月十八日卒旣葬子海昌尉泰周將樹墓碣屬昌大書之昌大於夫人子壻也竊觀於夫人敏而有恒惠而能正固爲良婦賢母至其明達好義實有丈夫君子之心詩云無非無儀惟酒食是議
海州吳氏家乘v5至主簿公嘗援唐朝崔植乞以先公爵秩推恩生祖考上特許之於是贈主簿公官吏曹判書妣貞敬夫人尙州黃氏府使埏之女昌大嘗撰碣銘具載德美公主有懿行吾先君議政公實誌其墓早逝不育公病陳疏乞立後以弟洗馬晉周子瑗爲嗣瑗有一女幼公
海州吳氏家乘v5五女夫人歿旣七十年墓無誌後夫人黃氏子海昌尉泰周營之未成而歿弟晉周圖終海昌之志以其從祖持平諱翮所爲狀屬昌大述之謹据以敍之
文獻攷略v11自甘鬼魅之目乎栗谷請革此弊載之經筵日記近來尹相公趾完雖不自處以道學之士亦不肯爲豈有自好之士身鞱此習耶昌大改容稱善而不免强就回刺後書報泰漢曰鬼行旣不免而至於嘲詼褻謔亦多隨人同波者悔不與吾兄同去就也昆侖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